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목 저자 출처 학회/발행처
함께 엮다: 인수합병 후 공동 발명에서 적소 밀집과 협력?경쟁의 이중적 역학 | 2025.07.09
| 경영학연구 (한국경영학회)
The success of mergers and acquisitions (M&As), particularly in knowledge-intensive industries, depends heavily on human capital dynamics. This study examines how acquirer inventors collaborate with the incoming target workforce, focusing on joint invention―a critical but often overlooked aspect of post-acquisition integration. Drawing on niche theory, we investigate how acquirer inventors respond to niche crowding caused by the addition of the target workforce. We explore how they manage the tension between cooperation and competition in joint invention efforts. Using data from inventors in the U.S. high-tech sector involved in acquisitions between 2002 and 2015, we find that acquirer inventors are more likely to collaborate when their competitiveness is relatively low―marked by declining performance and peripheral positions in the inventor network. In contrast, when both groups operate in similar technological domains or within related acquisitions, competitive pressure intensifies. This often shifts the dynamic toward rivalry, reducing joint invention engagement.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on post-acquisition integration and extend niche theory by showing how niche crowding shapes the balance between cooperation and competition among merged workforces.
파트너 감사시간과 파트너 수준의 핵심감사사항 유사도 | 2025.07.09
| 경영학연구 (한국경영학회)
본 연구는 파트너 수준의 핵심감사사항(KAM) 유사도가 선행연구에서 정의된 것처럼 파트너 스타일의 개념에 부합하는지를 검증한다. 이를 위해 파트너 KAM 유사도와 파트너 감사시간 비중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전체 상장기업에 KAM이 적용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914기업-연도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파트너 감사시간 비중이 높을수록 KAM유사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반면, 등록회계사, 스태프 및 품질관리 감사시간 비중과는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KAM 유사도가 파트너의 실제 감사 참여도를 반영하는 유효한 파트너 스타일 변수임을 시사한다. 추가적으로, 파트너 및 회계법인 특성변수 통제 또는 피감사기업 고정효과 반영 후에도 본 연구결과는 일관되게 유지되었다. 본 연구는 새로운 파트너 변수인 KAM 유사도의 타당성을 입증함으로써 파트너 고정효과 연구를 확장하고, 파트너가 KAM 유사도를 높여 감사보고서의 비교가능성을 제고함으로써 정보비대칭을 질적 측면에서 완화하려는 노력이 존재함을 실증적으로 제시한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갖는다.
라이브 스트리밍 커머스에서 가상 스트리머의 특성과 플랫폼 실재감이 호텔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리학습이론 관점 | 2025.07.09
| 경영학연구 (한국경영학회)
현재 인공지능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마케팅 분야에서는 라이브 스트리밍 커머스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관심이 향상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상 스트리머의 특성인 진정성, 호감도, 생생함, 실재감인 사회적 실재감과 원격실재감이 호텔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대리학습이론의 관점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여 총 302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수집하였고, 통계적 분석으로는 SPSS 24와 AMOS 24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가상 스트리머의 특성인 진정성, 호감도, 실재감인 사회적 실재감과 원격실재감은 대리학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리학습은 지식수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지식수용은 결국에는 호텔방문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가상 스트리머 특성인 생생함은 대리학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라이브 스트리밍에서 지식수용의 과정을 대리학습이론 관점으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고 이를 실증분석함으로써 라이브 스트리밍을 이용하는 호텔기업들이 사용자의 방문의도를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인간 vs. 가상 인플루언서의 CSR 활동 효과 비교: 메시지 유형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2025.07.09
