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談; 이야기하다] The Return of the King of Pop 와이키키 브라더스, 지금 행복하십니까?
INNOCEAN Worldwide 기사입력 2014.06.30 03:35 조회 8863





와이키키 브라더스, 지금 행복하십니까?
듣는 순간 목젖이 울컥하고, 들으면 들을수록 꿀꺽 소화하고픈 노래가 있었는지. 세월이 흐르고 세대가 바 뀌어도 여전히 대 중에게 영향을 미치는 ‘ 명곡’의 조건은 무엇일까? 음악에 살고 음악에 죽던 스무 살 청년들은 20년 뒤, 광고기획자와 음반제작자, 사업가, 가수겸 회사원이 되어 오늘을 살고 있다. 그러나 주말에는 ‘투데이스페셜(www.facebook.com/bandtodaysspecial)’이란 이름의, 그저 취미라기엔 몹시 다부진 밴드의 로커이기도 한 그들. 가왕이라 쓰고 ‘오빠’라고 읽는 조용필의 19집 앨범으로 소란스러운 어느 거리에서, 네 명의 남자가 각자 마음에 품은 ‘요즘 노래’에 대한 생각을 털어놨다.



복고라 하면 너무 흔하고, 추억과 관련된 것이라 해야 할까.
과거의 것을 지금 다시 해석할 계기를 주는 것이 요즘 붐이라고
봐. 아마 조용필도 그런 관점에서 바라봐야 하지 않을까?

오빠가 ‘오빠’여야 할 이유
김철희(이하 철희)
매주 보는 얼굴이지만 이렇게 보니 또 새로운데? 옛날에 우리 처음 데뷔했을 때 생각도 나고.
정열 그러게. 우리 첫 녹음하던 날…. 그게 벌써 21년 전 일이네.
이상협(이하 상협) 기억나? 그때 조용필 선생님께서 녹음하신다고 오셔서 얼른 자리 비켜드리고 구경했었잖아.
서정훈(이하 정훈) 노래는 못 듣고 발렌타인 21년산을 내리 드시는 것만 봤었지. 그 녹음실 한 타임 가격이 어마어마한데, ‘오늘은 아니다’라시면서. 내리 세 번을 그러다 마지막에 한 방에 완창하셨잖아. 그때 느낀 전율이 아직도 생생해.
상협 흔히 ‘코러스를 쌓는다’고 하지? 화음을 네 가지 버전으로 연달아 부르고는 ‘됐다, 가자’ 할 때의 그 카리스마! 괜히 ‘가왕’이 아니었던 거지.
철희 노래 하난 진짜 끝내주니까. 사실 옛날 가수들이 싱커페이션 (syncopation)이 약하잖아. 음을 밀었다 당기는 그 감각. 근데 조용필 그 양반은 어떤 박자를 갖다 놔도 기가 막혔지.
정열 그런 ‘조용필’이니, 이번 19집 앨범에 대한 사람들의 기대가 어마어마할 수밖에. 다들 들어봤어?
철희 일단 첫인상은 이거였지. 조용필이 마룬5를 부른다!?
정훈 아주 ‘기획적으로’ 했다 싶기도 하고. ‘Bounce’를 바비킴이 부르면 어땠을까 하는 사람도 있더군.
상협 일단 곡을 별로 안 썼다는 점이 제일 아쉽더라. 얼마 전에 데이비드 보위(David Bowie)도 신보를 냈었잖아. 조용필의 <Hello>와 데이비드 보위의 <The Next Day>를 듣고 공통적으로 떠오른 감상은 그랬어. 너무 요즘 애들한테 보여주기 위해, 들려주기 위해 만들었다는 아쉬움.
