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2023년 6월] 2023 상반기 Media Trend Report
- [플레이디]2024 반려동물 업종 트렌드 리포트
- [메조미디어]?미디어&마켓 이슈?2025년 3월 호
- 현대자동차 “기업PR영상홍보” 외 4개 캠페인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F1스포츠스폰서링과스포츠마케팅
- [나스미디어] 2025년 2월 MEDIA & MARKET ISSUE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MEDIA & MARKET ISSUE
자료요약
국내 거주 또는 체류 외국인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그들에 대한 수용성은 그 증가 속도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는데, 그 요인 가운데 하나로 지목되는 것이 미디어에 투영되는 외국인과 이주민의 부정적 이미지다. 특히 언론에 의한 범죄의 과잉재현은 외국인과 이주민에 대한 공포감을 실제 이상으로 확대·재생산하면서 사회적 불안감과 긴장을 증폭시키고 나아가 다문화주의의 안착을 어렵게 한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외국인 범죄 보도의 과잉재현을 양적인 측면과 보도 속 표현의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특히 표현에서의 과잉재현을 실증하기 위해 빅데이터 분석기법 가운데 하나인 감성분석을 이용하여 외국인 범죄 보도에 나타난 감성적 태도가 내국인 범죄에 대한 그것과 다른지를 진단하였다. 2000~2020년 기간 세 가지 유형 18개 언론 매체에 보도된 총 19,886건의 5대 강력범죄 관련 기사를 분석한 결과, 외국인의 범죄는 실제 범죄 건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비율로 보도되고 있었다. 그러나 기사 속 표현에 나타난 태도에서는 다른 양상이 발견되었는데, 외국인의 범죄는 내국인과 동등한 수준 또는 상대적으로 덜 부정적으로 묘사되고 있었다. 한편 매체 유형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지역지는 전국지나 지상파 방송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범죄를 부정적으로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1. 들어가며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문제
4. 연구 방법
5. 분석 결과
6.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문제
4. 연구 방법
5. 분석 결과
6.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외국인
#강력범죄
#범죄 저널리즘
#감성분석
#다문화
#foreigner
#violent crime
#crime reporting
#sentiment analysis
#multi-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