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아차 SOUL의 혁신적인 제품전략 -소비자의 soul을 움직이다-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_24년 6월
-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 [나스미디어] 2024년 11월 Meta 협력광고, 이커머스 시장의 게임 체인저
- [메조미디어] 2025 디지털 미디어 마일스톤
- 미디어&마켓 리포트_25년 8월
- 2024년 6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인크로스]2025년 1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자료요약
커뮤니케이션과 유통채널로서 마케팅 담당자와 소비자를 연결시키는 인터넷의 경우 대기시간(waiting time)은 소비자의 탐색활동 제약을 통하여 기업의 목적달성에 많은 문제를 발생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사이트의 입구로서 홈페이지의 높은 대기시간은 홈페이지 열람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추가적인(additional) 탐색활동을 제한하는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추가적인 탐색활동 제한이 주로 웹사이트 관여도가 높은 고객에게 더 많이 나타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 탐색수준의 관점에서 홈페이지 대기시간의 추가적인 탐색활동에의 영향 및 상호작용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국내 특정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고객관점에서 실제적인 홈페이지 대기시간을 측정하였을 뿐 아니라 이렇게 측정된 대기시간과 객관적인 고객방문행동 기록인 로그파일을 연결하여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결과 홈페이지 대기시간이 1초 증가하는 경우에 추가적인 페이지뷰와 체류시간을 각각 약 4%와 약3%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효과는 웹사이트 관여도가 높은 고객의 경우 더 크게 나타나고 있다. 기업의 목적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기시간 관리에는 일반적인 방법으로서 회원 또는 방문자수에 따른 서버용량 증대와 같은 운영적(operational) 관리 뿐 아니라 방문고객의 대기시간에 대한 지각적(perceptual)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마케팅관점에서 대기시간 관리방안으로서 대기정보제시, 소비자 귀인(attribution) 관리 및 차별화된 대기시간 관리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