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공중 관계성 이론의 발전 과정과 미래 연구 방향에 대한 고찰
한국PR학회 | 한국PR학회 | 2014.09.30| 파일형태 :
조회 1265 다운로드 0
자료요약
본 논문은 PR 연구와 실무에 있어 개념의 혁명을 몰고 온 조직-공중 관계성 이론의 태동과 그 성장과정을 기술하고 미래 연구의 방향을 제언하고자 쓰여졌다.

1984년 퍼거슨은 AEJMC의 PR 분과 발표에서 ‘PR 연구의 단위는 조직, 공중, 혹은 커뮤니케이션 과정이 아니라 관계성이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공중관계(public relations)의 축약어인 PR이 그 이름 자체에 관계성을 내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들이 커뮤니케이션 메시지를 통한 공중 설득에만 집중했음을 비판한 것이다.

본격적인 조직-공중 관계성에 대한 연구는 1990년대 말에 시작되었다. 브룸과 그의 동료들(Broom, Casey, & Ritchey, 2000)은 대인커뮤니케이션, 심리치료, 조직간 관계성, 시스템이론 등의 분야에 대한 문헌연구를 진행한 뒤, 그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관계성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관계성의 3단계 모형을 제시하였다. 혼과 그루닉(Hon & Grunig, 1999)은 미국 Institute of Public Relations에서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관계성의 6가지 구성차원에 대한 측정 항목들을 발표하였다. 레딩엄과 브루닝(Ledingham & Bruning, 1998) 또한 독자적인 관계성 연구를 시작해 관계성의 구성 차원을 규명하였다. 본 논문은 이렇게 시작된 관계성 연구의 태동과정을 주요 연구들에 대한 기술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2000년 이후 관계성은 PR 연구의 주요 주제로 부상하였고 수많은 연구가 쏟아져 나오기 시작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계성 연구의 성장과정을 미국의 연구와 한국의 연구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미국에서 행해진 연구에 대한 리뷰 부분은 ① 관계성 모형의 진화 ② 관계성 척도의 검증 ③ 다양한 영역으로의 확장이라는 큰 3가지 주제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2000년 초반부터 한국의 학자들도 이 새로운 이론을 탐구하고 한국적 상황에 적용하기 위해 노력해 온 바, 지난 10여 년 간 이루어진 국내의 관계성 연구들도 ① 관계성 척도의 검증, ② 다양한 영역에의 적용, ③ 관련 분야와의 접목(위기관리, 평판관리, 갈등관리 등), ④ 매체 플랫폼의 변화에 따른 관계성 연구의 진화 등의 4가지 소주제로 요약하여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관계성 연구의 이론적/ 방법론적 한계 극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미래 연구에 대한 제언들을 제시하였다.
목차
1. 서론

2. 조직-공중 관계성 이론의 태동

3. 조직-공중 관계성 연구의 이론적 성장: 미국의 연구
1) 관계성 모형의 진화
2) 관계성 척도의 검증
3) 다양한 영역으로의 확장

4. 조직-공중 관계성 연구의 이론적 성장: 한국의 연구
1) 관계성 척도의 검증
2) 다양한 영역에의 적용
3) 관련분야와의 접목(위기관리, 평판관리, 갈등관리 등)
4) 매체 플랫폼의 변화에 따른 관계성 연구의 진화

5. 미래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 이론적/방법론적 한계의 극복
1) 이론적 한계의 극복
2) 방법론적 한계의 극복

6. 결론

조직-공중 관계성 관계성 연구의 발전 과정 관계성 연구의 미래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PR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