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일본 총광고비>

덴츠, <2018년 일본 총광고비> 발표
기사입력 2019.04.25 12:00 조회 402
 광고회사 덴츠가 일본의 총광고비와 매체별·업종별 광고비를 추정한 <2018년 일본의 광고비>를 발표했다. 2018년 일본의 총광고비는 전후 최장기간이라고 하는 경기확대에 수반하여, 65,300억 엔, 전년대비 102.2%가 되어, 7년 연속으로 플러스 성장이 되었다. 더불어 2018년 일본의 총생산(GDP)에 대한 총광고비의 비율은 1.19%이다. 총광고비는 지속하는 완만한 경기확대에 수반해, 전년대비 102.2%가 되었다. 미국, 중국의 무역전쟁 등으로 인한 불투명한 세계경제 상황이나 거듭되는 자연재해, 주춤한 개인소비, 인상하지 않는 소득 등 불안 요소가 많았지만, 기업수익의 호조 등이 일본 경제의 성장을 지지했으며, 더불어 매체별로는 계속 호조인 인터넷 광고비가 총광고비 전체를 견인하는 역할을 했다. 한편, 인터넷 광고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마케팅 과제를 기존의 매체와 조합하는 등 해결하는 통합 솔루션이 보다 심화했다. 데이터나 테크놀로지를 활용해, 각 매체의 강점을 한층 더 높여 가는 움직임이 보다 현저했다. 매체별로 보면 신문 광고비’(전년대비 92.9%), ‘잡지 광고비’(전년대비 91.0%), ‘라디오 광고비’(전년대비 99.1%), ‘텔레비전 광고비’(전년대비 98.2%, 지상파 TV/위성 미디어 관련)를 합계한 주요 4대 매체 광고비는 전년대비 96.7%였다. ‘인터넷 광고비’(전년대비 116.5%)는 운용형 광고를 중심으로 견조한 성장을 나타냈으며, 이번에 처음 추정한 주요 4대 매체 유래의 디지털 광고비의 증가에 의한 효과도 있고, 광고비 전체를 크게 밀어 올리는 결과를 초래했다. ‘프로모션 미디어 광고비’(전년대비 99.1%)교통광고’, ‘POP’, ‘전시·영상 외가 증가했다. 업종별(주요 4대 매체/위성 미디어 관련 제외)로는 21개 업종 중 5개 업종이 증가했다. 증가업종은 <정밀기기·사무용품’(전년대비 123.2%)>, <외식·각종 서비스(전년대비 104.0%)> 등이고, 감소업종은 <출판(전년대비 87.2%)> 등이다.

<매체별 광고비 개요>

인터넷 광고비17,589억 엔(전년대비 116.5%)으로, 5년 연속 두 자리 수 성장되었다.구성비도 총광고비 전체의 26.9%가 되어, 전년보다 3.3%포인트 증가했다. 덧붙여 인터넷 광고 매체비14,480억 엔(전년대비 118.6%)으로, 전년보다 2,274억 엔 증가했다. 한편, ‘주요 4대 매체 광고비(위성 미디어 관련 포함)’27,026억 엔(전년대비 96.7%)으로, 4년 연속 감소했다. 더불어, ‘프로모션 미디어 광고비2685억 엔(전년대비 99.1%)으로, 4년 연속 감소했다. 그중 전시·영상 외7년 연속 플러스 성장했다.

*주요 4대 매체 광고비에는 광고 제작비 포함

신문 광고비4,784억 엔(전년대비 92.9%)

판매 부수와 페이지수가 함께 감소한 경우도 있으며, 전년에 이어서 감소 경향이었다. 한 해 동안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대회’, ‘자연재해 문안 광고’, ‘2018 러시아 월드컵 대회’, 실적 호조를 반영한 기업광고등이 증가했지만, 전체적으로는 마이너스가 됐다. 업종별로는 시니어 전용 통신판매계 의약품 등을 포함한 <약품·의료용품>, <음료·기호품>이 증가했다. 한편, 전년도 중의원 선거등의 반동감으로, <관공청·단체>는 마이너스가 됐다.

