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함과 맞춤의 힘 - 게임의 제왕, 닌텐도(Nintendo)
CHEIL WORLDWIDE 기사입력 2009.11.23 10:00 조회 7676
최병두 | 영국법인 국장 bd.choe@cheil.com

2008년 하반기부터 불어 닥친 전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일본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기업인 토요타(Toyota)와 전자업체 소니(Sony)조차도 실적 악화로 고전하는 가운데, 2009년 사상 최고의 이익(2009년 3월 연결영업이익이 전기보다 9% 증가한 5300억 엔, 매출 역시 8.8% 늘어난 1조 8200억 엔 달성)을 내며 고공행진을 하는 기업이 있었으니, 그 이름은 비디오 게임으로 유명한 닌텐도(Nintendo)이다.

전 세계에서 열 번째로 큰 소프트웨어 회사

불황 속에도 닌텐도가 잘 나가는 것은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콘솔형 게임기인‘위(Wii)’와 휴대형 게임기‘닌텐도DS’의 판매가 호조를 보였기 때문이라고하는데, 위는 2008년 4~12월 세계 각국에서 2007년 같은 기간보다 40% 늘어난 2052만 대가 판매됐고, 닌텐도DS도 전년 수준을 약간 웃도는 2562만 대가 팔려나가 사상 최대의 판매량을 달성했다.

닌텐도는 어떤 기업인가? 1889년 후사지로 야마우치(Fusajiro Yamauchi)가손으로 만든‘하나푸다(Hnanfuda)’란 게임용 카드를 생산하면서 창립한 닌텐도는 2008년까지 세계적으로 4억 7000만 대의 게임기(Hardware)와 27억 개의 게임 소프트웨어(Software)를 팔아 시장 가치만 850억 달러에 달하는 명실상부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다.

2007년 닌텐도는 실적(Revenue)만 1조 6720억엔에 임직원만 3768명(2008년 기준)에 달하는 전 세계에서 열 번째로 큰 소프트웨어 회사이다. 워싱턴을 연고로 한 시애틀 마리너(Seattle Mariners)의 구단주이기도 한 닌텐도의 일본어 이름(任天堂)을 영어로 번역하면 재미있게도‘Leave luck to Heaven’이라고 한다.

게임기의 제왕, 닌텐도DS

닌텐도는‘Donky Kong (1981)’‘Super Mario Bros (1985)’등 전 세계 비디오 게임의 역사에 기록된 수많은 빅히트 게임을 내놓고 있는데, 이런 소프트를 즐기기 위한 유일한 매체로서 게임기 판매(Video Game Console)를 비즈니스의 핵심 모델로 해오고 있다. 닌텐도를 대표하는 게임기로 원조는 1989년 소개된 겜보이(Game Boy)라는 휴대용 게임 콘솔(Handheld video game console)이 있다.



이 제품이 진화해 최종 두 개의 스크린을 가진 휴대용 게임 콘솔(Dual Screen Handheld Game Console)로 정착된 것이 닌텐도DS이다.



닌텐도DS는 2008년(9월 30일 기준)까지 전세계적으로 약 8400만 대가 팔려나간 명실공히 휴대용 게임기의 제왕이다. 7세대까지 진화된 현재의 모델은 게이머들끼리 물리적으로 10~30m 거리 이내 또는 와이파이(Wi-Fi)연결을 통해 상호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이 작은 게임기는 게임기 자체의 판매도 판매지만 일단 닌텐도DS를 구입한 고객이 새로운 게임 카드를 구입해 끊임없이 즐길 수 있도록 일종의 미디어(Media) 역할을 하게끔 하는 것이 비즈니스의 핵심이다. 마케팅 고전에 단골로 등장하는 면도기 회사의‘레이저 블레이드(Razer Blade : 일단 면도기를 싸게 공급하고 실제 매출과 이익은 면도날 판매로 지속 충당하는)’모델의 또 다른 버전임에 틀림없다.

