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3월 23일부터 4월 12일까지 닐슨에서는 아태지역, 유럽, 남미, 중동 및 아프리카, 북미 지역 51개국의 25,000여 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전 세계 소비자들은 상점을 선택할 때 품질을 가장 우선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 소비자 61%가 소비재 품목을 구입하기 위해 상점을 선택할 때 ‘품질’을 가장 중요시하고, 다음으로는 ‘저렴한 가격’(58%)을 고려한다고 응답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함께 편리한 위치(57%), 프로모션 행사(55%), 풍부한 재고(54%), 좋은 품질의 신선한 제품(52%)이 상점 선택 시 영향력 있는 요소로 꼽혔다.(복수응답. 그래프 참조) 아래는 닐슨의 조사 결과이다. 대륙별로는 아태지역과 유럽, 라틴아메리카와 북아메리카의 소비자들이 가격보다 품질을 더 중요시한다고 응답한 반면,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의 응답자들은 품질(54%)보다는 저렴한 가격(59%)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의 소비자들은 상점 선택 시 가치(65%)와 가격(64%)을 골고루 중요시하고, 좋은 품질의 신선한 제품(58%)이 있는지 여부도 중요한 요소로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 세계 소비자들, 세일과 쿠폰 활용해 가계비 절약
전 세계 소비자들은 가계비 절약을 위해 세일(55%)을 활용하고, 쿠폰(48%)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경향은 북아메리카(65%)와 아태지역(55%)에서 두드러졌으며, 국가별로는 중국(67%), 미국(66%), 홍콩(65%)의 소비자들이 가계비 절약을 위해 쿠폰을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의 소비자들은 60% 이상이 세일(65%)과 쿠폰(62%)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닐슨 US 토드 헤일 부사장은 “미국에서는 현재 쿠폰이 다시 인기를 끌고 있다. 제조사와 유통업체는 스마트폰과 매장 내 키오스크 등의 첨단기기를 통해 소비자들이 손쉽게 쿠폰을 다운로드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북아메리카 소비자들, “식료품 비축 위해 상점 방문” 한국 및 아태지역 소비자들, “필요한 물건을 구입하기 위해 상점 방문”
이번 조사 결과, 전 세계의 많은 소비자들이 절약을 위한 방법으로 상점에서 식료품과 소비재를 구입해 비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대륙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북아메리카 지역의 소비자 60%는 빵과 우유 등 주요 식료품을 비축하기 위해 상점을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8%는 몇 가지 필요한 물건을 구입하기 위해, 7%는 부족한 물건을 구입하기 위해 상점을 방문한다고 응답했다. 반면 아태지역과 라틴아메리카, 중동/아프리카 지역의 소비자들은 약 20%만이 식료품 비축을 위해 상점을 방문한다고 응답했고, 3명 중 1명은 필요한 물건을 구입하기 위해 상점에 잠깐 방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의 소비자들은 3명 중 1명 이상(34%)이 “필요한 물건을 사기 위해 상점을 방문한다”고 응답했으며, 다음으로는 당일 음식/식재료를 구입하거나(19%), 식료품 비축을 위해(17%) 상점을 방문한다고 응답했다.
전 세계 소비자 2명 중 1명, “배달 서비스 가능하다면 온라인 주문할 것”
한편 세계 소비자 2명 중 1명 이상(52%)은 배달서비스가 가능하다면 온라인 주문을 사용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륙별로는 아태지역의 소비자들(77%)이 이와 같은 쇼핑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은 62%의 소비자들이 이와 같이 응답했다. 이에 대해 닐슨코리아 신은희 대표이사는 “유럽과 북아메리카 지역에는 식료품 매장이 주변에 많기 때문에 온라인 쇼핑에 대한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아태지역에는 유럽과 북아메리카에 비해 오프라인 매장의 수가 적고, 이들 지역 소비자들의 디지털 마인드가 풍부해 온라인 구매에 대한 니즈를 크게 생성해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 세계 소비자들, 세일과 쿠폰 활용해 가계비 절약
전 세계 소비자들은 가계비 절약을 위해 세일(55%)을 활용하고, 쿠폰(48%)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경향은 북아메리카(65%)와 아태지역(55%)에서 두드러졌으며, 국가별로는 중국(67%), 미국(66%), 홍콩(65%)의 소비자들이 가계비 절약을 위해 쿠폰을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의 소비자들은 60% 이상이 세일(65%)과 쿠폰(62%)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닐슨 US 토드 헤일 부사장은 “미국에서는 현재 쿠폰이 다시 인기를 끌고 있다. 제조사와 유통업체는 스마트폰과 매장 내 키오스크 등의 첨단기기를 통해 소비자들이 손쉽게 쿠폰을 다운로드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북아메리카 소비자들, “식료품 비축 위해 상점 방문” 한국 및 아태지역 소비자들, “필요한 물건을 구입하기 위해 상점 방문”
이번 조사 결과, 전 세계의 많은 소비자들이 절약을 위한 방법으로 상점에서 식료품과 소비재를 구입해 비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대륙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북아메리카 지역의 소비자 60%는 빵과 우유 등 주요 식료품을 비축하기 위해 상점을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8%는 몇 가지 필요한 물건을 구입하기 위해, 7%는 부족한 물건을 구입하기 위해 상점을 방문한다고 응답했다. 반면 아태지역과 라틴아메리카, 중동/아프리카 지역의 소비자들은 약 20%만이 식료품 비축을 위해 상점을 방문한다고 응답했고, 3명 중 1명은 필요한 물건을 구입하기 위해 상점에 잠깐 방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의 소비자들은 3명 중 1명 이상(34%)이 “필요한 물건을 사기 위해 상점을 방문한다”고 응답했으며, 다음으로는 당일 음식/식재료를 구입하거나(19%), 식료품 비축을 위해(17%) 상점을 방문한다고 응답했다.
전 세계 소비자 2명 중 1명, “배달 서비스 가능하다면 온라인 주문할 것”
한편 세계 소비자 2명 중 1명 이상(52%)은 배달서비스가 가능하다면 온라인 주문을 사용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륙별로는 아태지역의 소비자들(77%)이 이와 같은 쇼핑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은 62%의 소비자들이 이와 같이 응답했다. 이에 대해 닐슨코리아 신은희 대표이사는 “유럽과 북아메리카 지역에는 식료품 매장이 주변에 많기 때문에 온라인 쇼핑에 대한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아태지역에는 유럽과 북아메리카에 비해 오프라인 매장의 수가 적고, 이들 지역 소비자들의 디지털 마인드가 풍부해 온라인 구매에 대한 니즈를 크게 생성해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하여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