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 미디어&마켓 리포트_25년 8월
- 2022 주류 소비 트렌드 리포트
-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2025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Case Study] Internet_쌤소나이트_하이시에라 런칭 캠페인/일동제약_비오비타 아기모델 선발 캠페인
- [CJ?메조미디어] OTT 광고 소비자 인식 조사
- [2025년 5월] MEDIA & MARKET ISSUE
자료요약
본 연구는 기부자의 평판과 약정한 기부시점이 기업오너의 기부행동에 대한 소비자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실험 1과 2의 피험자들은 어떤 기업오너가 즉시 또는 미래에 큰 액수의 돈을 기부하겠다는 내용의 기사를 읽고난 다음 그 기부행동에 대한 평가를 내렸다. 이 때 기부자의 평판(긍정 대 부정)이 실험적으로 조작되었거나(실험 1) 피험자들의 인지적 부하(부하 걸림 대 안 걸림)가 실험적으로 조작되었다(실험 2). 그 결과, 기부행동에 대한 평가는 기부자의 평판이 부정적일수록 나쁘게 평가되었지만, 이러한 경향은 기부가 먼 미래에 이루어지는 경우 또는 가까운 미래에 이루어지는 경우라 하더라도 피험자들이 인지적 부하가 걸린 경우에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부약속 맥락에서 먼 미래 관점은 본질적 요소를 자동적으로 떠올리게 만들지만, 가까운 미래 관점이 본질적 요소와 더불어 상황적 요소를 떠올릴 때에는 인지적 자원이 요구된다는 이론적 암시를 준다. 아울러, 부정적 평판을 갖고 있는 기업오너의 기부행동이 오히려 역효과를 초래할 수도 있지만, 기부약속 시점과 인지부하에 대한 적절한 조절로 순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목차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Donation#Donor`s Reputation#Temporal Construal Theory#기부#기부자평판#사회공헌활동#시간적 거리이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