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_24년 6월
- [메조미디어] 2025 디지털 미디어 마일스톤
- [나스미디어] 2024년 11월 Meta 협력광고, 이커머스 시장의 게임 체인저
- [메조미디어]?미디어&마켓 이슈?2025년 1월 호
- 기아차 SOUL의 혁신적인 제품전략 -소비자의 soul을 움직이다-
- 2023년 3월 매체력 평가 리포트
- [플레이디] [손해보험] 시장 변화에 기회 삼아 미래를 준비하는 손해보험사들의 생존 경쟁 시작
- 조선-중앙-동아일보의 유사성과 차별성:1면 구성과 사설의 이념성을 중심으로
-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혼틈당선: 윤석열과 보수 재집권 분투 : 〈Under the Cover of Chaos〉를 통해 본 제20대 대통령 선거 국면 분석
자료요약
본 연구는 그로스버그가 제안한 국면분석의 구체적 모델을 전범으로 삼아 제20대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의 담론 정치를 분석한다. 보다 장기적인 ‘시대(epoch)’적 맥락과, ‘진지전’, ‘문제적 공간’의 개념들을 짚으면서 추상적 진단을 넘어선다. 비판적이고 분석적인 실천 차원의 논의로 우선 “진지천” 차원에서 정치, 경제, 문화 담론의 발화를 확인한다. 발화 주체는 홀의 <위기 관리>에서도 제안한, 정치 캠페인 수사, 언론 보도, 수용자 화답(시대적 맥락에서 독자 투고를 온라인 커뮤니티의 화답으로 대체하여)을 아우른다. 나아가 코로나19라는 국면에서 돌출된 ‘불안감’ 조장, ‘청년’, ‘젠더’ 담론에서의 ‘격리’와 ‘해체’가 “문제적 공간”에서 맥락화되는 현상을, 위기와의 접합으로 읽어낸다. 이를 통해 윤석열과 한국 보수 정치 세력의 재집권 전략을 “공정”에 대한 법과 질서 정립, “사회적 신뢰”에 대한 해체와 대체로 규정한다. 트럼프의 등장과 미국 사회의 신 보수 질서 정립이 끼친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영향이 여전히 드리운 현실에서, 한국 사회의 정치적 세력 교체를 넘어 새로운 담론 질서의 등장과 대두가 부각되는 작금의 상황을 국면적으로 읽어 개입하는 작업의 필요성을 개진한다.
목차
1. 들어가며: 위기와 혼란 속 대선을 국면적으로 읽기
2. 왜 ‘국면분석’인가?: 기존 논의 및 방법론적 전유
3. 혼틈당선: 윤석열과 보수 재집권 분투
4. 나가며
References
국문초록
2. 왜 ‘국면분석’인가?: 기존 논의 및 방법론적 전유
3. 혼틈당선: 윤석열과 보수 재집권 분투
4. 나가며
References
국문초록
#Discourse of Crisis#Articulation#Conjunctural Analysis#Presidential Election#Radical Contextualism#위기 담론#접합#국면분석#대통령 선거#급진적 맥락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