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 기반 하이퍼로컬 플랫폼은 이용자의 지역 관여를 강화시키는가 아니면 약화시키는가? : 커뮤니케이션 하부구조 이론의 적용
자료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커뮤니케이션 하부구조 이론(Kim & Ball-Rokeach, 2006a, 2006b)을 틀로 하이퍼 로컬 플랫폼인 당근이 지역 커뮤니티 관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더불어 둘 사이의 관계를 지역 스토리텔링 네트워크와의 통합적 연결성(ICSN)이 조절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당근 이용은 이용 여부, 이용 정도로 구분해 분석했고, 지역 커뮤니티 관여는 네 가지 하위변인(이웃 소속감, 비공식적 사회 통제, 사회적 결속, 지역 커뮤니티 활동 참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에는 2023년 3월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만 20세~69세 남녀 총 500명의 설문조사 응답을 사용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당근 이용(여부/정도)은 개인의 ICSN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근 이용이 지역 커뮤니티 관여에 미치는 영향은 당근 이용 여부와 지역 커뮤니티 활동 참여 사이에만 유효했다. 즉, 당근을 이용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지역 커뮤니티 활동에 더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CSN의 조절효과는 당근 이용 여부와 이웃 소속감, 그리고 당근 이용 정도와 비공식적 사회통제 간에만 나타났다. ICSN 수준이 낮은 경우 당근을 이용할 때 이웃 소속감이 높아졌지만, ICSN 수준이 높은 경우엔 오히려 당근을 이용할 때 이웃 소속감이 소폭 줄어들었다. 개인의 ICSN 수준이 낮은 경우 당근을 더 많이 이용할수록 비공식적 사회통제가 높아져 지역 문제가 생겼을 때 해결을 위해 동네 구성원들이 더 많이 참여할 것이라고 인지하지만, ICSN 수준이 높은 경우 당근 이용 정도가 오히려 비공식적 사회통제를 소폭 감소시켰다. 본 연구는 지역 기반 하이퍼로컬 플랫폼 이용과 지역 커뮤니티 관여 사이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현대의 미디어 환경에서 플랫폼이 지역 커뮤니티 관여의 정도와 사회적 자본 형성에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이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하이퍼로컬 플랫폼과 지역 커뮤니티 관여
3. 커뮤니케이션 하부구조 이론
4. 연구방법
5. 분석 결과
6. 결과에 대한 논의
References
1. 서론
2. 하이퍼로컬 플랫폼과 지역 커뮤니티 관여
3. 커뮤니케이션 하부구조 이론
4. 연구방법
5. 분석 결과
6. 결과에 대한 논의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