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마켓 리포트_25년 8월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2022 주류 소비 트렌드 리포트
- 2024년 6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인크로스]2025년 1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기아차 SOUL의 혁신적인 제품전략 -소비자의 soul을 움직이다-
-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메조미디어] 2024 업종 분석 리포트 02. 화장품
- [나스미디어] 2024년 11월 Meta 협력광고, 이커머스 시장의 게임 체인저
소셜미디어상에서의 침묵의 나선효과: SNS 자기표현 성향을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
한국경영학회 |
34 pages|
2024.03.28|
파일형태 :
자료요약
본 연구는 침묵의 나선이론과 인상관리이론을 바탕으로 여론분위기에 따라 개인이 소셜미디어상에서 사회적 담론과 관련하여 의견표명을 하거나 침묵하게 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사회적 담론에 관한 SNS 사용자의 의견표명 동기요인으로서 침묵의 나선이론을 바탕으로 지각된 의견지지와 부정적 평가의 두려움을 제시하였고, 인상관리이론을 바탕으로 SNS 자기표현 성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모델 검증을 위해 SNS를 사용하는 전국의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PLS-SEM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지각된 의견지지는 부정적 평가의 두려움에 부의 영향을 주었다. 부정적 평가의 두려움은 공개적인 의견표명의지에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SNS 자기표현 성향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SNS 자기표현 성향은 공개적인 의견표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부정적 평가의 두려움에서 공개적인 의견표명의지에 이르는 직접경로의 부호와 SNS 자기표현 성향을 통한 간접경로의 부호가 서로 반대인 경쟁적 매개 유형이 관찰되었으며, 추가 분석을 통해 SNS 자기표현 성향이 억제변수로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인상관리이론과의 이론적 결합을 통해 침묵의 나선이론을 보완하는 새로운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소셜미디어 환경에서의 여론형성 과정을 설명하는 구체적인 인과관계 메커니즘을 실증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델 및 연구가설
Ⅳ. 연구방법
Ⅴ. 분석 및 결과
Ⅵ. 토의
Ⅶ.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Abstract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델 및 연구가설
Ⅳ. 연구방법
Ⅴ. 분석 및 결과
Ⅵ. 토의
Ⅶ.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Abstract
#소셜미디어#침묵의 나선이론#인상관리이론#부정적 평가의 두려움#SNS 자기표현 성향#공개적인 의견표명의지#억제효과#Social Media#Spiral of Silence theory#Impression Management Theory#Fear of Negative Evaluation#SNS Self-Presentation Tendency#Willingness to Speak out#Suppression Effect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