김석년과 그의 광고시대
출판사 늘봄 기사입력 2016.02.02 12:00 조회 11003



구술사로 풀어놓은 한국광고 40
국제광고협회(IAA), 아시아 광고연맹(AFAA) 명예 종신회원, IAA ‘올해의 인물’, AFAA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한국 광고계 최고의 문제적 인물 김석년을 통해 본 한국 광고통사


김석년은?

김석년이 헤쳐온 한국광고 40년의 역사!
국제 광고계에서 세년 킴(Senyon Kim)으로 더 잘 알려진 김석년은 40년 가깝게 광고업에 종사해온, 한국 광고계의 살아있는 전설이다. 
 그는 서울 종로에서 태어나 경기중고등학교 및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낭시 국제대학교와 파리대학교에서 철학·사회학·민속학을 공부했다. 귀국하여 잠시 선전 계몽용 문화영화를 제작하다가, 1971년 한국 최초의 종합광고대행사로 인정받는 합동통신사 광고기획실에 입사해 그 후신인 오리콤에서 사장까지 역임했고, 1990년 독립광고대행사 선연을 창립해 선연 및 레오버넷 선연의 회장을 지냈다. 칸느 국제광고제 심사위원, 아시아태평양 광고제(Ad Fest)와 아시아태평양 미디어포럼(APMF) 창립운영위원장, 그리고 국제광고협회(IAA) 세계회장으로 활약하면서 국제 광고무대에 한국 광고의 위상을 드높였다. 국제광고협회로부터 1984년 ‘올해의 인물’로 선정된 것을 비롯해 사미르 파레스상과 공로상을 받았고, 아시아 광고연맹(AFAA)의 공로표창을 받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김석년의 광고인생에서 주목할 10가지 
1.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광고대행사 오리콤의 전신인 합동통신 광고기획실 시절,한국광고가 산업으로 발돋움하던 시기에 대한 생생한 이야기
2. 합동통신 광고기획실 시절 광고 기획 및 제작 등 1970년대 한국광고계의 풍경 
3. 코바코(KOBACO) 설립을 둘러싼 이야기는 1980년대 광고계의 전반적인 변화를 그 당시 광고인들은 어떻게 받아들였는가에 대한 촘촘한 기록
4. 오리콤과 선연, 한국광고계에서 계열사 광고대행사(in-house agency)와 독립 광고대행사 양쪽을 모두 경영해본 사람만이 밝힐 수 있는 흔치 않은 경험 
5. 한국 광고계가 어떻게 아시아 광고계를 비롯하여 국제 광고계로 뻗어나갔는가
6. 글로벌 브랜드와 함께 일한 경험 및 다국적 광고대행사의 국내시장 개방과 관련된 이야기, 광고시장 개방 과정의 한 복판에서 직접 겪어야 했던 한국 광고인의 고뇌와 진한 아쉬움
7. 동양인 최초로 국제광고협회(IAA) 세계회장으로 활약한 도전과 성취의 이야기
8. 국제광고협회(IAA)가 어떻게 움직이고 그 내부의 미묘한 역학관계는 무엇인가, 세계회장이 아니면 전할 수 없는 국제광고계의 민낯 
9. 40년 광고인생이 농축된 김석년의 광고철학 
10. 광고계 입문 이전 그의 개인사적 이야기도 1940년대에서 1960년대까지 한국인의 생활사와 문화사의 단면을 보여주는 흥미진진한 대목
  

책 소개

광고산업은 특성상 개인의 능력이 다른 산업보다도 많이 요구되는 분야 중 하나다. 우리가 ‘CM송’하면 김도향이나 윤형주를 떠올리거나, ‘귀뚜라미 아저씨’로 더 유명한 광고인 오경수 씨가 대중적 인지도를 쌓은 것도 이런 광고산업의 특성을 대변하는 것이기도 하다. 
 하지만 한국의 광고역사를 돌이켜보면 통사로서는 어느 정도 정리가 되어있으나, 시기별 대표인물이나 한국 광고에 초석을 깐 인물 등에 대해선 별다른 연구나 조명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윤태일은 여기에 주목했고, 40여년을 한국 광고산업 발전에 이바지해온 김석년을 연구했다.
그러나 이 책은 단순히 ‘김석년’이라는 개인을 연구한 책이 아니다. 김윤식의 《이광수와 그의 시대》, 루카치의 《괴테와 그의 시대》와 맥락을 같이한다. 김윤식과 루카치가 이광수와 괴테를 통해 그들이 살아온 시대와 그 시대의 문학을 돌아본 것처럼 윤태일도 ‘김석년’이라는 문제적 개인을 통해 한국의 광고 40년사를 조망하고 있다.
김석년의 구술을 기본 텍스트로 삼되, 거기에 머무르지 않고 동시대 다른 광고인의 구술증언 및 한국광고사에 관한 문헌기록과 대조분석한 재구성적 교차분석을 통해 한국광고사를 넉넉히 채우고 있다. 무엇보다도 김석년을 거론하기에 앞서 우선 당시 우리나라 광고산업의 실태를 개괄적으로 정리한 후 김석년의 구술을 통해 그것을 확인 보충하는 형식을 취한 것은 이 책의 큰 장점이다.