여하간 이 작은 게임기 매체를 통해 가장 많이 팔려나간 게임카드 1위는 2008년까지 2000만 개가 판매된 닌텐독스(Nintendogs)이고, 이어 1589만 개를 기록한 뉴수퍼마리오(New Super Mario Bros)가 그 뒤를 잇고 있다.



가정용 게임의 대명사 닌텐도 Wii

닌텐도DS가 휴대용(개인 타깃)이라면 온 가족을 위한 가정용으로 만들어진 것 (Home Video Game Console)이 닌텐도 위(Wii)이다. 위 역시 2008년 말까지 전 세계적으로 약 3455만 대가 팔려나가 가정용 게임의 대명사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이 가정용 게임 콘솔(미디어)을 통해 가장 많이 팔린 게임(S/W)은‘위스포츠(Wii Sports)’로 2008년까지 3087만 개를 기록하고 있고, 이어‘위플레이’가 1615만 개로 뒤를 잇고 있다.



지금까지 일곱 번 업데이트(Update)된 닌텐도 위는 기본적으로 모션을 감지하는 콘트롤러(Motion Sensing Controller)를 사용하고 있어 게임 사용자의 액션이 그대로 게임 속 주인공의 액션으로 반영되어 게임 콘솔의 버튼만 조작해야 하는 타 게임기(소니 플레이스테션, 마이크로소프트 엑스박스 등)에 비해 사용자와 게임기 간 더 많이 상호반응(Interactive)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기본적으로 온라인을 연결해 사용할 수 있고 옵션에 따라 와이파이, 비추얼콘솔 (Virtual Console), 위웨어(Wii Ware) 등과 같은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 전 세계적인 불황을 비웃듯 독야청청 고공비행을 하고 있는 닌텐도의 성공비결은 무엇일까?

2008년 영국의 히트 상품에도 닌텐도 위가 당당히 이름을 올리고 있는데, 런던 무역관은 위의 성공요인을 첫째,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무선기술을 통한 모션센스 기능으로 생동감 넘치는 게임이 가능하다는 점, 둘째, 닌텐도의 클래식 게임 등 다양한 번들 게임을 제공한다는 점 등으로 요약한 바 있다.

한편 일본의 대표적인 신문 요미우리는 닌텐도의 성공 요인으로 첫째, 불황으로 사람들이 외출을 자제하고 집에서 함께 보내는 시간이 늘면서 가정용 게임기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둘째, 게임 마니아 중심의 소프트웨어에 집중하고 있는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이나 마이크로소프트의 엑스박스와 달리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가족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쉽고 단순하지만 풍부한 소프트웨어를 갖췄기 때문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이는 더욱 근본적이고 심리적인 측면에서 닌텐도의 경쟁력을 설명한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게임기(Console) 판매 => 게임판매 => 게임기 업그레이드 => 업그레이드 게임 판매’란 황금분할 비즈니스 모델을 돌아가게 하는 또 하나의 엔진(Trigger)은 닌텐도의 지속적인 광고 마케팅투자에 있다.

