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위험 커뮤니케이션 탐색 연구 : 소셜 미디어 의존 이론을 응용한 정부와 일반인 유튜브 콘텐츠와 댓글 내 담론 분석
한국PR학회 | 한국PR학회 | 43 pages| 2021.07.09| 파일형태 :
조회 3156 다운로드 0
자료요약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가 지속되는 위험 상황에서 소셜 미디어 의존 이론을 기반으로, 소셜 미디어를 대표하는 유튜브상 코로나19 대응 주무 정부 기관이 생성하고 업로드한 콘텐츠와 이에 대한 댓글, 그리고 정부 기관이 아닌 일반인이 생성하여 공유한 유튜브 콘텐츠와 이에 대한 댓글 내 담론을 비교 분석하였다. 나아가, 국내 코로나19 1차 대유행 시점부터 현 진행 상황인 3차 대유행 추이에 맞게 시계열적 추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유튜브 콘텐츠 추출 프로그램으로 모집된 총 823건의 정부 기관 콘텐츠, 이에 대한 1만1399건의 댓글, 일 반이 업로드한 1088건의 콘텐츠와 이에 대한 8만9816개의 댓글을 대상으로 주제어 빈도 분석, 토픽 모델 링의 LDA 분석과 연결 중심성(degree centrality) 분석을 통한 동시 출현(co-occurrence) 단어와 최종 핵심어를 도출하였다. 결과 각 대유행 시기별 정부 기관의 유튜브 콘텐츠는 코로나19 발생 상황, 확진자나 격리자 정보, 감염 경로 등과 같은 위험 정보 제공 등 신속성과 일관성 그리고 투명성 부분에서 통일된 메시지가 전달되었다. 하지만, 정부 기관 내용에 대한 댓글이나 일반인 콘텐츠 및 그 댓글은 대유행마다 존재했던 이슈에 좀 더 구체적이고 민감 하게 반응하였다. 1차 대유행 시기에는 정부의 방역 노력에 대한 감사 표현과 찬사가 많았지만, 대유행이 3 차로 이어지면서 코로나19 대응에 대한 정부 대책의 미비 및 정책적 실효성에 대한 부정적인 목소리도 다수 존재하였다. 논의 및 결론 코로나19 이슈는 소멸된 위험 이슈가 아닌 지금도 진행형이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국민의 건강과 직결하 는 높은 위험성을 지니기에, 위험 관리 측면에서 정부의 효율적이며 전략적인 양방향 위험 커뮤니케이션 역 할을 강조하는 논의를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문제 제기
선행 연구
국내 코로나19 진행 상황과 정부의 위험 커뮤니케이션 대응
위험 커뮤니케이션
소셜 미디어 의존 이론
댓글 분석의 가치
연구 방법
데이터 수집
데이터 클리닝
데이터 분석
연구 결과
코로나19 1차 대유행(2020년 1월 29일∼2020년3월 29일)
코로나19 2차 대유행(2020년 7월 27일∼2020년 9월 27일)
코로나19 3차 대유행(2020년 11월 25일∼2021년 1월 26일)
논의 및 함의
결과 요약
함의
연구 한계 및 후속 연구
References
Abstract
코로나19 위험 커뮤니케이션 소셜 미디어 의존 이론 유튜브 담론 분석 빅데이터 주제어 빈도 분석 시계열적 토픽 모델링 동시 출현 단어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PR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