| 경영학연구 (한국경영학회)
본 연구는 해석수준이론을 기반으로 소비자들의 CSR 활동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플루언서 유형(인간 인플루언서 vs. 인간형 가상 인플루언서 vs. 비인간 캐릭터형 가상 인플루언서)과 메시지 유형(바람직성 vs. 실행가능성)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설명하는 처리 유창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실행가능성을 강조한 메시지 조건에서는 인간 인플루언서와 인간형 가상 인플루언서가 비인간 캐릭터형 가상 인플루언서보다 더 높은 참여의도를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간 인플루언서는 인간형 가상 인플루언서보다 소비자에게 더 호의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 반면, 바람직성을 강조한 메시지 조건에서는 비인간 캐릭터형 가상 인플루언서가 인간형 가상 인플루언서보다 상대적으로 더 긍정적인 참여의도를 유도하였다. 그러나 인간 인플루언서와 비인간 캐릭터형 가상 인플루언서 간에는 참여의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인플루언서 유형과 메시지 유형의 상호작용이 소비자의 CSR 활동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처리 유창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비인간 캐릭터형 가상 인플루언서 조건에서만 메시지 유형이 처리 유창성에 유의미한 조절 효과를 보이며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리나라 에너지효율등급은 효율적인가? 에너지 효율 숫자 제시방법이 소비자의 에너지 효율 지각에 미치는 영향 | 2025.07.09
| 경영학연구 (한국경영학회)
본 논문은 에너지 효율 등급 라벨(EEGL) 제시 방법이 소비자의 에너지 효율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1) 숫자 표기 방식(‘작은 수 우위’ vs. ‘큰 수 우위’)과 (2) 제시 순서(‘상승 순서’ vs. ‘하락 순서’)의 두 핵심 변수에 초점을 두어, 에너지 효율 등급 제시 방법이 소비자에게 에너지 효율에 대한 정보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제시하는 지를 검증했다. 두 실증 연구는 에너지 효율 정보를 제시하는 방식에 따라 소비자가 고효율 제품과 저효율 제품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구분하는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에너지 효율 등급이 작은 숫자가 더 높은 효율을 나타내는 “작은 수 우위” 방식과 낮은 등급에서 높은 등급 순서로 제시되는 “상승 순서”가 결합된 형태로 정보가 제시될 때 커뮤니케이션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에너지 효율성에 대한 관여도가 이러한 효과를 조절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에너지 효율 등급 표시 시스템의 개선을 통해 소비자의 환경친화적 의사결정을 촉진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에너지소비 효율등급표시 제도의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도 제공한다.
유상증자의 규모, 방식, 목적이 복합적으로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 2025.07.09
| 경영학연구 (한국경영학회)
본 연구는 유상증자의 규모, 방식, 목적이 복합적으로 주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유상증자의 방식 중 제3자배정은 사모펀드나 투자은행과 같은 전문투자자의 참여를 의미하므로 긍정적인 시장 신호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운영자금 조달이나 채무상환 목적의 유상증자는 기업의 재무적 어려움을 시사하는 부정적인 신호로 작용할 수 있지만, 타기업 인수나 투자 목적의 유상증자는 기업 성장에 대한 기대를 높여 긍정적인 주가 반응을 유도할 가능성이 크다. 2011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 유상증자 사례를 분석한 결과, 유상증자의 규모가 클수록 주가는 하락하였다. 또한 주주배정보다는 제3자배정이, 운영자금 조달이나 채무상환보다는 투자 및 인수 목적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유상증자의 규모, 제3자배정 방식, 투자 목적의 결합을 나타내는 변수는 주식수익률과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였다. 이는 일정 규모 이상의 유상증자가 투자 목적으로 제3자배정 방식으로 실시될 경우 시장이 긍정적으로 반응함을 의미한다.