정열 난 반대로 좋았다고 생각해. 작사·작곡을 얼마나 했든, 앨범에 누가 참여를 했든, 상협이가 내내 발라드만 하다 록음악을 하는 것처럼 그도 어떤 심경의 변화가 있었겠지. 하루 만에 뚝딱 나온 건 아니잖아. 우리 가게 아주머니들은 조용필이 공연하면 갈 거래. 예나 지금이나 그의 음악엔 문화적으로 소외되기 쉬운 세대와 계층을 아우르는 힘이 분명 있어.
정훈 복고라 하면 너무 흔하고, 추억과 관련된 것이라 해야 할까. 과거의 것을 지금 다시 해석할 계기를 주는 것이 요즘 붐이라고 봐. 아마 조용필도 그런 관점에서 바라봐야 하지 않을까? 단순히 그의 19집을 갖고 왈가왈부할 게 아니라 전체적인 트렌드를 생각해봐야 할 것 같아.
상협 조용필 선생님이 돈이 필요하겠어, 인기가 필요하겠어. 분명한건 <Hello>가 조용필 전후의 아티스트가 다시 활동할 물꼬를 텄다는거야. 롤링스톤스가 다시 재결성한 것처럼, 배철수가 자극을 받고 송골매도 다시 나오고…. 그런 부분에선 정말 고마운 일을 하신 거지.
정열 어휴, 내가 조용필이라면 되게 부담스럽겠다.
철희 부담스럽지. 부담스러울 만한 위치야.

‘명곡’의 필요충분조건
철희
며칠 전에 공모가 있어서 신인뮤지션 음악을 몇 백 곡은 들은 것같아. 근데 정말 가사가 하나같이 너무 후진 거야. 대부분 영어였고. 하림이랑 둘이서 ‘가사가 주는 힘이 얼마나 큰데’ 하면서 개탄했었어.
상협 요즘엔 곡 하나에 작사가 몇 십 명이 붙어서 될 때까지 써오는 시스템이잖아. 그래서인지 예전만큼 가사의 전달력이 떨어지는 것 같아.
철희 내가 고등학생 때 일이야. LP를 사러 세운상가를 가는데 갑자기 시위가 벌어진 거야. 전경들이 최루탄 쏘고 백골단 튀어나오고…. 그때 어디선가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 없이…” 하면서 ‘임을 위한 행진곡’이 울려 퍼지는데, 흩어지던 시민들 눈빛이 대번에 변하더라고.
정열 가사가 주는 힘을 제대로 실감했구나.
정훈 나도 지금 글을 쓰잖아. 비록 그 형태는 말랑말랑할지언정, 아이디어가 뻗어나가는 과정은 굉장히 논리적이어야 하지. 그런 훈련을 십수 년씩 받으니 맘 잡고 가사를 쓰다가도 스스로 의문을 가지게 돼. 내가 왜 그녀랑 지금 이런 상황에서 사랑을 해야 하지? 하고.
정열 넌 옛날부터 심하게 논리적이었어. 내가 중학생 때 쓴 연애편지 가지고 지금도 놀리잖아.
상협 너는 정말 beauiful해(t없이 아름다워)라고 썼던 그거?
철희 답장은 당연히 안 왔겠네.(웃음)
상협 나도 얼마 전에 놀랄 일이 있었어. 내가 우리 아들 옹알이할 때부터 모차르트랑 비틀스를 번갈아가며 들려줬었거든. 근데 하루는 “나나난나~” 하면서 ‘Hey Jude’의 후렴구를 따라 부르더라고. 너무 놀랐지. 폴 매카트니 형님은 대체 얼마나 대단하길래 네 살짜리가 따라 부르는 멜로디를 만들어내는가!
정열 어느 세대나 공감할 수 있고 따라 부를 수 있는 노래. 명곡의 조건이지.



정훈 명곡이 탄생하려면 환경이 정말 중요하다고 봐. 근데 지금 우리나라 환경은 이런 명곡이 나올 수가 없어. 음악성 자체보다 기획과 타기팅, 매체에서의 노출 빈도가 더 영향을 미치니까. 더군다나 음악을 접하는 채널이 과거에 비해 무척 다양하기 때문에 전 세대가 한 곡에집중하기도 힘들지.
