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 2025년 8월 매체력 평가 리포트
- 2025년 2분기 인터넷 노출형광고 결산보고
- 2025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미디어&마켓 리포트_25년 8월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Case Study] Internet_쌤소나이트_하이시에라 런칭 캠페인/일동제약_비오비타 아기모델 선발 캠페인
- [2025년 5월] MEDIA & MARKET ISSUE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자료요약
학령인구 급감으로 인해 대학교는 학생 충원과 이탈을 막기 위해 사활을 걸고 있다. 이 연 구는 PR(공중관계)학 관점에서 교수·학생 공중관계성이 대학행사 참여도, 대학 만족도 및 대학이탈 가능성에 미치는 인과적 관계를 입체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 내의 한 4년제 종합사립대학교 재학생 482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학교 수·학생 공중관계성은 재학생의 교내 행사 참여도와 대학 만족도를 경유하여 대학이탈 가능성 을 낮추는 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대학생들의 성별, 나이, 학년, 기숙사 입사, 통학 불편, 교우관계 변인을 통제하고서도 교수·학생 공중관계성은 대학행사 참여도 및 대학 만족도를 매개로 대학이탈 가능성을 낮추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PR학 차원에서 교수와 학생을 대학 조직의 핵심 공중으로 상정하고 이들의 공중관계성의 가치를 입체적으로 조 명함으로써 대학교 조직 PR 활동 관련 이론 및 실무적인 지침을 제시한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논의
1) 대학 PR과 교수·학생 공중관계성
2) 대학 조직과 교수·학생 공중관계성
3) 재학생의 대학행사 참여도, 대학 만족도 및 대학이탈 가능성
3. 연구 방법
1) 분석대상 및 자료수집
2) 연구 변인 및 측정 방법
4. 분석 결과
1) 교수·학생 공중관계성의 대학행사 참여도, 대학 만족도, 대학이탈 가능성 영향
2) 통제변인과 교수?학생 공중관계성의 대학행사 참여도, 만족도, 이탈 가능성 영향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논의
1) 대학 PR과 교수·학생 공중관계성
2) 대학 조직과 교수·학생 공중관계성
3) 재학생의 대학행사 참여도, 대학 만족도 및 대학이탈 가능성
3. 연구 방법
1) 분석대상 및 자료수집
2) 연구 변인 및 측정 방법
4. 분석 결과
1) 교수·학생 공중관계성의 대학행사 참여도, 대학 만족도, 대학이탈 가능성 영향
2) 통제변인과 교수?학생 공중관계성의 대학행사 참여도, 만족도, 이탈 가능성 영향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한국광고학회 #대학 PR #교수 #학생 #공중관계성 #대학이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