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은 있다, 하지만 접촉은 없다?
제일기획 기사입력 2021.06.14 12:00 조회 5147
 
 
 
 
 
 공간은 있다, 하지만 접촉은 없다?
 
 

차상우_브랜드 테크기업 ‘더 워터멜론’ 공동 대표


비대면이 일상화된 시기이지만 브랜드 공간은 더 생겨나고 있다는데. ‘비대면 체험 마케팅’은 많은 관심을 넘어 기업과 브랜드의 생존을 위한 필수적인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 비대면이 화두가 된 것은 단지 팬데믹의 영향만은 아니다. 그 전부터 새로운 핵심 소비층인 MZ세대가 브랜드를 접하는 방식이 바뀌고 있었다. MZ세대는 비대면 채널에서 소통하며 다양한 경험을 쌓는다. 브랜드 역시 그들의 핵심 고객을 만나기 위해 온, 오프라인을 넘은 디지털, 혹은 융합된 형태의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펼치는 추세다. 팬데믹이 이 흐름을 가속하긴 했지만, 타겟 고객의 성향과 고객과의 접점이 달라지며 자연적으로 발생한 니즈라고 할 수 있다.


비대면, 브랜드에 펼쳐진 새로운 기회
 
 
 
비대면 체험 마케팅은 브랜드들에 어떤 기회를 줄 수 있을까? 고객과의 접근 가능성을 높여 끊임없는 브랜드 경험을 전할 수 있게 한다. 그전까지는 오프라인과 온라인 경험이 끊기고 이어지기를 반복했다면, 비대면 체험 마케팅이 활성화되며 경험의 연속성이 생기게 되었다.
 

 
패션브랜드 ‘캉골’의 디지털 쇼룸 (출처: 캉골 웹사이트)


MZ 세대에게 캥거루 로고로 친숙한 패션 브랜드, 캉골(Kangol)은 VR(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쇼룸을 선보였다. 캉골샵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1~2층의 공간에 신상품이 구성되어 있다. 이는 홍대에 위치한 캉골 스토어를 360도 카메라로 촬영해 구현한 것으로, 온라인에서도 마치 실제 공간에 와있는 것처럼 생생한 현장감을 전달한다. 각 제품에 표시된 흰색 점을 누르면 제품 상세 페이지를 볼 수 있고, 2층에는 힙합 아티스트 우원재의 공연 영상을 상영해 주 고객인 MZ 세대의 관심을 사로잡는다. VR 기술을 활용해 비대면으로 새 컬렉션을 선보이는 고객과의 접점을 성공적으로 만든 사례다.


발렌티노의 2020 봄여름 컬렉션 의상을 입은 모델과 동물의 숲 캐릭터 (출처: 조선비즈)


명품 패션 브랜드도 디지털 쇼룸을 통해 오프라인 경험을 온라인에서 가능하게 한다. 발렌티노(Valentino)와 마크 제이콥스(MARC JACOBS)는 ‘동물의 숲’에서 2020 S/S 컬렉션 의상을 선보였다. 구찌(GUCCI)는 제페토와의 콜라보레이션으로 구찌 빌라(Gucci Villa)를 만들어 2021 S/S 컬렉션을 구경하고 입어 볼 수 있는 비대면 체험 공간을 만들었다. 그동안 오프라인 매장이 담당했던 역할을 비대면 환경에서 최대한 유사하게 체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롯데백화점은 VVIP 대상 행사에서 태블릿으로 명품 브랜드의 VR 쇼룸을 제공하기도 했다. 오프라인 패션쇼의 오더 시트는 VR 쇼룸에서 관심상품을 클릭하면 바로 구매할 수 있는 히든 링크로 대체했다.


