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 미디어&마켓 리포트_25년 8월
- 2022 주류 소비 트렌드 리포트
-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2025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Case Study] Internet_쌤소나이트_하이시에라 런칭 캠페인/일동제약_비오비타 아기모델 선발 캠페인
- [CJ?메조미디어] OTT 광고 소비자 인식 조사
- [2025년 5월] MEDIA & MARKET ISSUE
자료요약
조직의 효과성을 향상시키는 긍정적인 리더 행동의 연구 흐름 속에서 부정적 리더 행동인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은 꾸준한 관심을 받으며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더욱이 성과를 강조하는 경쟁적인 조직 환경의 변화로 상사의 파괴적 행동의 빈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이것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학계와 실무 모두에서 점차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구성원의 직무 관련한 태도나 개인의 심리적 반응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실제적으로 조직의 성과로 직결되는 구성원의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는 제한적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구성원의 직무수행, 구체적으로 개인의 과업성과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둘 사이의 관계를 보다 명확히 규명하기 위하여 사회교환이론의 관점에서 구성원이 인지하는 상사에 대한 신뢰와 심리적 계약 위반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은 구성원의 직무수행, 즉 과업성과와 개인과 조직 관련한 조직시민행동 모두에서 유의한 부적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관계는 구성원이 인지하는 상사에 대한 신뢰의 감소를 통해 완전 매개되고 심리적 계약 위반의 증가를 통해 부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크게 2가지 관점에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지닌다. 첫째, 조직 운영에 핵심적인 성과변수인 개인의 과업성과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의 부정적인 영향을 실증하였다. 이로써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으로 인한 개인의 심리적인 반응뿐만 아니라 행동적 결과변수인 직무수행에의 영향을 검토함으로써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실무적으로 그것이 미치는 파괴적인 영향을 고려하여 조직에서는 보다 적극적으로 관리자에 대한 규제와 훈련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구성원의 상사에 대한 신뢰와 심리적 계약 위반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체적인 메커니즘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체계적으로 둘 사이의 과정적 요인에 대한 규명이 이루어지는 한편,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의 부정적인 파급 효과, 즉 상사에 대한 신뢰 구축 저해 및 조직에 대한 부정적 인지 형성을 확인함으로써 조직 관리 및 관리자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Abusive Supervision#OCB#Psychological Contract Breach#Task Performance#Trust in Leader#과업성과#상사에 대한 신뢰#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심리적 계약 위반#조직시민행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