저자소개

지은이 윤태일
한림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광고 대행사 한컴에서 카피라이터로 일하다가 SK텔레콤 홍보실로 옮겨 광고홍보 관리 업무를 수행했다. 그 후 미국으로 건너가 테네시대학교(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에서 석사학위, 미주리대학교(University of Missouri, Columbia)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으로는 <사랑과 소통>(2015), <신명 커뮤니케이션>(2014)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광고와 예술>(2009), <플랫랜드>(1996, 2009)가 있다. 한국의 대표적 문화유전자로 꼽히는 신명을 커뮤니케이션 관점에 천착하여, 자기준거적 이론으로 정립하는 것이 주된 연구 관심사이다.
 

차례
 
  감사의 말
1장 들머리 : 그의 이야기가 곧 역사가 되다
    1. 개인사와 산업사의 만남
    2. 구술증언과 문헌기록의 재구성적 교차분석
2장 광고계에 입문하기까기
    1. 서울토박이의 어린 시절
    2. 연극예술에 빠지다 : 경기고와 서울대시절
    3. 프랑스유학시절
    4. 귀국 그리고 선전용 문화영화의 제작
3장 한국 광고산업의 형성 : 합동통신 광고기획실 시절
    1. 광고계에 첫발을 내딛다
    2. 초창기 경쟁광고회사의 출현
    3. 1970년대 광고산업 및 기획분야
    4. 1970년대 광고제작분야
    5. 동아일보 백지광고 사태와 대마초 파동
4장 한국 광고산업의 도약 : 오리콤과 선연시절
    1. 1980년대 광고계와 KOBACO
    2. 계열 광고대행사 오리콤 경영
    3. 독립 광고대행사 선연 경영
5장 한국 광고 국제화의 한복판에서
    1. 글로벌 브랜드와 함께 일하기
    2. 아시아 광고계의 주역으로 : AFAA / Ad Asia 활동
    3. 한국광고산업의시장개방/ 244
6장 세계를 무대로 누비다 : 국제광고협회(IAA) 활동
    1. 국제광고협회 활동의 시작
    2. 국제광고협회 세계회장 활동
    3. 국제광고협회 활동에 대한 평가 및 조언
7장 광고에 대한 견해
    1. 광고인생의 주제어 : 프로페셔널리즘
    2. 광고의 창의성과 과학성
    3. 광고주와 대행사 관계
    4. 광고의 사회적 책임과 규제
    5. 광고 어떻게 배우고 가르쳐야 하나
8장 마무리 : 신명의 세월
    1. 주목할 만한 대목 10가지
    2. 프로페셔널리즘 인정투쟁 그리고 신명
    참고문헌
    부록 김석년 연보·한국광고사 연표

 
김석년 ·  IAA ·  AFAA ·  오리콤 ·  선연 ·  윤태일 ·  명예의전당  · 
이 기사에 대한 의견 ( 총 0개 )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2
 AI와 디지털이 주도하는 광고 시장 AI의 진화와 함께 KOBACO 집계기준 약 8% 성장한 디지털 광고 시장은 60%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며 전체 광고 시장의 대표 주자임을 확실히 각인시킨 해였다(그림 1). 경기 침체 속에서 AI 기술의 도입으로 타겟팅 및 효율성이 우수해진 디지털 미디어로 광고 수요가 전환되는 추세가 더욱 가속화되며 디지털 광고 시장이 전체 시장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검색 광고 시장은 AI 기술
[월간 2025밈] 05월 편 - 트랄라레오 트랄라라쨩 나니가스키? 쫀득쿠키 요리모 아 나 타!
  • 쫀득쿠키?  • 너 꿈꿨니??  • 루비쨩~ 하이! 나니가스키??  • 트랄라레오 트랄라라랑 퉁퉁퉁 사후르랑 싸우면 누가 이길까?  •  Hey GPT, 우리 강아지가 사람이라면 어떨 것 같아??  • 더운 여름, 몸속 수분을 가득 채우는 방법?   쫀득쿠키?   두바이 초콜릿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1
글 김수영 프로 | 제일기획 미디어퍼포먼스 1팀 2024년은 제자리 걸음이었던 광고 시장이 한 발자국을 내디디며 앞으로 나아가는 해였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에 따르면 2023년 0.1% 증가로 사실상 답보 상태를 보였던 국내 광고 시장 총 광고비 매출액은 2024년 전년 대비 2.8% 성장한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내·외부 경제 불확실성과 소비자 행동 변화로 방송 광고비는 -10.8% 감소로 부진했지만
[월간 2025밈] 04월 편 - 야푸로 계란구름라면을 먹으면? 리얼 허거덩거덩스한 상황?
  •  계란 구름 라면 •  허거덩거덩스 •  요즘 MZ는 박람회를 찾는다?! •  MZ들이 스포츠를 즐기는 방법 •  짜부짜부 스트레스 볼  •  화장품, 향수에도 유해가스가 있다는 사실알고 있었나요?? 허거덩거덩스   계란 구름 라면   그룹 엔하이픈의 멤버 '희승'이 혜리의
[KAA Focus] 방송광고 사전심의 폐지 10주년 "그땐 그랬지"
2008년 6월 26일 헌법재판소는 방송광고도 헌법이 보장하는 언론, 출판의 자유 보호 대상이 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검열이나 허가는 인정되지 않는다며 방송광고 사전 심의제에 대하여 위헌 결정을 내렸다. 1970년대부터 그때까지 모든 방송광고는 사전에 심의를 받고 통과해야만 온에어가 가능했다. 수많은 미디어에 다양한 수단과 방법으로 광고를 집행하고 있는 지금 세대에는 호랑이 담배피던 시절의 옛날얘기일 테지만 그땐 그랬다. 제작 완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