잡지 광고비1,841억 엔(전년대비 91.0%)

종이의 출판물 추정 판매금액은 전년대비 94.3%으로, 14년 연속으로 마이너스가 되었다. 한편, 전자출판 시장은 전년대비 111.9%, 전년에 이어 두 자리 수 성장이 되었다. 종이와 전자출판 전체에서는 전년대비 96.8%였다. 잡지 광고비도 전년을 밑돌았다. 한편, 전년에 이어 출판사 유래의 디지털 광고비가 두 자리 수 성장했다. 출판사계 디지털 미디어의 성장이나 출판사의 디지털 변환과 함께 다양한 콘텐츠 홀더로서의 대규모 사업개발에 의해 신영역 비즈니스의 신장이 기대된다. 업종별로는 <에너지·소재·기계>, <가정용품> 등이 증가했으며, 전년에 이어, 톱 업종인 <패션·액세서리>는 감소했다. <화장품·토일레트리>도 전체적으로는 감소했지만, <미용잡지> 등에서는 다소 증가했다.

텔레비전 미디어 광고비(지상파 TV위성 미디어 관련)19,123억 엔(전년대비 98.2%)

- 지상파TV17,848억 엔(전년대비 98.2%)

지상파TV는 완만한 경기확대로 증가가 기대되었지만, 출고의 기세가 활성화하기까지는 도달하지 않았다. 프로그램(타임)광고(전년대비 101.2%)‘2018 평창 동계 올림픽 대회’, ‘2018 러시아 월드컵 대회’, ‘2018 자카르타 아시안 게임등의 스포츠 프로그램이 공헌해 증가했다. 스폿광고(전년대비 96.3%)는 일부 업종에서는 증가했지만, 2년 연속 마이너스가 되는 등 결과가 저조했다. 지역별로는 오키나와를 제외한 31개 지역에서 전년 실적을 밑돌았다. 업종별로는 <정밀기기·사무용품>, <외식·각종 서비스>, <교육·의료 서비스·종교>, <금융·보험> 등은 증가했으나, 구성비 높은 <식품>, <화장품·토일레트리>, <음료·기호품> 등은 감소했다.

- 위성 미디어 관련1,275억 엔(전년대비 98.1%)

BS방송 922.9억 엔(전년대비 99.7%), CS방송 187.0억 엔(전년대비 93.1%), CATV 방송

164.8억 엔(전년대비 94.7%)으로, 전년도까지 성장이 계속 되고 있던 위성 미디어 관련이 마이너스가 되어 저조했다.

라디오 광고비1,278억 엔(전년대비 99.1%)

라디오 광고비는 3년 만에 마이너스였다. 톱 업종인 <외식·각종 서비스>가 전년대비 97.1%로 전년에 이어 감소했던 것이 그 요인 중 하나이다. 업종별로는 통신판매 등이 신장한 <유통·소매업(전년대비 114.9%)>, <정밀기기·사무용품(전년대비 120.3%)>, <자동차·관련제품(전년대비 104.0%)> 13개 업종이 증가했으나, 8개 업종은 감소했다.

인터넷 광고비17,589억 엔(전년대비 116.5%)

- 인터넷 광고 매체비14,480억 엔(전년대비 118.6%)

인터넷 광고 매체비 중 운용형 광고비는 11,518억 엔(전년대비 122.5%)을 차지해 대규모 플랫포머를 중심으로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자사 플랫폼을 보유하는 매체사도 운용형의 기능 확충과 그 광고 판매에 주력하기 시작하고 있기 때문에 각종 콘텐츠 미디어에 대해서는 수익 기반이 되는 운용형 광고 플랫폼의 활용을 진행시키고 있다. 기업의 디지털 변환의 진전에 의해서 마케팅 활동과 디지털 제작의 상관성이 한층 강해져 왔다.

- 인터넷 광고 제작비3,109억 엔(전년대비 107.7%)

인터넷 광고 제작비는 2018년에도 견조했다. 기업의 디지털 변환의 진전에 의해서 마케팅 활동과 디지털 제작의 상관성이 한층 강해졌다. 2020 도쿄 올림픽·패럴림픽 대회를 향해서 이 경향은 더욱 더 가속해 나간다고 예상한다.

프로모션 미디어 광고비2685억 엔(전년대비 99.1%)

- 옥외3,199억 엔(전년대비 99.7%)

큰 흐름으로써 예전부터 내려온 간판으로부터 디지털 간판(LED를 활용한 간판 포함)으로의 변화도 볼 수 있다. 한편, 지속적으로 네온 간판 등 일정한 수요도 있었다. 광고 간판에서는 자연재해에 의한 수리나 디자인 변경에 의한 제작 수요가 증가했다. 옥외 비전에서는 특별히 시부야에서 IT플랫폼, IT서비스 어플리케이션, 게임 어플 등의 광고가 증가했다. 스타디움 간판은 프로야구의 관객 동원수가 증가했던 것에 의해서 매체비도 증가했다.