정열 좋아하는 여자에게 불러주고 싶어서 죽어라 연습하게 만드는 노래…크. 그런 노래가 그립다.
철희 너답다. 정말 t없이 아름답다.
상협 그래도 옛날보다 상황이 많이 좋아지지 않았어? 과거에 ‘마흔 넘어 활동하는 밴드’는 상상도 못했잖아. 시장 자체의 토양이 더 풍성해진 건 확실해. 우리가 다시 밴드 하는 게 전혀 특별한 일이 아니듯.
철희 사실 작년 한국 대중음악상에서 가장 주목받은 건 ‘3호선 버터플라이’였어. 보컬 맡은 기완이 형이 66년생인 거 알지? 우리가 나이 때문에 부담스러워할 필요는 전혀 없다고! (웃음)
정훈 조용필 선생님이 한창 활동했을 땐, 정말 모든 가족이 들었었잖아. 그럴 수밖에 없었고. 그래서 가수를 하려면 판을 내야 하고, TV에 나와야 하고, 라디오에 곡을 내보내야 했지. 그래야만 ‘명곡’이 된다면 지금 세태에선 대입이 조금 어려울 것 같아. 어떤 특정한 사람에게 꾸준히 향유되는 것도 명곡이라고 봐야 하지 않을까.
철희 명곡의 정의가 다변화된 것이지. 와이키키 브라더스는 영화가 아냐
정훈 난 가끔 생각해. 우리가 과연 20년 전에 음악을 ‘생업’으로 했다면, 지금까지 할 수 있었을까?
정열 그것 참 예리한 질문일세.
상협 2000년대 초반이었나? 그때 나는 아직 학생이었고, 누구는 음악, 누구는 사업을 하면서 한창 방황할 때였지. 갑자기 철희가 전화를 하더니, 영화를 하나 보라는거야. <와이키키 브라더스>. 그걸 보면 소주가 너무 당길 거라면서.
정열 기억난다. 우리 서로 “행복하니…?” 문자 보내고 난리도 아니었지.
상협 솔직히 남들만큼 공부하고 남들만큼 취직했으니 다시 음악을 하고 있지, 만약 음악이 내 유일한 업이었으면 진작에 그만뒀을지도 몰라. 진짜 크게 성공한 극소수가 아니면 가족을 부양하는 것도, 밥벌이도 쉽지 않잖아. 이건 비단 우리나라뿐 아니라 미국이나 일본도 마찬가지지. 투잡을 할 수밖에 없는 시스템. 과연 전업으로 음악을 했으면 ‘행복했을까’.
철희 나는 이런 질문을 어린 뮤지션들한테 받아. 그럼 항상 하는 얘기가 있어. ‘음악은 비싼 취미야’. 정원영 씨도 똑같은 얘길 학교에서 한대. ‘나는 음악을 하기 위해 교수를 한다. 다행히 운이 좋아서 음악을 가르칠 뿐이지’라고. 홍대에서 꾸준히 활동하는 친구들을 보면 그런 부분에서 세팅을 잘해놓더라. 모 밴드만 봐도 그래. 다 같이 새벽 6시에 일어나서 마트에서 일하고, 점심 같이 먹고 난 다음 5~6시간 연습해서 밤에 공연하고. 그렇게 몇 년 하다 보면 소위 ‘알바’를 하지 않아도 밴드를 지탱할 수 있을 만큼 성장하게 되지.
정열 내가 스푸키바나나 활동할 때 철희 같은 기획자를 만났더라면 그런 생각을 빨리 했었을 텐데…. 지금은 내 개인적인 삶을 절대 포기할 수 없으니까. 그렇지만 그 와중에 음악을 다시 한다는 게 얼마나 기쁜지 몰라. 주변에서도 정말 부러워해. 네가 하고 싶은 거 다 한다고.
