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 2025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플레이디] [손해보험] 시장 변화에 기회 삼아 미래를 준비하는 손해보험사들의 생존 경쟁 시작
- [2025년 5월] MEDIA & MARKET ISSUE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2025년 2분기 인터넷 노출형광고 결산보고
- [Case Study] Internet_쌤소나이트_하이시에라 런칭 캠페인/일동제약_비오비타 아기모델 선발 캠페인
- 2025년 8월 매체력 평가 리포트
개인정보 유출 위험에 대한 개인의 인지된 통제성이 위치 기반 서비스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위험 인식의 매개 효과 및 프라이버시 염려의 조절 효과 중심
자료요약
배경 및 목적 최근 위치 기반 서비스 분야 내 개인정보 유출 피해 사례가 속출하는 상황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이용자의 인지된 통제성과 위험 인식 및 프라이버시 염려 등의 요인이 위치 기반 서비스 이용 의도에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위치 기반 서비스를 알고 있으며 이용 경험이 있는 성인 남녀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리 서치 전문 기관인 엠브레인에 의뢰하여 진행하였으며, 남녀 비율 각각 50%, 연령 20∼50대 각각 25%씩 할당하여 표집하였다. 결과 먼저 개인정보 유출 위험에 대한 인지된 통제성이 위치 기반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위험 인식이 매 개적 역할을 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인지된 통제성이 낮을수록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위험 인식 수준 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 이용 의도가 낮아지는 매개 효과가 발생하였다. 또한 프라이버시 염려가 낮은 경우에는 이러한 위험 인식의 매개 효과가 발생하지 않고, 프라이버시 염려가 높은 상황에서만 매개 효과가 발생하는 조절된 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이용자의 인지된 통제성, 위험 인식, 개인의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 등이 개인정보 유출 위 험으로부터 스스로를 지키는 정보보호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것들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있어 주요한 변수임을 제시하였다.Objectives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has become a critical issue among Location-based Service (LBS) users. Apparent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perceived controllability, risk perception, and privacy concern with respect to intention to use location-based services. Methods A total of 200 men and women who have used location-based services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based on gender and age. Results The outcomes reveal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risk perception between perceived controllability towards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threat and the level of intention to use location-based services. Specifically, lower perceived controllability was observed to lead to higher levels of risk perception, which directed to lower levels of intention to use location-based services. In addition, moderate mediation effect concerning privacy concern was found. The effect of risk perception held significant for those with higher privacy concern and not for those with lower privacy concern.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s LBS users’ perceived controllability, risk perception, and privacy concern as the critical factors for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protecting themselves from threat to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목차
요약
서론
문헌 연구
위치 기반 서비스와 개인정보 유출 위험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통제성 인식
위험 인식의 매개 효과
프라이버시 염려의 조절 효과
연구가설
연구 방법
연구 대상
주요 변수 측정
인지된 통제성
위험 인식
프라이버시 염려
위치 기반 서비스 이용 의도
통제 변인
분석 방법
연구 결과
응답자 특성
인지된 통제성이 위치 기반 서비스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위험 인식의 매개 효과
프라이버시 염려의 조절된 매개 효과
결론 및 논의
서론
문헌 연구
위치 기반 서비스와 개인정보 유출 위험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통제성 인식
위험 인식의 매개 효과
프라이버시 염려의 조절 효과
연구가설
연구 방법
연구 대상
주요 변수 측정
인지된 통제성
위험 인식
프라이버시 염려
위치 기반 서비스 이용 의도
통제 변인
분석 방법
연구 결과
응답자 특성
인지된 통제성이 위치 기반 서비스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위험 인식의 매개 효과
프라이버시 염려의 조절된 매개 효과
결론 및 논의
한국PR학회
개인정보
위치기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