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마켓 리포트_25년 8월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2022 주류 소비 트렌드 리포트
- 2024년 6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인크로스]2025년 1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기아차 SOUL의 혁신적인 제품전략 -소비자의 soul을 움직이다-
-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메조미디어] 2024 업종 분석 리포트 02. 화장품
- [나스미디어] 2024년 11월 Meta 협력광고, 이커머스 시장의 게임 체인저
소비자가 인식하는 구매 시기와 제품 유형의 시간적 거리감이 광고 정보처리 과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소셜커머스를 중심으로
자료요약
본 연구는 소비자의 해석 수준에 따른 시간적 거리와 제품 유형인 실용재와 쾌락재에 노출되는 광고 메시지를 어떻게 처리하여 구매에 이르게 되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소비자들에게 시간적 거리감과 제품 유형(실용재, 쾌락재), 그리고 제시되는 광고 메시지가 제품 본질적인 측면 강조 여부에 따른 광고 속성의 삼원 요인 실험설계를 구성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시간적 거리감과 제품 유형, 시간적 거리감과 광고 속성의 이원상호작용만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보면 먼 미래 시점의 소비자 광고 태도와 제품 태도의 형성을 위해서는 제품의 본질적인 기능이나 속성을 소구하는 광고 전략이, 가까운 미래 시점의 경우 구매 시점의 촉진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점을 소구하는 전략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향후 연구 방향과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consumers’ construal level interprets advertising messages which contains temporal distance and then their interpretation influences their intention to purchase. Further, it is assumed that both product-attribute information and the types of products differentiate the impact of consumers’ construal level on processing advertising messages and purchase intention. For this, this study employs a three-way design: 2 (high temporal distance vs. low temporal distance) × 2 (hedonic vs. utilitarian products) × 2 (functional vs. symbolic appeals). Even though there is not a three-way interaction of temporal distance, the types of products, and product-attribute information, the results significantly reveals that there exist a two- way interaction between temporal distance and the types of product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emporal distance and product-attribute information. In other words, it is plausible that functional appeal is more effective for consumers who consider a distant future purchase. In contrast, symbolic appeal is more persuasive for people who decide a near future purchase. With thes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in detail.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consumers’ construal level interprets advertising messages which contains temporal distance and then their interpretation influences their intention to purchase. Further, it is assumed that both product-attribute information and the types of products differentiate the impact of consumers’ construal level on processing advertising messages and purchase intention. For this, this study employs a three-way design: 2 (high temporal distance vs. low temporal distance) × 2 (hedonic vs. utilitarian products) × 2 (functional vs. symbolic appeals). Even though there is not a three-way interaction of temporal distance, the types of products, and product-attribute information, the results significantly reveals that there exist a two- way interaction between temporal distance and the types of product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emporal distance and product-attribute information. In other words, it is plausible that functional appeal is more effective for consumers who consider a distant future purchase. In contrast, symbolic appeal is more persuasive for people who decide a near future purchase. With thes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in detail.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석 수준 이론
시간적 거리
실용재
쾌락재
광고효과
construal level theory
temporal distance
hedonic product
utilitarian product
advertising effec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