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2023년 6월] 2023 상반기 Media Trend Report
- [플레이디]2024 반려동물 업종 트렌드 리포트
- [메조미디어]?미디어&마켓 이슈?2025년 3월 호
- 현대자동차 “기업PR영상홍보” 외 4개 캠페인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F1스포츠스폰서링과스포츠마케팅
- [나스미디어] 2025년 2월 MEDIA & MARKET ISSUE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MEDIA & MARKET ISSUE
자료요약
소통과 관계의 목적으로 주로 활용되어 왔던 SNS가 지식공유의 장이 되고 있다. SNS는 기존의 조직 구성원들간 또는 사업파트너들간의 지식공유를 넘어서 글로벌 지식공유를 가능하게 하였다. SNS에서 처음 만난 사람들간에도 지식공유가 활성화되는 데는 속성신뢰의 역할이 중요한다. 본 연구에서는 SNS 사용자의 개인특성으로는 명성과 이타심, 서비스특성으로 사회적실재감·사용용이성·서비스유용성, 속성신뢰, 지식공유의 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으로 제시하였다. SNS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지식공유의 선행변수(개인특성과 서비스특성)와 지식공유 간에 속성신뢰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SNS 사용자의 개인특성으로 명성은 속성신뢰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으나, 이타심은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SNS의 서비스특성으로 사회적 실재감·서비스유용성·사용용이성은 속성신뢰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고, 속성신뢰도 지식공유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속성신뢰는 명성과 지식공유 간의 매개역할을 하며, 서비스특성과 지식공유 간에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결과를 토대로 SNS를 운영하는 조직이 어떤 서비스를 어떻게 제공해야 하는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nowledge sharing#Mediating effect#SNS#SNS#Social capital#Social Network#Swift trust#Trust#매개효과#사회적 자본#소셜네트워크#속성신뢰#신뢰#지식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