한 예로 2006년 영국에서만 닌텐도 위 관련 2570만 달러의 광고비를 투자했고 그 추세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어, 닌텐도가 얼마나 소비자의 머릿속에 새로운 게임과 게임 소프트웨어를 지속적으로 인식시키려고 하는지 엿볼 수 있다.
닌텐도 ·  Nintendo ·  게임기 ·  오락기 ·  휴대형게임기 ·  닌텐도DS ·  닌텐도Wii ·  닌텐도위 · 
이 기사에 대한 의견 ( 총 0개 )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2
 AI와 디지털이 주도하는 광고 시장 AI의 진화와 함께 KOBACO 집계기준 약 8% 성장한 디지털 광고 시장은 60%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며 전체 광고 시장의 대표 주자임을 확실히 각인시킨 해였다(그림 1). 경기 침체 속에서 AI 기술의 도입으로 타겟팅 및 효율성이 우수해진 디지털 미디어로 광고 수요가 전환되는 추세가 더욱 가속화되며 디지털 광고 시장이 전체 시장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검색 광고 시장은 AI 기술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1
글 김수영 프로 | 제일기획 미디어퍼포먼스 1팀 2024년은 제자리 걸음이었던 광고 시장이 한 발자국을 내디디며 앞으로 나아가는 해였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에 따르면 2023년 0.1% 증가로 사실상 답보 상태를 보였던 국내 광고 시장 총 광고비 매출액은 2024년 전년 대비 2.8% 성장한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내·외부 경제 불확실성과 소비자 행동 변화로 방송 광고비는 -10.8% 감소로 부진했지만
성공적인 기업 마케팅 은 브랜드를 지속케 하 는 컨셉에서 나와 빅픽처팀-현우진 대표이사
 광고업계 취업을 목표로 하는 대학생 및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진행 되는 국내 유일 예비 광고인 양성 기관인 한국광고아카데미 9기가 6월 10일부터 10월 31일까지 약 6개 월간 진행된다. 지난 기수 모집 시, 많은 지원자에 비해 모집 인원수가 적다는 의견을 반영하여 지난 기수 모집인원 대비 20명을 증 원해 60명을 모집했으며, 1차 서류 심사, 2차 면접을 거쳐 최종인원을 선발했다. 또한 교육생들의 수업 집중도를 높이기 위해 A반과 D반
[월간 2025밈] 08월 편 - 지금부터 밈집 시작할테니까 댓글 좀 예쁘게 써줘.
  • AI or REAL  • 우리 애 자랑 좀 할게요 • AI 캐릭터 만들기 • 관세청의 가나디들  • 퇴근길=하룰라라? 출근길=저숭라라? • 영국 생활의 모든 것을 알려주는명예 영국인 백진경  • 캠페인 소개   AI or REAL   지난달 소개해드린 07월 밈집의 내용 중 하나인 AI ASMR, 일명
HL그룹 <나를 믿다> 캠페인
  캠페인 한줄평   나를 믿다. HL이 전하는 나와 당신, 우리 모두의 이야기   ?HL그룹의 과제는?   “이제는 HL그룹을 본격적으로 내세울 차례”   2022년, HL그룹은 한라그룹에서 ‘HL(Higher Life)’로 사명을 변경했습니다. 현시대에 발맞추고 계속해서 성장하는 그룹으로 나아가겠다는 포부의 출발점이었죠. 하지만 새로운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2
 AI와 디지털이 주도하는 광고 시장 AI의 진화와 함께 KOBACO 집계기준 약 8% 성장한 디지털 광고 시장은 60%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며 전체 광고 시장의 대표 주자임을 확실히 각인시킨 해였다(그림 1). 경기 침체 속에서 AI 기술의 도입으로 타겟팅 및 효율성이 우수해진 디지털 미디어로 광고 수요가 전환되는 추세가 더욱 가속화되며 디지털 광고 시장이 전체 시장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검색 광고 시장은 AI 기술