- 교통2,025억 엔(전년대비 101.1%)

철도에서는 종이 매체가 침체하여, 그것을 차내·역 구내의 디지털 간판으로 커버하는 경향이 계속했다. 특별히 수도권에서는 신형 차량의 증가에 수반하여, 차내 디지털 간판이 호조. 공항에서는 관광객의 증가에 수반해서, 광고 수요가 성장하고 있다. 택시 광고는 공항과 같이 관광객의 증가에 수반해 증가 추세에 있다. 업종별로는 <출판>, <음료> 광고는 감소하였으나, <에스테틱>, <인재>, <외자> 광고는 증가했다.

- 절입3,911억 엔(전년대비 93.8%)

신문 구독률, 신문 발행부수의 감소 등에 수반하는 절입매수나 사이즈 다운의 영향에 의해서 광고비는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자연재해가 있었던 중국’, ‘긴키’, ‘홋카이도에서 특별히 침체가 현저했다.

- DM(다이렉트/메일)3,678억 엔(전년대비 99.4%)

인터넷 광고만으로는 수중에 넣을 수 없는 고객을 종이DM을 통해 수중에 넣으려고 하는 케이스가 현저했다. 데이터의 활용이나 인쇄의 고속화에 수반해서, 개인 맞춤형 카탈로그 등 고품질의 DM수법도 현실화하고 있다.

- 광고신문·프리 매거진2,021억 엔(전년대비 94.6%) 

전체적으로 광고비는 감소 경향에 있지만, 매상이나 고객수 등 효과를 알 수 있기 쉬운 이벤트나 샘플링 등의 프로모션 활동은 증가했다.

- POP2,000억 엔(전년대비 101.3%)

전년부터 대형 슈퍼, 백화점, 홈센터(생활용품을 다양하게 갖춘 종합 점포)로의 POP 영역의 감소는 계속 되었지만, 슈퍼, 가전 판매점, 약국 등 POP를 많이 취급하는 업태가 호조였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증가했다. 소매업이 독자적으로 테크놀로지나 콘텐츠를 활용해 디지털 POP를 설치하는 케이스가 증가했으며, 메이커에 의한 POP의 역할에 변화가 나오기 시작하고 있다.

- 전화번호부 광고266억 엔(전년대비 90.5%)

전화번호부지역과 생활의 미디어로의 패러다임 변화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현지의 특색을 살린 표지나 특집기사 등에 의한 광고 가치의 향상이 진행되었다.

- 전시·영상 외3,585억 엔(전년대비 105.8%)

방일 관광객의 증가나 ‘2020 도쿄 올림픽·패럴림픽 대회에 수반하는 재개발 등에 의해, 시장 환경은 양호했다. 특별히 도쿄에서는 국가전략 특별구역의한 도시 재생 프로젝트가 진행하고 있어,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구사한 아트 이벤트나 e스포츠 등의 개최가 번성했다.



