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공간 ‘내’ 미디어 인식과 경험 : 초등학교 교사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 한국언론학회 | 57 pages| 2020.09.21| 파일형태 :
조회 3047 다운로드 1
자료요약
이 연구는 일상의 커뮤니케이션 공간인 교실에서 디지털 미디어 기술이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경험되는지를 생태학적 시각에서 살펴보고자 했다. 특히 이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교육정책, 교실 및 일상의 미디어 조건, 학생과 교사들의 미디어 인식과 경험이 어떻게 서로 관계하는지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교실공간의 관리자이면서 동시에 실질적인 디지털 미디어의 매개자인 교사와의 심층인터뷰를 수행했다. 디지털화가 진행되고 있는 교실공간에서는 인쇄문화에 기반한 교과서 중심으로 수업이 진행되고 있었지만, 디지털 네트워크를 이용한 TV 스크린, 컴퓨터, 스마트 미디어 기술들이 선택적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교사들은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현시대 아이들의 교육 문제를 ‘디지털 기술’로 환원시키며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실제 교실공간에서는 디지털화한 환경에서의 아이들의 복합적인 경험이 드러나고 있었다. 교사들은 디지털 교육정책을 파편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는 디지털 ‘공포 담론’과 충분한 논의와 공감의 시간이 배제된 디지털 교실정책의 방향성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교사들은 자신들의 디지털 미디어 경험과 교육 신념에 의지하면서 디지털 네트워크 시대의 여러 변화에 개별적으로 대응하고 있었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how digital media technologies are received and experienced in classrooms as everyday communication spaces. In particula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education policies, digital media conditions in classrooms, and students and teachers’ digital media perceptions and experiences. This study i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elementary schoolteachers, who serve as the managers and mediators of the classrooms’ educational ecologies. In the classroom spaces where digitization was in progress, print-based texts were still used and yet TV screens, computers, the Internet, and smart media devices were utilized selectively. Teachers tended to concurrently recognize and reduce children’s well-known problems, such as digital addiction, distraction, and cyber-bulling, which were complexly entangled with various factors, to “digital technology.” However, the classrooms realities illustrated the children’s complex experiences intertwined with fast-changing digital environments. The teachers tended to perceive digital education policies in a fragmented way, which was related to society’s digital “panic discourse” and the lack of sufficient discussion of and empathy for their responsibilities. In this environment, teachers were responding individually to various changes, relying on their digital media experiences and educational belief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론
4. 교실공간의 미디어 조건
5. 초등학생들의 스마트폰 이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6. 학교 내 미디어 이용에서의 다양한 격차
7. 디지털 미디어 기술에 관한 교육 경험의 구성과 재구성
8.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디지털 미디어 #교실공간 #일상 문화 #생태학적 접근 #초등학교 #심층인터뷰 #Digital media #Classroom Space #Everyday Life #Ecological Approach #Elementary Schoolteachers #In-depth Interview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언론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