[뉴스레터] ADinfo 제 135호
애드인포 제 135호 - 7월 광고업계 소식 및 동향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1
글 김수영 프로 | 제일기획 미디어퍼포먼스 1팀 2024년은 제자리 걸음이었던 광고 시장이 한 발자국을 내디디며 앞으로 나아가는 해였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에 따르면 2023년 0.1% 증가로 사실상 답보 상태를 보였던 국내 광고 시장 총 광고비 매출액은 2024년 전년 대비 2.8% 성장한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내·외부 경제 불확실성과 소비자 행동 변화로 방송 광고비는 -10.8% 감소로 부진했지만
[Brand] 2022년 호랑이해 맞아 더 유명해진 ‘무직타이거’
 2022년 호랑이해 맞아 더 유명해진 ‘무직타이거’ 뚱뚱한 호랑이 캐릭터 ‘뚱랑이’를 소개합니다!   글 배진영 실장|무직타이거 ‘뚱랑이’의 탄생 무직타이거는 ‘뚱랑이’가 주인공인 캐릭터 디자인 브랜드입니다. 뚱뚱한 호랑이의 줄임말인 뚱랑이는 인스타그램에서 매일 다른 톤의 호랑이 드로잉을 실험하는 가운데 온라인에서 고객 피드백을 흡수해 탄생했습니다. ‘뚱랑이’라는 이름도 팬 분들이 지어준 이름입니다. 무직타이거의 대표 캐릭터가 호랑이가 된 이유는 바로 ‘한국적’인데 있습니다. 호랑이는 언제나 우리나라의 마스코트 역할을 톡톡히 해왔습니다. 옛이야기 속에서도 양반, 수호신, 민중 등 다양한 페르소나로 등장했습니다. 이러한 호랑이가 현재의 우리를 대변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2025년 크리에이티브 트렌드 전망
  경기 둔화와 소비 심리 위축 속에서 브랜드는 더욱 신중한 전략과 세밀하게 설계된 메시지로 소비자와 소통해야 하는 과제를 마주했다. 소비자는 단순한 광고 메시지보다 공감과 진정성을 담은 크리에이티브를 기대하고 있으며, 브랜드는 이러한 니즈에 맞춰 더욱 정교하고 차별화된 전략을 펼치고 있다. 팝업스토어는 콘텐츠의 세계관을 오프라인에서 구현하며 경험의 가치를 높이고 있고, 크리에이티브는 위로와 공감을 통해 소비자의 감정적 경험을 확장하며 브랜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2
 AI와 디지털이 주도하는 광고 시장 AI의 진화와 함께 KOBACO 집계기준 약 8% 성장한 디지털 광고 시장은 60%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며 전체 광고 시장의 대표 주자임을 확실히 각인시킨 해였다(그림 1). 경기 침체 속에서 AI 기술의 도입으로 타겟팅 및 효율성이 우수해진 디지털 미디어로 광고 수요가 전환되는 추세가 더욱 가속화되며 디지털 광고 시장이 전체 시장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검색 광고 시장은 AI 기술
[뉴스레터] ADinfo 제 135호
애드인포 제 135호 - 7월 광고업계 소식 및 동향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1
글 김수영 프로 | 제일기획 미디어퍼포먼스 1팀 2024년은 제자리 걸음이었던 광고 시장이 한 발자국을 내디디며 앞으로 나아가는 해였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에 따르면 2023년 0.1% 증가로 사실상 답보 상태를 보였던 국내 광고 시장 총 광고비 매출액은 2024년 전년 대비 2.8% 성장한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내·외부 경제 불확실성과 소비자 행동 변화로 방송 광고비는 -10.8% 감소로 부진했지만
[Brand] 2022년 호랑이해 맞아 더 유명해진 ‘무직타이거’
