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_24년 6월
- [메조미디어] 2025 디지털 미디어 마일스톤
- [나스미디어] 2024년 11월 Meta 협력광고, 이커머스 시장의 게임 체인저
- [메조미디어]?미디어&마켓 이슈?2025년 1월 호
- 기아차 SOUL의 혁신적인 제품전략 -소비자의 soul을 움직이다-
- 2023년 3월 매체력 평가 리포트
- [플레이디] [손해보험] 시장 변화에 기회 삼아 미래를 준비하는 손해보험사들의 생존 경쟁 시작
- 조선-중앙-동아일보의 유사성과 차별성:1면 구성과 사설의 이념성을 중심으로
-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자료요약
이 논문의 목적은 중국 이민자의 미디어 이용이 그들의 문화가치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부연 설명하자면 중국 이민자의 한국 미디어 이용과 중국미디어 이용이 한국적 문화가치 습득과 중국적 문화가치 유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논리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카츠의 이용과 충족 이론을 바탕으로 미디어 이용과 문화가치 습득에는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또한 자일스와 베리의 주장을 바탕으로 중국 이민자의 한국과 중국에 대한 애착도에 따라 미디어 이용 수준이 다르고 이에 따라 문화가치 형성도 달라질 것으로 추정하였다. 한국어 설문지와 중국어 설문지 간의 내용적 등가를 이끌기 위하여 번역-역번역 기법을 사용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비확률 표본 방법을 이용하여 인천 지역에 거주하는 중국인들에게 설문을 실시한 후 계층 회귀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제시된 네 가지 가설은 기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how the media uses of Chinese immigrants affect on the formation of their cultural values. Specifically, it was expected to test how Chinese immigrants’ Korean media usages and Chinese media usages affect on their Chinese cultural values as well as Korean cultural values. It was expecte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relationship between media usage and acquirement of cultural values. In addition, since Chinese immigrants’ preference toward Korea and China should be different, it is expected that their levels of media usages are different. This procedure caused Chinese immigrants to have different levels of cultural values acquirement. In order to achieve the content equivalency between Chinese and Korean questionnaires, a translation and back-translation method was used. Then, we used a hierarchial regression method, based on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The four suggested hypotheses were rejected in that the short length of Chinese subjects in Korea caused Chinese immigrants to use the shortage of media use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how the media uses of Chinese immigrants affect on the formation of their cultural values. Specifically, it was expected to test how Chinese immigrants’ Korean media usages and Chinese media usages affect on their Chinese cultural values as well as Korean cultural values. It was expecte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relationship between media usage and acquirement of cultural values. In addition, since Chinese immigrants’ preference toward Korea and China should be different, it is expected that their levels of media usages are different. This procedure caused Chinese immigrants to have different levels of cultural values acquirement. In order to achieve the content equivalency between Chinese and Korean questionnaires, a translation and back-translation method was used. Then, we used a hierarchial regression method, based on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The four suggested hypotheses were rejected in that the short length of Chinese subjects in Korea caused Chinese immigrants to use the shortage of media uses in Korea.
목차
1. 서론
2. 문헌연구
3. 연구가설
4. 연구방법론
5. 분석방법
6. 연구 분석 결과
7. 결론
8. 한계와 미래 연구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2. 문헌연구
3. 연구가설
4. 연구방법론
5. 분석방법
6. 연구 분석 결과
7. 결론
8. 한계와 미래 연구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미디어 이용
문화가치
차이나타운
media usage
cultural values
chinatow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