 한성자동차의 디지털 쇼룸 소개 (출처: 한성자동차 공식 페이스북)


자동차 업계에서도 이런 흐름을 찾아볼 수 있다. 벤츠코리아 공식 딜러, 한성자동차의 미래형 디지털 쇼룸을 표현한 ‘디지털 파크’가 그 예다. 디지털 파크는 신형 벤츠 모델 전시와 함께 미래 모빌리티의 비전을 가상으로 체험할 수 있는 VR 체험 프로그램, 키오스크 온라인 시승 예약, 자신에게 맞는 EQC(벤츠 전기차 모델)를 추천받는 온라인 레이싱 게임 등 온, 오프라인이 연결된 디지털 체험을 제공한다. 이전의 체험형 이동전시장인 ‘디지털 큐브’에서 종합적인 디지털 체험 공간으로 규모와 컨셉을 확장한 형태다.
 
이처럼 요즘 브랜드들에는 고객의 직간접 경험(체험)을 통한 상호작용이 아주 중요한 키워드다. 고객이 브랜드를 스스로 가지고 놀 수 있도록 만들고, 연속적인 경험을 제공한다면 상호 교감은 무한대로 커질 수 있다.


구찌와 제페토가 콜라보레이션해 만든 ‘구찌 빌라’ (출처: 구찌 웹사이트)