상협 근데 마누라들이 싫어한다는 불편한 진실! (웃음)
정훈 음악은 ‘업’이 아니니까.
철희 설사 음악인일지라도 부지런하고 비즈니스 감각이 있어야 해.
상협 근데 말야, 나도 40대지만, 솔직히 40대 한국 남자들, 너무 놀줄 몰라. 조금만 시간을 투자하고 조금만 노력하면 재미있는 게 엄청나게 많은데도.
정훈 ‘놀 줄 모른다’는 현실이 그저 안타깝고 슬프지.
상협 애들이 모이면 기껏 한다는 게 뭔지 알아? 다들 와인 마신다니까 앞으론 와인 마셔야 돼, 이러다 얼마 전부터 싱글 몰트위스키 유행 한다니까 또 우르르 몰려가서 위스키 마시다가 결국 맥켈란 12년에 맥스랑 섞어 마셔. 말이 되냐고, 이게.
정열 맥스에 섞어 마셔!? 푸하하하.
철희 놀면 큰일 나는 것처럼 교육을 받아서 그래. 학교 다닐 때 음악 듣고 영화 보고 기타 치면 난리가 났잖아. 그러니 유학을 보내놓으면 공부벌레처럼 공부만 하거나 아예 공부랑 담 쌓고 한량처럼 놀러 다니는 거지.
정열 무의식 중에 학습되는 게 진짜 무서워.
정훈 분명 누구나 한 가지씩 좋아하는 것이 있는데 말야. 설사 본인은 잊고 지낼지라도, 분명히 있거든. 그걸 발견하면 삶이 훨씬 풍요로울 텐데.
정열 그럼. 짧은 인생, 좋아하는 것만 하고 살아도 부족할진대!
철희 우린 진짜 즐겁게, 재미있게 밴드하자. 되도록 오래 할 수 있는 방향으로. 마에스트로급 밴드가 되려는 ‘과한 욕심’은 버리고.
정열 어이고, 우리가 그러려면 이미 27세에 죽었어야 돼.
정훈 난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데? 시대가 변했으니 마흔 넘어서 히트 치는 첫 번째 밴드가 되어서, 우리가 누군가에게 롤모델이 되는 거지.
상협 그래, 우리가 얼굴이 빠져, 뭐가 빠져? (웃음) 요즘 애들, 테크닉만 좋지 우리처럼 살아 있는 감성은 부족하잖아. 옛날만큼 음악을 찾아 듣지도 않고.
정열 오, 갑자기 투지가 불타오르는데?
철희 와이키키 브라더스가 영화도 아니고, 희귀한 일도 아니고, 우리 주변에 있는 현실인 지금, 너희들이 있어서 새삼 고마운데? 앞으로도 쭉 재미있게 놀아보자!