<국가전략 특별구역>

아베내각이 일본의 성장전략축의 하나로서 들고 있는 지역진흥과 국제경쟁력 향상을 목적으로 규정된 경제특구


 · 
이 기사에 대한 의견 ( 총 0개 )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2
 AI와 디지털이 주도하는 광고 시장 AI의 진화와 함께 KOBACO 집계기준 약 8% 성장한 디지털 광고 시장은 60%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며 전체 광고 시장의 대표 주자임을 확실히 각인시킨 해였다(그림 1). 경기 침체 속에서 AI 기술의 도입으로 타겟팅 및 효율성이 우수해진 디지털 미디어로 광고 수요가 전환되는 추세가 더욱 가속화되며 디지털 광고 시장이 전체 시장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검색 광고 시장은 AI 기술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1
글 김수영 프로 | 제일기획 미디어퍼포먼스 1팀 2024년은 제자리 걸음이었던 광고 시장이 한 발자국을 내디디며 앞으로 나아가는 해였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에 따르면 2023년 0.1% 증가로 사실상 답보 상태를 보였던 국내 광고 시장 총 광고비 매출액은 2024년 전년 대비 2.8% 성장한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내·외부 경제 불확실성과 소비자 행동 변화로 방송 광고비는 -10.8% 감소로 부진했지만
[Meet the Creator] 세상에 없던 크리에이티브, 모험 즐기는 여정에서 나와
 세상에 없던 크리에이티브, 모험 즐기는 여정에서 나와 남현우 TBWA 코리아 ECD 취재·글 송한돈 | 사진?팡고TV촬영 유희래 광고계에서 25년, 함께한 브랜드만 40여 개, 제작한 콘텐츠는 300편이 넘는다. 2018년 이후 매해 크고 작은 상을 수상하며, 감각과 정교함을 겸비한 크리에이티브로 광고계에 묵직한 발자국을 남기고 있는 TBWA 코리아의 남현우 ECD(Executive Cre
[월간 2025밈] 01월 편 - 일하기 싫은 직장인... 아니 키티
  •  일하기 싫은 키티 •  햄스터 밈의 정석!? 밤톨이들??  •  16년 만에 돌아왔다. 월레스와 그로밋 대공개!    •  QUEEN NEVER CRY  •  올해 계획 어떻게 세울까? 만다라트?   일하기 싫은 키티    일하기 싫은 오천만 직장
옥외광고물 행정관련 질의 회신 모음
 자료제공| 안전행정부 지역활성화과 Q. 옥외광고물 등 관리법 시행령 제36조제3호나목에는 안전점검 대상에서 제외되는 게시시설 없이 옥상구조물에 직접 도료나 입체형으로 표시된 옥상간판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주유소에는 상호 및 정유사명칭이 10M이상으로 크게 도료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러한 광고물도 가로형 간판으로 보아 안전점검을 받아야 하나요? 관련법에 도료로 된 옥상간판은 제외하고 도료로 된 가로형간판에 대한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2
 AI와 디지털이 주도하는 광고 시장 AI의 진화와 함께 KOBACO 집계기준 약 8% 성장한 디지털 광고 시장은 60%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며 전체 광고 시장의 대표 주자임을 확실히 각인시킨 해였다(그림 1). 경기 침체 속에서 AI 기술의 도입으로 타겟팅 및 효율성이 우수해진 디지털 미디어로 광고 수요가 전환되는 추세가 더욱 가속화되며 디지털 광고 시장이 전체 시장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검색 광고 시장은 AI 기술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1
글 김수영 프로 | 제일기획 미디어퍼포먼스 1팀 2024년은 제자리 걸음이었던 광고 시장이 한 발자국을 내디디며 앞으로 나아가는 해였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에 따르면 2023년 0.1% 증가로 사실상 답보 상태를 보였던 국내 광고 시장 총 광고비 매출액은 2024년 전년 대비 2.8% 성장한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내·외부 경제 불확실성과 소비자 행동 변화로 방송 광고비는 -10.8% 감소로 부진했지만
AI는 Artistic Intelligence THE APE SQUAD (디에이프스쿼드) YK 감독/대표
  취재·글 장 웅|사진 · 팡고TV촬영 유희래 ‘스페이스몬스터컨텐츠’ YK 감독(본명 김영기)은 AI의 무한한 가능성을 엿보며, 국내 최초 AI 제작 전문 스튜디오 ‘THE APE SQUAD’를 설립했으며, 지난해 대한민국광고대상에서 최첨단 생성형 AI를 활용해 크리에이티브의 정점을 보여준 오프닝 영상으로 놀라움을 선보였다. 그의 연출에 대한
[월간 2025밈] 01월 편 - 일하기 싫은 직장인... 아니 키티
  •  일하기 싫은 키티 •  햄스터 밈의 정석!? 밤톨이들??  •  16년 만에 돌아왔다. 월레스와 그로밋 대공개!    •  QUEEN NEVER CRY  •  올해 계획 어떻게 세울까? 만다라트?   일하기 싫은 키티    일하기 싫은 오천만 직장
옥외광고물 행정관련 질의 회신 모음
 자료제공| 안전행정부 지역활성화과 Q. 옥외광고물 등 관리법 시행령 제36조제3호나목에는 안전점검 대상에서 제외되는 게시시설 없이 옥상구조물에 직접 도료나 입체형으로 표시된 옥상간판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주유소에는 상호 및 정유사명칭이 10M이상으로 크게 도료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러한 광고물도 가로형 간판으로 보아 안전점검을 받아야 하나요? 관련법에 도료로 된 옥상간판은 제외하고 도료로 된 가로형간판에 대한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2
