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 미디어&마켓 리포트_25년 8월
- 2022 주류 소비 트렌드 리포트
-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2025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Case Study] Internet_쌤소나이트_하이시에라 런칭 캠페인/일동제약_비오비타 아기모델 선발 캠페인
- [CJ?메조미디어] OTT 광고 소비자 인식 조사
- [2025년 5월] MEDIA & MARKET ISSUE
자료요약
                    
                    
                    사회 전반에 거쳐 창의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지만 소비와 관련된 창의성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기존 연구도 제약이 있는 환경에서 상황적으로 유발된 일시적인 창의적 소비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창의적 소비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개인 창의성 모델의 주된 동기요인인 자기효능감에 대한 믿음에 주목하여 ‘창의적 소비효능감’ 개념을 제안하고 이 개념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 개발과 이에 대한 타당화 작업을 시도하였다. 기존 창의적 소비에 대한 이론적 개관 연구에 기초하여 창의적 산출물, 사고과정, 사람, 환경 측면에 자기효능감 개념을 접목하여 30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고, 20~50대 성인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19개 문항과 4개의 하위요인(독창적 사고 효능감, 용도확장 효능감, 문제해결 효능감, 방식다양화 효능감)으로 구성된 창의적 소비효능감 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척도의 타당화 작업을 위해 관련 척도(일반적 자기효능감, 창의적 자기효능감, 소비자혁신성향, 창의적 성격, 단어연상과제)와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그 결과 본 척도의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본 척도의 추가적인 타당도 확보를 위해 필요한 추후 연구와 본 연구가 기여하는 바에 대해 논의하였다.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와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와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창의성
                    
                        
                         창의적 소비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타당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