서정훈(좌 bass guitar)
이노션 기획팀장
그룹 이야기 2집 발매
동물원 김창기 독집 하강의 미학 참여
듀엣 하오몽상 1집 발매

이상협(우 vocal / guitar)
KT뮤직 실장
그룹 이야기 2집 발매
이상협 솔로앨범 발매
예당 뮤직 보컬 트레이너

 
정열(좌 drum)
즉석떡볶이 프렌차이즈 고양이 부엌 대표
그룹 이야기 2집 발매
스푸키바나나 2집 발매

김철희(우 guitar)
음반제작자
CJ 아지트 이사
버튼 매니지먼트 대표

이노션 월드와이드 ·  와이키키 브라더스 ·  명곡 ·  광고기획자 ·  음반제작자 ·  사업가 ·  가수 ·  투데이스페셜 · 
이 기사에 대한 의견 ( 총 0개 )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2
 AI와 디지털이 주도하는 광고 시장 AI의 진화와 함께 KOBACO 집계기준 약 8% 성장한 디지털 광고 시장은 60%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며 전체 광고 시장의 대표 주자임을 확실히 각인시킨 해였다(그림 1). 경기 침체 속에서 AI 기술의 도입으로 타겟팅 및 효율성이 우수해진 디지털 미디어로 광고 수요가 전환되는 추세가 더욱 가속화되며 디지털 광고 시장이 전체 시장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검색 광고 시장은 AI 기술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1
글 김수영 프로 | 제일기획 미디어퍼포먼스 1팀 2024년은 제자리 걸음이었던 광고 시장이 한 발자국을 내디디며 앞으로 나아가는 해였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에 따르면 2023년 0.1% 증가로 사실상 답보 상태를 보였던 국내 광고 시장 총 광고비 매출액은 2024년 전년 대비 2.8% 성장한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내·외부 경제 불확실성과 소비자 행동 변화로 방송 광고비는 -10.8% 감소로 부진했지만
[Meet the Creator] 세상에 없던 크리에이티브, 모험 즐기는 여정에서 나와
 세상에 없던 크리에이티브, 모험 즐기는 여정에서 나와 남현우 TBWA 코리아 ECD 취재·글 송한돈 | 사진?팡고TV촬영 유희래 광고계에서 25년, 함께한 브랜드만 40여 개, 제작한 콘텐츠는 300편이 넘는다. 2018년 이후 매해 크고 작은 상을 수상하며, 감각과 정교함을 겸비한 크리에이티브로 광고계에 묵직한 발자국을 남기고 있는 TBWA 코리아의 남현우 ECD(Executive Cre
[월간 2025밈] 01월 편 - 일하기 싫은 직장인... 아니 키티
  •  일하기 싫은 키티 •  햄스터 밈의 정석!? 밤톨이들??  •  16년 만에 돌아왔다. 월레스와 그로밋 대공개!    •  QUEEN NEVER CRY  •  올해 계획 어떻게 세울까? 만다라트?   일하기 싫은 키티    일하기 싫은 오천만 직장
옥외광고물 행정관련 질의 회신 모음
 자료제공| 안전행정부 지역활성화과 Q. 옥외광고물 등 관리법 시행령 제36조제3호나목에는 안전점검 대상에서 제외되는 게시시설 없이 옥상구조물에 직접 도료나 입체형으로 표시된 옥상간판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주유소에는 상호 및 정유사명칭이 10M이상으로 크게 도료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러한 광고물도 가로형 간판으로 보아 안전점검을 받아야 하나요? 관련법에 도료로 된 옥상간판은 제외하고 도료로 된 가로형간판에 대한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2
 AI와 디지털이 주도하는 광고 시장 AI의 진화와 함께 KOBACO 집계기준 약 8% 성장한 디지털 광고 시장은 60%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며 전체 광고 시장의 대표 주자임을 확실히 각인시킨 해였다(그림 1). 경기 침체 속에서 AI 기술의 도입으로 타겟팅 및 효율성이 우수해진 디지털 미디어로 광고 수요가 전환되는 추세가 더욱 가속화되며 디지털 광고 시장이 전체 시장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검색 광고 시장은 AI 기술