그동안 브랜드들은 새로운 기술과 가능성이 삶으로 들어올 때마다 많은 기회를 맛보았다. 럭셔리 브랜드를 예로 들면, 과거에 고객이 럭셔리 브랜드를 접할 수 있는 곳은 대형 백화점의 거대 광고판이나 패션지의 전면 광고였다. 하지만 이제는 비대면 채널 또는 가상세계로 고객 접점이 넓어졌다. 브랜드의 가치를 고객에게 보여줄 수 있는 채널이 많아진 것. 대면 vs 비대면, 오프라인 vs 온라인의 문제이기보다 ‘어떻게 고객들에게 온전한 브랜드 경험 혹은 체험을 끊이지 않게 제공할까’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2021 #제일기획 #제페토 #캉골 #동물의 숲 #구찌 · 
이 기사에 대한 의견 ( 총 0개 )
[어텐션, 크리에이터] AI 활용팁을 알려주는 AI 전문 크리에이터 4
제일기획 편집팀   업무에 AI를 활용하고는 싶은데 무엇부터 할지 막막할 때, 매일 반복되는 작업을 AI로 빠르게 처리할 순 없을지 궁금할 때. AI 활용법이 궁금한 이들을 위해 준비했다. 챗GPT부터 생성형 영상 소라까지. 다양한 AI 팁을 알려주는 크리에이터 채널 4.   #모션그래픽 #AI영상 #쉬운설명 구독자 3.21만명(*24년 12월 기준) ▶ 채널 바로가기 영화 맨인블랙부터
[어텐션, 크리에이터]2023 최다 조회수 인기 쇼츠 TOP 5
하루에도 수없이 올라오는 유튜브 쇼츠. 그중에서도 소수의 영상만이 알고리즘의 선택을 받아 대중에게 널리 널리 퍼진다. 그렇다면 과연 지난해엔 어떤 쇼츠가 우리들의 눈길을 사로잡았을까? 올해 콘텐츠를 준비하기에 앞서 2023년 가장 많은 조회 수를 끈 쇼츠를 복습해 보자.
호빵의 따뜻함에 감각적 영상을 끼얹었더니, 삼립호빵 캠페인
 제일기획 김하나 프로 (비즈니스 16팀) 찬바람이 싸늘하게 불기 시작하면 자연스레 떠오르는 음식이 있다. 바로 한국인의 소울 간식 호빵이다. 편의점 빨간 찜기에서 모락모락 피어오르는 김, 갓 찐 호빵에서 유산지를 벗기는 재미, 뜨거운 호빵을 반으로 갈라 친구와 호호 불며 먹는 기억. 한국인에게 호빵은 단순한 간식을 넘어 겨울이란 계절에 녹아 든 행복의 상징이다. 삼립호빵 캠페인을 소개하기 앞서 토막상식을 전하면, &lsqu
Boys Be SLEEK 관성의 틀을 깨다, 도루코 SLEEK 캠페인
제일기획 송영상 프로 (비즈니스 7팀) 지난 수십 년간 면도기 시장은 단일 브랜드가 독보적인 점유율을 차지했기에, 많은 소비자에게 ‘면도기는 OOO’이라는 고정관념이 깊게 자리 잡혀 있었다. 소비자들은 면도기를 구매할 때 큰 고민 없이 익숙한 선택을 반복해 왔다. 이런 면도기 시장에 새로운 혁신을 가져올 브랜드가 새롭게 등장했으니, 바로 도루코의 프리미엄 면도기 브랜드 SLEEK이었다. 도루코는 자신들의 70여
막강한 소비 파워를 자랑하는 3040 여심 사로잡기
미국의 미래학자 페이스 팝콘은 21세기 트렌드 중 하나로 ‘이브(Eve)’와 ‘진화(Evolution)’의 합성어인 ‘이브올루션(Eveolution)’을 언급한 적이 있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구매자 및 구매 의사 영향자(Influencer)로서 여성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국내 소비 시장에서도 파워가 세지는 3040 여성 소비자에 대해 알아본다.
[월간 2025밈] 01월 편 - 일하기 싫은 직장인... 아니 키티
  •  일하기 싫은 키티 •  햄스터 밈의 정석!? 밤톨이들??  •  16년 만에 돌아왔다. 월레스와 그로밋 대공개!    •  QUEEN NEVER CRY  •  올해 계획 어떻게 세울까? 만다라트?   일하기 싫은 키티    일하기 싫은 오천만 직장
[어텐션, 크리에이터]2023 최다 조회수 인기 쇼츠 TOP 5
하루에도 수없이 올라오는 유튜브 쇼츠. 그중에서도 소수의 영상만이 알고리즘의 선택을 받아 대중에게 널리 널리 퍼진다. 그렇다면 과연 지난해엔 어떤 쇼츠가 우리들의 눈길을 사로잡았을까? 올해 콘텐츠를 준비하기에 앞서 2023년 가장 많은 조회 수를 끈 쇼츠를 복습해 보자.
[Close up] 2022년 국내 광고 시장 9.3% 성장한 15조 2,842억 원 전망
 2022년 국내 광고 시장 9.3% 성장한 15조 2,842억 원 전망 제일기획, 국내 총 광고비 결산 및 전망 발표 자료제공 제일기획  
2023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4년 전망
2023년 연초 광고 시장에 드리웠던 불안한 예감은 현실이 됐다. 지난 2021년 20.4%라는 큰 성장 이후 2022년 5.4% 재 성장하며 숨 고르기로 다시 한번 도약을 준비하던 광고 시장이었다. 하지만 발표된 다수의 전망들은 2023년 광고 시장의 축소를 내다보고 있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에 따르면 2023년 광고비는 전년 대비 3.1%p 하락으로 전망됐고, 이중 방송 광고비는 17.7% 감소가 예상됐다.
