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 프레임의 온라인 문화적 공명이 여론 틀 짓기에 미치는 영향 관계
한국언론학회 | 한국언론학회 | 40 pages| 2018.09.06| 파일형태 :
조회 692 다운로드 0
자료요약
언론 프레임이 여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언론 프레임을 시민들의 의견, 관점, 감정 등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기사의 댓글이 사회 문화적 맥락으로 작용할 수 있어, 언론 프레임이 이 맥락에 호응하는 관계성을 ‘언론 프레임의 온라인 문화적 공명’으로 제안한다. 국내외 연구자들이 이 관계성을 다루지 않았다는 점에 주목해, 본 연구는 2016년 6월 13일부터 2016년 9월 10일까지 90일간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경향신문〉이 보도한 김영란법 관련 기사 432건과 댓글 3,321건에 대해 의미 연결망과 군집 분석을 실시했다. 이 결과, ‘경제 여파’, ‘법안 쟁점’, ‘부정적 영향’, ‘청렴 사회’라는 4개 프레임이 기사와 댓글에서 출현했다. 본 연구는 이 프레임들을 시계열 데이터로 구성해 사회 문화적 맥락인 댓글에 내재한 프레임과 기사 프레임 간에 그랜저 인과 관계를 조사했다. ‘법안 쟁점’ 프레임의 경우, 보도 이전에 게재된 댓글이 기사에 영향을 미쳐 기사 프레임의 문화적 공명이 나타났으며, 관련 기사는 보도 이후 실린 댓글에도 영향을 미쳤다. 보수 신문의 ‘법안쟁점’ 프레임이 선행하는 댓글 프레임에 영향을 받았으며, 이 프레임은 뒤따르는 댓글 프레임에 영향을 미쳤다. 진보 신문의 경우, 기사 프레임이 앞선 댓글 프레임에 호응했다. 본 연구는 언론 프레임 선행 연구에 ‘프레임의 온라인 문화적 공명’이라는 개념을 제안해 댓글 프레임과 기사 프레임의 인과성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o identify news frames’ effects on public opinion, the nature of the news frames in terms of a socio-cultural context in comments is important. With comments serving as a social-cultural context, this study suggests ‘online cultural resonance of news frame.’ By noting few studies examining the topic, this study investigated 432 news stories and 3,321 comments about the Kim Young-ran Act from four newspapers ranging from June 13 to September 10, 2016 by using semantic network and cluster analyses. ‘Economic impact’, ‘moot point of the Act’, ‘negative effect’, and ‘society of integrity’ emerged. This study executed the Granger test for the frames of the comments and those of the news stories. The frame of ‘moot point of the Act’ in the comments influenced the news frame, and the news frame influenced the subsequent comment frame. The comment frame of ‘moot point of the Act’ in the conservative newspapers influenced the news frame, and the news frame affected the comment frame later. For liberal newspapers, the news frames corresponded with the earlier comment frames.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existing literature by suggesting the concept of online cultural resonance and examining the causality between the two frames.
목차
1. 문제제기
2. 이론적 논의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프레임 온라인 문화적 공명 의미 연결망 군집 그랜저 인과 관계 frame online cultural resonance semantic network cluster Granger causality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언론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