동적역량과 공급사슬관리에 대한 실증연구 | 2025.07.09
| 경영학연구 (한국경영학회)
본 연구는 동적역량, 신뢰, 정보공유가 물류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공급사슬 내 협력적 파트너십 증대를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공급사슬 내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통해 수집된 설문 데이터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동적 역량은 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정보공유를 통해 물류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공유 역시 효율성, 리드타임 단축, 고객 서비스 품질 향상 등 물류성과의 다양한 측면에 유의미한 기여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공급사슬 내 협력적 관계 구축을 위해 정보 교환의 투명성과 신뢰성 확보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나아가 리스크 대응 전략을 고도화함으로써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조직적 유연성을 확보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기존 연구들이 동적 역량의 개별 요소에만 초점을 맞췄던 것과 달리, 본 연구는 동적 역량, 신뢰, 정보공유, 물류성과 간의 상호작용 관계를 단계적 메커니즘으로 통합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차별성을 갖는다.
출세주의자들의 프리젠티즘 현상: 그 부작용과 처방책 | 2025.07.09
| 경영학연구 (한국경영학회)
과도한 직장내 커리어리즘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는 가운데 이것은 사실상 조직의 지속 가능한 발전이나 생존과도 직결된다. 본 연구는 자원보존이론의 관점에서 출세주의자들의 이러한 이기심은 업무소외와 프리젠티즘을 자초한다고 가정한다. 우리의 조절된 매개 모형은 업무소외의 매개를 통해 커리어리즘이 프리젠티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아울러 지각된 모티베이션 분위기(숙련지향 및 성과지향)는 프리젠티즘에 대한 업무소외의 효과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보여준다. 연구 결과들은 민간 및 공공 분야의 다양한 직업군에서 330명의 응답자가 작성한 설문지로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다. 서울수도권에서 편의 샘플링을 통해 데이터를 획득했다. 연구모형은 Hayes의 프로세스(process) 절차를 따라 분석되었다. 업무소외는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두 모티베이션 분위기 중 숙련지향 분위기에서 업무소외를 통한 간접효과가 기대와 달리 반대 방향으로 조절되었는데, 숙련지향이 높게 지각될 때 그 효과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종업원 프리젠티즘을 유발하는 변인의 규명을 통해 이러한 생산성 손실을 줄이기 위한 제언과 더불어 파괴 행동에 관한 연구 범위를 확대하여 관련 연구의 이론적 근거도 제공하고자 했다.
대중음악 페스티벌 서비스품질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Kano 모델과 Timko의 고객만족계수를 중심으로 | 2025.07.09
| 경영학연구 (한국경영학회)
대중음악 페스티벌은 관객들에게 단순한 음악 감상을 넘어선 경험적 가치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음악공연이라는 본질적 요소는 물론 장소, 프로그램 구성, 부가 서비스 등 다양한 요소들이 결합하여 관객들의 만족도를 결정짓는 복합적인 이벤트 서비스의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이다. 관객들에게 향상된 서비스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공연서비스 품질의 구성요소들을 규명하고, 이의 개선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ano 모델과 Timko의 고객만족계수를 이용하여 대중음악 페스티벌 서비스를 구성하는 주요 품질요인을 규명하고, PCSI 지수(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Index)를 적용하여 관객들의 만족수준을 확인한 후 품질 개선을 위한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티켓 가격, 부대시설(화장실, 휴게시설, 주차장), 직원의 전문성, 충분한 인력 배치, 티켓 예매 시스템이 가장 개선이 시급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대중음악 페스티벌 서비스품질 구성요소를 확인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지속 인 발전을 위한 학문적 및 실무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기후정책 불확실성이 기업투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연구: 한국 상장기업을 중심으로 | 2025.07.09
| 경영학연구 (한국경영학회)
본 연구에서는 국내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기후정책의 불확실성이 기업 투자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3년부터 2022년까지 우리나라의 기후정책 불확실성 지수를 산출하고 기업 재무제표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제정책의 불확실성과는 상반되게 기후정책의 불확실성이 높아질수록 기업투자와 R&D지출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감소는 고탄소기업들인 온실가스 고배출 기업과 기후 비친화적 사업 영위 기업에서 더욱 크게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의 투자 증대를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기후정책 불확실성이 축소되어야함을 시사한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