[어텐션, 크리에이터] AI 활용팁을 알려주는 AI 전문 크리에이터 4
제일기획 편집팀   업무에 AI를 활용하고는 싶은데 무엇부터 할지 막막할 때, 매일 반복되는 작업을 AI로 빠르게 처리할 순 없을지 궁금할 때. AI 활용법이 궁금한 이들을 위해 준비했다. 챗GPT부터 생성형 영상 소라까지. 다양한 AI 팁을 알려주는 크리에이터 채널 4.   #모션그래픽 #AI영상 #쉬운설명 구독자 3.21만명(*24년 12월 기준) ▶ 채널 바로가기 영화 맨인블랙부터
[월간 2025밈] 01월 편 - 일하기 싫은 직장인... 아니 키티
  •  일하기 싫은 키티 •  햄스터 밈의 정석!? 밤톨이들??  •  16년 만에 돌아왔다. 월레스와 그로밋 대공개!    •  QUEEN NEVER CRY  •  올해 계획 어떻게 세울까? 만다라트?   일하기 싫은 키티    일하기 싫은 오천만 직장
[어텐션, 크리에이터]2023 최다 조회수 인기 쇼츠 TOP 5
하루에도 수없이 올라오는 유튜브 쇼츠. 그중에서도 소수의 영상만이 알고리즘의 선택을 받아 대중에게 널리 널리 퍼진다. 그렇다면 과연 지난해엔 어떤 쇼츠가 우리들의 눈길을 사로잡았을까? 올해 콘텐츠를 준비하기에 앞서 2023년 가장 많은 조회 수를 끈 쇼츠를 복습해 보자.
[Close up] 2022년 국내 광고 시장 9.3% 성장한 15조 2,842억 원 전망
 2022년 국내 광고 시장 9.3% 성장한 15조 2,842억 원 전망 제일기획, 국내 총 광고비 결산 및 전망 발표 자료제공 제일기획  
2023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4년 전망
2023년 연초 광고 시장에 드리웠던 불안한 예감은 현실이 됐다. 지난 2021년 20.4%라는 큰 성장 이후 2022년 5.4% 재 성장하며 숨 고르기로 다시 한번 도약을 준비하던 광고 시장이었다. 하지만 발표된 다수의 전망들은 2023년 광고 시장의 축소를 내다보고 있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에 따르면 2023년 광고비는 전년 대비 3.1%p 하락으로 전망됐고, 이중 방송 광고비는 17.7% 감소가 예상됐다.
[어텐션, 크리에이터] AI 활용팁을 알려주는 AI 전문 크리에이터 4
제일기획 편집팀   업무에 AI를 활용하고는 싶은데 무엇부터 할지 막막할 때, 매일 반복되는 작업을 AI로 빠르게 처리할 순 없을지 궁금할 때. AI 활용법이 궁금한 이들을 위해 준비했다. 챗GPT부터 생성형 영상 소라까지. 다양한 AI 팁을 알려주는 크리에이터 채널 4.   #모션그래픽 #AI영상 #쉬운설명 구독자 3.21만명(*24년 12월 기준) ▶ 채널 바로가기 영화 맨인블랙부터
[월간 2025밈] 01월 편 - 일하기 싫은 직장인... 아니 키티
  •  일하기 싫은 키티 •  햄스터 밈의 정석!? 밤톨이들??  •  16년 만에 돌아왔다. 월레스와 그로밋 대공개!    •  QUEEN NEVER CRY  •  올해 계획 어떻게 세울까? 만다라트?   일하기 싫은 키티    일하기 싫은 오천만 직장
[어텐션, 크리에이터]2023 최다 조회수 인기 쇼츠 TOP 5
하루에도 수없이 올라오는 유튜브 쇼츠. 그중에서도 소수의 영상만이 알고리즘의 선택을 받아 대중에게 널리 널리 퍼진다. 그렇다면 과연 지난해엔 어떤 쇼츠가 우리들의 눈길을 사로잡았을까? 올해 콘텐츠를 준비하기에 앞서 2023년 가장 많은 조회 수를 끈 쇼츠를 복습해 보자.
[Close up] 2022년 국내 광고 시장 9.3% 성장한 15조 2,842억 원 전망
 2022년 국내 광고 시장 9.3% 성장한 15조 2,842억 원 전망 제일기획, 국내 총 광고비 결산 및 전망 발표 자료제공 제일기획  
2023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4년 전망
2023년 연초 광고 시장에 드리웠던 불안한 예감은 현실이 됐다. 지난 2021년 20.4%라는 큰 성장 이후 2022년 5.4% 재 성장하며 숨 고르기로 다시 한번 도약을 준비하던 광고 시장이었다. 하지만 발표된 다수의 전망들은 2023년 광고 시장의 축소를 내다보고 있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에 따르면 2023년 광고비는 전년 대비 3.1%p 하락으로 전망됐고, 이중 방송 광고비는 17.7% 감소가 예상됐다.
[어텐션, 크리에이터] AI 활용팁을 알려주는 AI 전문 크리에이터 4
제일기획 편집팀   업무에 AI를 활용하고는 싶은데 무엇부터 할지 막막할 때, 매일 반복되는 작업을 AI로 빠르게 처리할 순 없을지 궁금할 때. AI 활용법이 궁금한 이들을 위해 준비했다. 챗GPT부터 생성형 영상 소라까지. 다양한 AI 팁을 알려주는 크리에이터 채널 4.   #모션그래픽 #AI영상 #쉬운설명 구독자 3.21만명(*24년 12월 기준) ▶ 채널 바로가기 영화 맨인블랙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