 2022년 호랑이해 맞아 더 유명해진 ‘무직타이거’ 뚱뚱한 호랑이 캐릭터 ‘뚱랑이’를 소개합니다!   글 배진영 실장|무직타이거 ‘뚱랑이’의 탄생 무직타이거는 ‘뚱랑이’가 주인공인 캐릭터 디자인 브랜드입니다. 뚱뚱한 호랑이의 줄임말인 뚱랑이는 인스타그램에서 매일 다른 톤의 호랑이 드로잉을 실험하는 가운데 온라인에서 고객 피드백을 흡수해 탄생했습니다. ‘뚱랑이’라는 이름도 팬 분들이 지어준 이름입니다. 무직타이거의 대표 캐릭터가 호랑이가 된 이유는 바로 ‘한국적’인데 있습니다. 호랑이는 언제나 우리나라의 마스코트 역할을 톡톡히 해왔습니다. 옛이야기 속에서도 양반, 수호신, 민중 등 다양한 페르소나로 등장했습니다. 이러한 호랑이가 현재의 우리를 대변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2025년 크리에이티브 트렌드 전망
  경기 둔화와 소비 심리 위축 속에서 브랜드는 더욱 신중한 전략과 세밀하게 설계된 메시지로 소비자와 소통해야 하는 과제를 마주했다. 소비자는 단순한 광고 메시지보다 공감과 진정성을 담은 크리에이티브를 기대하고 있으며, 브랜드는 이러한 니즈에 맞춰 더욱 정교하고 차별화된 전략을 펼치고 있다. 팝업스토어는 콘텐츠의 세계관을 오프라인에서 구현하며 경험의 가치를 높이고 있고, 크리에이티브는 위로와 공감을 통해 소비자의 감정적 경험을 확장하며 브랜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2
 AI와 디지털이 주도하는 광고 시장 AI의 진화와 함께 KOBACO 집계기준 약 8% 성장한 디지털 광고 시장은 60%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며 전체 광고 시장의 대표 주자임을 확실히 각인시킨 해였다(그림 1). 경기 침체 속에서 AI 기술의 도입으로 타겟팅 및 효율성이 우수해진 디지털 미디어로 광고 수요가 전환되는 추세가 더욱 가속화되며 디지털 광고 시장이 전체 시장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검색 광고 시장은 AI 기술
[뉴스레터] ADinfo 제 135호
애드인포 제 135호 - 7월 광고업계 소식 및 동향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1
글 김수영 프로 | 제일기획 미디어퍼포먼스 1팀 2024년은 제자리 걸음이었던 광고 시장이 한 발자국을 내디디며 앞으로 나아가는 해였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에 따르면 2023년 0.1% 증가로 사실상 답보 상태를 보였던 국내 광고 시장 총 광고비 매출액은 2024년 전년 대비 2.8% 성장한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내·외부 경제 불확실성과 소비자 행동 변화로 방송 광고비는 -10.8% 감소로 부진했지만
[Brand] 2022년 호랑이해 맞아 더 유명해진 ‘무직타이거’
 2022년 호랑이해 맞아 더 유명해진 ‘무직타이거’ 뚱뚱한 호랑이 캐릭터 ‘뚱랑이’를 소개합니다!   글 배진영 실장|무직타이거 ‘뚱랑이’의 탄생 무직타이거는 ‘뚱랑이’가 주인공인 캐릭터 디자인 브랜드입니다. 뚱뚱한 호랑이의 줄임말인 뚱랑이는 인스타그램에서 매일 다른 톤의 호랑이 드로잉을 실험하는 가운데 온라인에서 고객 피드백을 흡수해 탄생했습니다. ‘뚱랑이’라는 이름도 팬 분들이 지어준 이름입니다. 무직타이거의 대표 캐릭터가 호랑이가 된 이유는 바로 ‘한국적’인데 있습니다. 호랑이는 언제나 우리나라의 마스코트 역할을 톡톡히 해왔습니다. 옛이야기 속에서도 양반, 수호신, 민중 등 다양한 페르소나로 등장했습니다. 이러한 호랑이가 현재의 우리를 대변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2025년 크리에이티브 트렌드 전망
  경기 둔화와 소비 심리 위축 속에서 브랜드는 더욱 신중한 전략과 세밀하게 설계된 메시지로 소비자와 소통해야 하는 과제를 마주했다. 소비자는 단순한 광고 메시지보다 공감과 진정성을 담은 크리에이티브를 기대하고 있으며, 브랜드는 이러한 니즈에 맞춰 더욱 정교하고 차별화된 전략을 펼치고 있다. 팝업스토어는 콘텐츠의 세계관을 오프라인에서 구현하며 경험의 가치를 높이고 있고, 크리에이티브는 위로와 공감을 통해 소비자의 감정적 경험을 확장하며 브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