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2023년 11월] 2024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Market Trend] 타깃 보고서_30-40대 직장인 남성
- [2024년 12월] 한 장이면 고민 끝! 2025 마케팅 이슈 캘린더
- [2021년 9월] 명품 브랜드 캠페인 성공 사례
- [인크로스]2025년 1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2023년 11월] 금융 업종 캠페인 성공 사례
- [2023년 6월] 2023 상반기 Media Trend Report
- [리서치애드]2024년 11월 인터넷 노출형 광고 결산 보고
자료요약
이 시대를 관통하는 〈킹덤〉(2019), 〈오징어게임〉(2021), 〈지옥〉(2021), 〈파친코〉(2022) 등은 어떤 종류의 서사 형식이고, 대한민국은 물론 전 세계는 왜 이들 서사물에 열광하는가? 이 연구는 넷플릭스와 애플TV플러스의 오리지널 서사극을 관통하는 플랫폼 리얼리즘의 세계에 대해 고찰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성으로서 텔레비전과 동일시나 감정적 리얼리즘 같은 기존의 TV 드라마의 문제틀과 다른 시각이 필요하다. OTT라는 새로운 플랫폼-미디어의 위치, 드라마보다 서사극이라는 용어에서 풍기는 문화적 차이는 텔레비전이 이른바 ‘양질의 TV’(quality TV)로 그 문화적 위치를 제고해 온 여정 위에서 고찰될 때 제대로 이해될 수 있다. 1990년대 이래 강조되어 온 양질의 TV는 채널에서 OTT 플랫폼으로 미디어 전환하는 과정에서 드라마를 포함한 콘텐츠의 질적 전환을 의미한다. 플랫폼 리얼리즘은 리얼리티에 대한 지배적 감각이라는 전통적인 텔레비전 리얼리즘과 달리, 리얼리티에 대한 지배적인 미학을 제공하는 OTT 플랫폼-미디어의 문화적 성격을 지칭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서사극과 자기반영의 예술의 영역, 영화 이후와 TV 이후의 서사극 재료로서 예외상태와 푼크툼의 등장에 대해 두텁게 설명한다. 그런 인식의 지평 위에서 네 가지 OTT 오리지널의 로컬/글로벌 코드, 알레고리, 생소화, 수사법, 자기반영성, 푼크툼, 장르 등을 분석하여 호모 사케르의 분투라는 플랫폼 리얼리즘의 전형성이 어떻게 탄생하고 있는지 고찰한다.
목차
1. 서론: 서사극의 영토화와 플랫폼 리얼리즘
2. OTT 서사극과 양질의 TV
3. TV 이후 OTT 서사극의 재료와 문화원형
4. OTT 서사극, 호모 사케르의 분투: 〈킹덤〉, 〈오징어게임〉, 〈지옥〉,〈파친코〉
5. 결론: 플랫폼 리얼리즘 태동의 조건과 주요 쟁점들
참고문헌
Abstract
2. OTT 서사극과 양질의 TV
3. TV 이후 OTT 서사극의 재료와 문화원형
4. OTT 서사극, 호모 사케르의 분투: 〈킹덤〉, 〈오징어게임〉, 〈지옥〉,〈파친코〉
5. 결론: 플랫폼 리얼리즘 태동의 조건과 주요 쟁점들
참고문헌
Abstract
#플랫폼 리얼리즘#양질의 TV#넷플릭스#서사극#자기반 영성#호모 사케르#오징어게임#OTT#platform realism#quality TV#Netflix#epic#self-reflexivity#homo sacer#Squid G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