AI는 Artistic Intelligence THE APE SQUAD (디에이프스쿼드) YK 감독/대표
  취재·글 장 웅|사진 · 팡고TV촬영 유희래 ‘스페이스몬스터컨텐츠’ YK 감독(본명 김영기)은 AI의 무한한 가능성을 엿보며, 국내 최초 AI 제작 전문 스튜디오 ‘THE APE SQUAD’를 설립했으며, 지난해 대한민국광고대상에서 최첨단 생성형 AI를 활용해 크리에이티브의 정점을 보여준 오프닝 영상으로 놀라움을 선보였다. 그의 연출에 대한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1
글 김수영 프로 | 제일기획 미디어퍼포먼스 1팀 2024년은 제자리 걸음이었던 광고 시장이 한 발자국을 내디디며 앞으로 나아가는 해였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에 따르면 2023년 0.1% 증가로 사실상 답보 상태를 보였던 국내 광고 시장 총 광고비 매출액은 2024년 전년 대비 2.8% 성장한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내·외부 경제 불확실성과 소비자 행동 변화로 방송 광고비는 -10.8% 감소로 부진했지만
[Media Insight] 디지털 소비자의 시대, 무엇이 중요한가?-세대별 디지털 소비자의 미디어 이용 행태와 소비 행태
얼마 전 뉴스1)를 통해 흥미로운 기사 하나를 접했다. 모 카드사의 트렌드연구소가 발표한 바에 따르면 - 지난해 이용객이 가장 많았던 5개 지하철역 (잠실, 강남, 사당, 홍대입구, 고속터미널) 반경 1km 내에 있는 상점들의 2014년과 2016년 신용카드 사용액을 분석한 결과 – 신용카드 매출 감소 1등은 ‘유흥업’이었다. 지하철역 주변에서는 자가용을 이용하지 않는 20, 30대들이 카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젊은
2025년 마케터들이 주목해야 할 리테일테크 트렌드 3
기술 1: 생성형 AI로 ‘맥락’을 반영해 고객 경험 향상   2024년부터 생성형 AI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며, 점차 많은 소매업체가 실험 단계를 넘어 비용 절감과 고객 경험 향상 등의 이점을 가져다주는 사용 사례를 만들어내고 있다. 생성형 AI가 리테일에서 이용되는 영역은 크게 검색과 생산이다. 소비자의 쇼핑을 돕는 쇼핑 어스시턴트 AI, 아마존 루퍼스 (출처: 아마존)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2
 AI와 디지털이 주도하는 광고 시장 AI의 진화와 함께 KOBACO 집계기준 약 8% 성장한 디지털 광고 시장은 60%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며 전체 광고 시장의 대표 주자임을 확실히 각인시킨 해였다(그림 1). 경기 침체 속에서 AI 기술의 도입으로 타겟팅 및 효율성이 우수해진 디지털 미디어로 광고 수요가 전환되는 추세가 더욱 가속화되며 디지털 광고 시장이 전체 시장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검색 광고 시장은 AI 기술
AI는 Artistic Intelligence THE APE SQUAD (디에이프스쿼드) YK 감독/대표
  취재·글 장 웅|사진 · 팡고TV촬영 유희래 ‘스페이스몬스터컨텐츠’ YK 감독(본명 김영기)은 AI의 무한한 가능성을 엿보며, 국내 최초 AI 제작 전문 스튜디오 ‘THE APE SQUAD’를 설립했으며, 지난해 대한민국광고대상에서 최첨단 생성형 AI를 활용해 크리에이티브의 정점을 보여준 오프닝 영상으로 놀라움을 선보였다. 그의 연출에 대한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1
글 김수영 프로 | 제일기획 미디어퍼포먼스 1팀 2024년은 제자리 걸음이었던 광고 시장이 한 발자국을 내디디며 앞으로 나아가는 해였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에 따르면 2023년 0.1% 증가로 사실상 답보 상태를 보였던 국내 광고 시장 총 광고비 매출액은 2024년 전년 대비 2.8% 성장한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내·외부 경제 불확실성과 소비자 행동 변화로 방송 광고비는 -10.8% 감소로 부진했지만
[Media Insight] 디지털 소비자의 시대, 무엇이 중요한가?-세대별 디지털 소비자의 미디어 이용 행태와 소비 행태
