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_24년 6월
- [메조미디어] 2025 디지털 미디어 마일스톤
- [나스미디어] 2024년 11월 Meta 협력광고, 이커머스 시장의 게임 체인저
- [메조미디어]?미디어&마켓 이슈?2025년 1월 호
- 기아차 SOUL의 혁신적인 제품전략 -소비자의 soul을 움직이다-
- 2023년 3월 매체력 평가 리포트
- [플레이디] [손해보험] 시장 변화에 기회 삼아 미래를 준비하는 손해보험사들의 생존 경쟁 시작
- 조선-중앙-동아일보의 유사성과 차별성:1면 구성과 사설의 이념성을 중심으로
-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자료요약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위험정보 탐색처리 모형과 해석수준 이론을 적용하여 정보 불충분성, 정보 수집 능력 및 시간적거리가 지진에 관한 정보 추구 및 정보 회피에 미치는 주효과 및 상호작용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이 효과가 지진 경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검토하였다. <방법> 전국에 거주하는 17세 이상의 성인 538명(개인 혹은 가족의 지진 경험자 309명 포함)을 대상으로 얻어진 온라인 설문 자료를 바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결과> 첫째, 정보 불충분성과 정보 수집 능력은 정보 추구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정보 회피에는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다. 둘째, 정보 불충분성은 지진 비경험 집단에서는 정보 추구에 긍정적 영향을, 정보 회피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지진 경험 집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다. 셋째, 시간적 거리는 정보 추구에 부정적인 영향을, 정보 회피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시간적 거리가 가까울수록 정보수집 능력이 정보 추구 및 정보 회피에 미치는 영향이 컸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지진 위험의 맥락에 위험정보 탐색처리 모형을 적용하고 해석수준 이론의 시간적 거리 개념을 이론적으로 통합했다는 이론적 함의와 지진 경험 여부 등 타겟에 따른 지진 위험의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전략에 대한 실무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Based on the 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model (RISP) and the construal level theory (CL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main and interaction effects of information insufficiency, perceived information gathering capacity, and temporal distance on people’s information seeking and avoidance about an earthquake. It also examined differences of main and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ose who did, and did not experience an earthquake. Online survey data were collected among 538 adults (including 309 people who or whose family members experienced an earthquake) nationwide. A series of moderat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as performed to test main and interaction effects. First, information insufficiency and perceived information gathering capacity were positively related to information seeking, but not related to information avoidance. Second, information insufficiency wa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information seeking and avoidance, among those who did not experience an earthquake, but not among those who experienced an earthquake. Third, as temporal distance increased, people engaged in less information seeking and more information avoidance. Last, the effects of perceived information gathering capacity on information seeking and avoidance were stronger when temporal distance was close, compared to when it was distant. These findings provide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integrating and applying RISP and CLT to earthquake context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arget-specific message strategy for earthquake preparedness.
Based on the 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model (RISP) and the construal level theory (CL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main and interaction effects of information insufficiency, perceived information gathering capacity, and temporal distance on people’s information seeking and avoidance about an earthquake. It also examined differences of main and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ose who did, and did not experience an earthquake. Online survey data were collected among 538 adults (including 309 people who or whose family members experienced an earthquake) nationwide. A series of moderat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as performed to test main and interaction effects. First, information insufficiency and perceived information gathering capacity were positively related to information seeking, but not related to information avoidance. Second, information insufficiency wa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information seeking and avoidance, among those who did not experience an earthquake, but not among those who experienced an earthquake. Third, as temporal distance increased, people engaged in less information seeking and more information avoidance. Last, the effects of perceived information gathering capacity on information seeking and avoidance were stronger when temporal distance was close, compared to when it was distant. These findings provide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integrating and applying RISP and CLT to earthquake context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arget-specific message strategy for earthquake preparedness.
목차
국문요약
서론
이론적 배경 및 연구 가설
위험정보 탐색처리 모형
시간적 거리
연구가설
연구 방법
연구 대상과 자료 수집
변수 측정
연구 결과
결론
서론
이론적 배경 및 연구 가설
위험정보 탐색처리 모형
시간적 거리
연구가설
연구 방법
연구 대상과 자료 수집
변수 측정
연구 결과
결론
한국PR학회
정보
지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