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텍스트힙’, ‘러닝 크루’ 같은 키워드가 떠오르며 브랜드 마케팅에 적극 활용됐어요. 독서는 감성적인 트렌드로, 러닝은 커뮤니티 활동으로 확장되면서 새로운 문화로 성장했죠. 이외에도 다꾸(다이어리 꾸미기), 폰꾸(휴대폰 꾸미기) 같은 꾸미기 시리즈부터 홈베이킹과 비즈발 DIY 등 개성 넘치는 취미가 Z세대 안에서 퍼지고 있는데요.
취미가 단순한 여가를 넘어 자기표현과 브랜드 경험을 연결하는 접점이 되는 만큼, 2025년에는 또 어떤 취미가 화제로 떠오를지 관심을 기울여야 해요. 올해 주목해야 할 취미 트렌드! 함께 보러 가실까요? ?
? 자칭타칭 뜨개 장인, 무엇이든 만들어내죠.

출처 X @allknitvader
혹시 ‘1광수’라는 단어를 들어보셨나요? 여기서 말하는 ‘광수’는 우리에게 친숙한 배우 이광수가 아니라 뜨개질 용어입니다! 뜨개 전문 크리에이터 ‘다뜨베이더’가 만든 환산표가 SNS에서 많은 관심을 받으면서 뜨개 관련 용어와 트렌드가 더욱 주목받기도 했어요.

출처 X (1) @knitting_HADA, (2) @bboi_da
뜨개질은 오랫동안 꾸준한 마니아층을 보유한 취미지만, 최근 Z세대가 뜨개 문화를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하면서 더 폭넓게 확산되고 있는데요. DIY 문화와 자기표현의 가치가 강조되면서 직접 원하는 색상과 디자인으로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과정 자체가 하나의 매력적인 경험이 되고 있어요. 완성된 작품을 SNS에 공유하거나 도안과 제작 꿀팁을 나누면서 취향을 기반으로 한 뜨개 커뮤니티도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출처 텀블벅
뜨개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만큼 입문자를 위한 콘텐츠도 늘어나고 있어요. 텀블벅에서는 초보자를 위한 ‘대바늘 카드’ 펀딩이 진행됐는데 무려 1,500% 이상의 목표 달성률을 기록하며 뜨개에 대한 높은 관심을 입증했어요. 또, 혼자가 어려운 사람들을 위한 클래스 계정이나 같이 뜨개하며 친목을 다질 수 있는 뜨개 모임으로 커뮤니티가 확장되기도 했죠.

출처 위버스 샵
브랜드도 이 흐름에 주목한 마케팅을 선보이고 있어요. 최근 걸그룹 르세라핌 사쿠라가 자신의 취미를 살려 ‘꾸로셰’라는 뜨개 브랜드를 런칭했어요. 키링, 크로스백, 파우치 등 다양한 뜨개 상품 뿐만 아니라 팬들이 직접 뜨개를 경험할 수 있도록 DIY 키트를 제작했는데요. 특히 르세라핌의 응원봉을 꾸밀 수 있는 데코용 모자 키트를 선보이며 팬덤과의 색다른 연결점을 만들었습니다. 단순한 굿즈가 아니라 아이돌과 팬이 함께 취미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 매력적인 굿즈가 될 수 있었어요.

출처 인스타그램 @outbackkorea
아웃백도 뜨개 크리에이터 ‘바이브리’와 협업해 니트 키링 DIY를 출시했는데요. ‘모일수록 따뜻한 겨울’이라는 브랜드 메시지를 담아, 소비자가 직접 손뜨개 키링을 제작하며 브랜드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기획했죠. 뿐만 아니라 수익금 전액 기부를 통해 나눔의 가치를 실천하는 캠페인으로도 의미를 더했습니다.
이처럼 DIY 문화를 활용하면 고객이 직접 브랜드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어요. 브랜드와 고객 간의 관계를 더욱 의미 있게 만들고 싶다면, 취향 기반의 DIY 경험을 결합해보세요.
·
·
·
그 외 다양한 ㅇㅇ과 ㅇㅇ은 링크 내 본문을 참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