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의 광고홍보학 전공교육 : 교수자 심층인터뷰를 토대로
한국광고홍보학보 | 한국광고홍보학회 | 44 pages| 2025.07.08| 파일형태 :
조회 4 다운로드 0
자료요약
최근 AI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광고홍보산업과 교육환경에 커다란 변화를 불러왔으며, 그에 따라 대학의 광고홍보학 전공교육도 새로운 도전을 맞이하고 있다. AI가 실시간 응답은 물론, 데이터 분석, 콘텐츠 자동화 제작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영역을 넓혀가는 환경 속에서 학생들에게는 AI의 결과물을 현명하게 수용하고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이 매우 중요해졌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방식과 학습환경 전반에 걸쳐 혁신이 요구되는 시대적 흐름에 부합할 수 있도록 광고홍보학 전공교육의 올바른 방향성을 타진하고, 변화된 환경에 부응하는 교수자의 역할 및 교육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의 광고홍보학 전공 교수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고, AI 관련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전공교육 개편 방향에 대한 교수자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AI 시대의 전공교육은 단순한 기술 습득을 넘어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력, AI 리터러시, 협업능력, 윤리적 판단력 등의 복합적 역량 함양을 지향해야 한다고 지적되었다. 또한, 교육 방향성에 있어서는 기초역량 강화, 창의적·비판적 사고력 배양, 과제 및 평가방식 개선, 교과-비교과과정의 상호보완적 연계 강화, 산학협력 확대, AI 활용 지침 마련 등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AI 시대를 맞이한 광고홍보학 전공교육의 변화를 이끄는 데 유용하게 참조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교육 개편을 위한 실질적 논의를 촉진하는 데 궁극적 목표와 의의를 둔다.
목차
1. 서론
2. 문헌연구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AI#인공지능#광고홍보학#전공교육#교육과정#교수자 인식#AI(Artificial Intelligence)#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Major Education#Curriculum#Professor Perception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광고홍보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