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소리’로 통하다
INNOCEAN Worldwide 기사입력 2018.08.02 12:00 조회 4065
청각을 중심으로 한 콘텐츠가 최근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일상생활에서 경청할 수 있는, 소리가 주는 청각적인 즐거움을 따라가 보자. 

오감을 자극하는 청각 콘텐츠, ASMR 
 
아이유가 속삭이는 경동제약의 진통제 광고, 김풍이 요리하는 과정에서 나는 재료의 소리로 채운 풀무원 육개장 칼국수 광고 등 최근, ASMR을 광고에 접목시킨 광
고가 심심찮게 눈에 띄고 있다. ‘ASMR 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은 ‘자율 감각 쾌감 반응’이라는 뜻으로, 일상적인 소음을 말한다. ASMR은 조용하고 반복적인 소리로 뇌를 자극해 심리적인 안정과 편안함, 수면을 유도한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 유튜브에는 약 780만 개의 ASMR 콘텐츠가 등록되어 있고, ASMR 콘텐츠만을 전 문적으로 선보이는 업로더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듣는 것만으로도 안정감을 느끼는 ASMR에는 속삭임 Whispering, 조용히 말하기 Soft Speaking, 두드림 Tapping, 음식 먹는 소리 Eating Sound 등 종류도 다양하다. 이러한 ASMR 은 광고와 마케팅을 넘어 다양한 콘텐츠로 재생산되고 있기도 하다. 최근 종영한 tvN 예능 프로그램 <숲속의 작은 집>은 예능과 ASMR을 접목시킨 신개념 콘텐츠로, 인물이 주가 되기보단 나무 소리, 장작 타는 소리, 빗
소리 등 자연의 소리에 집중하게 해준다. 백종원이 나오는 예능 프로그램 <스트리트 푸드 파이터> 역시 백종원이 음식을 씹는 소리, 프라이팬 위에서 재료들이 튀겨지는 소리의 집중한다. 청각적인 방식을 통해 시청자들의 집중도를 높이고 있는 것이다.  

 
 
 
청각 ·  콘텐츠 ·  청각 콘텐츠 ·  ASMR ·  이노션 · 
이 기사에 대한 의견 ( 총 0개 )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2
 AI와 디지털이 주도하는 광고 시장 AI의 진화와 함께 KOBACO 집계기준 약 8% 성장한 디지털 광고 시장은 60%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며 전체 광고 시장의 대표 주자임을 확실히 각인시킨 해였다(그림 1). 경기 침체 속에서 AI 기술의 도입으로 타겟팅 및 효율성이 우수해진 디지털 미디어로 광고 수요가 전환되는 추세가 더욱 가속화되며 디지털 광고 시장이 전체 시장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검색 광고 시장은 AI 기술
[월간 2025밈] 05월 편 - 트랄라레오 트랄라라쨩 나니가스키? 쫀득쿠키 요리모 아 나 타!
  • 쫀득쿠키?  • 너 꿈꿨니??  • 루비쨩~ 하이! 나니가스키??  • 트랄라레오 트랄라라랑 퉁퉁퉁 사후르랑 싸우면 누가 이길까?  •  Hey GPT, 우리 강아지가 사람이라면 어떨 것 같아??  • 더운 여름, 몸속 수분을 가득 채우는 방법?   쫀득쿠키?   두바이 초콜릿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1
글 김수영 프로 | 제일기획 미디어퍼포먼스 1팀 2024년은 제자리 걸음이었던 광고 시장이 한 발자국을 내디디며 앞으로 나아가는 해였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에 따르면 2023년 0.1% 증가로 사실상 답보 상태를 보였던 국내 광고 시장 총 광고비 매출액은 2024년 전년 대비 2.8% 성장한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내·외부 경제 불확실성과 소비자 행동 변화로 방송 광고비는 -10.8% 감소로 부진했지만
[월간 2025밈] 04월 편 - 야푸로 계란구름라면을 먹으면? 리얼 허거덩거덩스한 상황?
  •  계란 구름 라면 •  허거덩거덩스 •  요즘 MZ는 박람회를 찾는다?! •  MZ들이 스포츠를 즐기는 방법 •  짜부짜부 스트레스 볼  •  화장품, 향수에도 유해가스가 있다는 사실알고 있었나요?? 허거덩거덩스   계란 구름 라면   그룹 엔하이픈의 멤버 '희승'이 혜리의
[KAA Focus] 방송광고 사전심의 폐지 10주년 "그땐 그랬지"
2008년 6월 26일 헌법재판소는 방송광고도 헌법이 보장하는 언론, 출판의 자유 보호 대상이 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검열이나 허가는 인정되지 않는다며 방송광고 사전 심의제에 대하여 위헌 결정을 내렸다. 1970년대부터 그때까지 모든 방송광고는 사전에 심의를 받고 통과해야만 온에어가 가능했다. 수많은 미디어에 다양한 수단과 방법으로 광고를 집행하고 있는 지금 세대에는 호랑이 담배피던 시절의 옛날얘기일 테지만 그땐 그랬다. 제작 완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