 AI와 디지털이 주도하는 광고 시장 AI의 진화와 함께 KOBACO 집계기준 약 8% 성장한 디지털 광고 시장은 60%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며 전체 광고 시장의 대표 주자임을 확실히 각인시킨 해였다(그림 1). 경기 침체 속에서 AI 기술의 도입으로 타겟팅 및 효율성이 우수해진 디지털 미디어로 광고 수요가 전환되는 추세가 더욱 가속화되며 디지털 광고 시장이 전체 시장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검색 광고 시장은 AI 기술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1
글 김수영 프로 | 제일기획 미디어퍼포먼스 1팀 2024년은 제자리 걸음이었던 광고 시장이 한 발자국을 내디디며 앞으로 나아가는 해였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에 따르면 2023년 0.1% 증가로 사실상 답보 상태를 보였던 국내 광고 시장 총 광고비 매출액은 2024년 전년 대비 2.8% 성장한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내·외부 경제 불확실성과 소비자 행동 변화로 방송 광고비는 -10.8% 감소로 부진했지만
AI는 Artistic Intelligence THE APE SQUAD (디에이프스쿼드) YK 감독/대표
  취재·글 장 웅|사진 · 팡고TV촬영 유희래 ‘스페이스몬스터컨텐츠’ YK 감독(본명 김영기)은 AI의 무한한 가능성을 엿보며, 국내 최초 AI 제작 전문 스튜디오 ‘THE APE SQUAD’를 설립했으며, 지난해 대한민국광고대상에서 최첨단 생성형 AI를 활용해 크리에이티브의 정점을 보여준 오프닝 영상으로 놀라움을 선보였다. 그의 연출에 대한
[월간 2025밈] 01월 편 - 일하기 싫은 직장인... 아니 키티
  •  일하기 싫은 키티 •  햄스터 밈의 정석!? 밤톨이들??  •  16년 만에 돌아왔다. 월레스와 그로밋 대공개!    •  QUEEN NEVER CRY  •  올해 계획 어떻게 세울까? 만다라트?   일하기 싫은 키티    일하기 싫은 오천만 직장
옥외광고물 행정관련 질의 회신 모음
 자료제공| 안전행정부 지역활성화과 Q. 옥외광고물 등 관리법 시행령 제36조제3호나목에는 안전점검 대상에서 제외되는 게시시설 없이 옥상구조물에 직접 도료나 입체형으로 표시된 옥상간판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주유소에는 상호 및 정유사명칭이 10M이상으로 크게 도료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러한 광고물도 가로형 간판으로 보아 안전점검을 받아야 하나요? 관련법에 도료로 된 옥상간판은 제외하고 도료로 된 가로형간판에 대한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2
 AI와 디지털이 주도하는 광고 시장 AI의 진화와 함께 KOBACO 집계기준 약 8% 성장한 디지털 광고 시장은 60%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며 전체 광고 시장의 대표 주자임을 확실히 각인시킨 해였다(그림 1). 경기 침체 속에서 AI 기술의 도입으로 타겟팅 및 효율성이 우수해진 디지털 미디어로 광고 수요가 전환되는 추세가 더욱 가속화되며 디지털 광고 시장이 전체 시장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검색 광고 시장은 AI 기술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1
글 김수영 프로 | 제일기획 미디어퍼포먼스 1팀 2024년은 제자리 걸음이었던 광고 시장이 한 발자국을 내디디며 앞으로 나아가는 해였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에 따르면 2023년 0.1% 증가로 사실상 답보 상태를 보였던 국내 광고 시장 총 광고비 매출액은 2024년 전년 대비 2.8% 성장한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내·외부 경제 불확실성과 소비자 행동 변화로 방송 광고비는 -10.8% 감소로 부진했지만
AI는 Artistic Intelligence THE APE SQUAD (디에이프스쿼드) YK 감독/대표
  취재·글 장 웅|사진 · 팡고TV촬영 유희래 ‘스페이스몬스터컨텐츠’ YK 감독(본명 김영기)은 AI의 무한한 가능성을 엿보며, 국내 최초 AI 제작 전문 스튜디오 ‘THE APE SQUAD’를 설립했으며, 지난해 대한민국광고대상에서 최첨단 생성형 AI를 활용해 크리에이티브의 정점을 보여준 오프닝 영상으로 놀라움을 선보였다. 그의 연출에 대한
[월간 2025밈] 01월 편 - 일하기 싫은 직장인... 아니 키티
  •  일하기 싫은 키티 •  햄스터 밈의 정석!? 밤톨이들??  •  16년 만에 돌아왔다. 월레스와 그로밋 대공개!    •  QUEEN NEVER CRY  •  올해 계획 어떻게 세울까? 만다라트?   일하기 싫은 키티    일하기 싫은 오천만 직장
옥외광고물 행정관련 질의 회신 모음
 자료제공| 안전행정부 지역활성화과 Q. 옥외광고물 등 관리법 시행령 제36조제3호나목에는 안전점검 대상에서 제외되는 게시시설 없이 옥상구조물에 직접 도료나 입체형으로 표시된 옥상간판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주유소에는 상호 및 정유사명칭이 10M이상으로 크게 도료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러한 광고물도 가로형 간판으로 보아 안전점검을 받아야 하나요? 관련법에 도료로 된 옥상간판은 제외하고 도료로 된 가로형간판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