얼마 전 뉴스1)를 통해 흥미로운 기사 하나를 접했다. 모 카드사의 트렌드연구소가 발표한 바에 따르면 - 지난해 이용객이 가장 많았던 5개 지하철역 (잠실, 강남, 사당, 홍대입구, 고속터미널) 반경 1km 내에 있는 상점들의 2014년과 2016년 신용카드 사용액을 분석한 결과 – 신용카드 매출 감소 1등은 ‘유흥업’이었다. 지하철역 주변에서는 자가용을 이용하지 않는 20, 30대들이 카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젊은
2025년 마케터들이 주목해야 할 리테일테크 트렌드 3
기술 1: 생성형 AI로 ‘맥락’을 반영해 고객 경험 향상   2024년부터 생성형 AI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며, 점차 많은 소매업체가 실험 단계를 넘어 비용 절감과 고객 경험 향상 등의 이점을 가져다주는 사용 사례를 만들어내고 있다. 생성형 AI가 리테일에서 이용되는 영역은 크게 검색과 생산이다. 소비자의 쇼핑을 돕는 쇼핑 어스시턴트 AI, 아마존 루퍼스 (출처: 아마존)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2
 AI와 디지털이 주도하는 광고 시장 AI의 진화와 함께 KOBACO 집계기준 약 8% 성장한 디지털 광고 시장은 60%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며 전체 광고 시장의 대표 주자임을 확실히 각인시킨 해였다(그림 1). 경기 침체 속에서 AI 기술의 도입으로 타겟팅 및 효율성이 우수해진 디지털 미디어로 광고 수요가 전환되는 추세가 더욱 가속화되며 디지털 광고 시장이 전체 시장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검색 광고 시장은 AI 기술
AI는 Artistic Intelligence THE APE SQUAD (디에이프스쿼드) YK 감독/대표
  취재·글 장 웅|사진 · 팡고TV촬영 유희래 ‘스페이스몬스터컨텐츠’ YK 감독(본명 김영기)은 AI의 무한한 가능성을 엿보며, 국내 최초 AI 제작 전문 스튜디오 ‘THE APE SQUAD’를 설립했으며, 지난해 대한민국광고대상에서 최첨단 생성형 AI를 활용해 크리에이티브의 정점을 보여준 오프닝 영상으로 놀라움을 선보였다. 그의 연출에 대한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1
글 김수영 프로 | 제일기획 미디어퍼포먼스 1팀 2024년은 제자리 걸음이었던 광고 시장이 한 발자국을 내디디며 앞으로 나아가는 해였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에 따르면 2023년 0.1% 증가로 사실상 답보 상태를 보였던 국내 광고 시장 총 광고비 매출액은 2024년 전년 대비 2.8% 성장한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내·외부 경제 불확실성과 소비자 행동 변화로 방송 광고비는 -10.8% 감소로 부진했지만
[Media Insight] 디지털 소비자의 시대, 무엇이 중요한가?-세대별 디지털 소비자의 미디어 이용 행태와 소비 행태
얼마 전 뉴스1)를 통해 흥미로운 기사 하나를 접했다. 모 카드사의 트렌드연구소가 발표한 바에 따르면 - 지난해 이용객이 가장 많았던 5개 지하철역 (잠실, 강남, 사당, 홍대입구, 고속터미널) 반경 1km 내에 있는 상점들의 2014년과 2016년 신용카드 사용액을 분석한 결과 – 신용카드 매출 감소 1등은 ‘유흥업’이었다. 지하철역 주변에서는 자가용을 이용하지 않는 20, 30대들이 카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젊은
2025년 마케터들이 주목해야 할 리테일테크 트렌드 3
기술 1: 생성형 AI로 ‘맥락’을 반영해 고객 경험 향상   2024년부터 생성형 AI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며, 점차 많은 소매업체가 실험 단계를 넘어 비용 절감과 고객 경험 향상 등의 이점을 가져다주는 사용 사례를 만들어내고 있다. 생성형 AI가 리테일에서 이용되는 영역은 크게 검색과 생산이다. 소비자의 쇼핑을 돕는 쇼핑 어스시턴트 AI, 아마존 루퍼스 (출처: 아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