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_24년 6월
- [메조미디어] 2025 디지털 미디어 마일스톤
- [나스미디어] 2024년 11월 Meta 협력광고, 이커머스 시장의 게임 체인저
- [메조미디어]?미디어&마켓 이슈?2025년 1월 호
- 기아차 SOUL의 혁신적인 제품전략 -소비자의 soul을 움직이다-
- 2023년 3월 매체력 평가 리포트
- [플레이디] [손해보험] 시장 변화에 기회 삼아 미래를 준비하는 손해보험사들의 생존 경쟁 시작
- 조선-중앙-동아일보의 유사성과 차별성:1면 구성과 사설의 이념성을 중심으로
-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자료요약
이 연구는 최근 10년간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적용한 46편의 연구 결과들을 전체적으로 함께 조망해 보는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존의 메타 연구들은 종합적 혹은 분석적 방법 중 한 가지만을 선택하여 분석하였으나, 이 연구는 두 방법을 모두 사용하여 관련 연구 결과를 분류하고 재분석하였다. 연구 목적 분석 결과, 가설을 활용한 설명적 연구가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조사 대상으로는 학생을 대상으로 한 편의적 표본보다는 일반인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약 36가지의 기술 분야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기술수용모델 확장을 위해 약 110개 정도의 변인들이 연구되어졌다. 기술수용모델의 구성 요인에 대한 효과 크기를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효과 크기 또한 대부분 큰 수준이었다. 유용성이 사용용이성보다 태도 및 의도와의 관계에 있어 모두 높은 효과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효과 크기를 보인 것은 태도와 의도와의 관계였으며, 다음으로는 유용성-태도, 유용성-의도, 유용성-사용용이성, 사용용이성-의도, 사용용이성-태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함의가 논의 되었다.
목차
1. 서론
2. 문헌 연구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 결과
5.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2. 문헌 연구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 결과
5.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기술수용모델#유용성#사용용이성#확장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Usefulness#Ease of use#Expa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