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아차 SOUL의 혁신적인 제품전략 -소비자의 soul을 움직이다-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_24년 6월
-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 [나스미디어] 2024년 11월 Meta 협력광고, 이커머스 시장의 게임 체인저
- [메조미디어] 2025 디지털 미디어 마일스톤
- 미디어&마켓 리포트_25년 8월
- 2024년 6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인크로스]2025년 1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자료요약
최근 ERP의 급격한 성장이 조직의 업무수행 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ERP를 통해 조직은 상당한 유, 무형의 이익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변화에 대한 저항과 같은 이유로 인해, ERP를 구현하고 확산하는데는 아직 많은 문제들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어떤 요인들이 ERP 시스템의 확산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렇게 파악된 요인들이 어떻게 효과적으로 관리되어질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혁신 확산, 정보시스템 구현, ERP 구현 등에 대한 기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모형이 구성되었으며, 이 모형으로 선택된 결정요인들(조직적 호환성 복잡성, 비용, 정보시스템 성숙도, 최고경영진 지원, 혁신선도자, 최초 도입 후 경과시간, 프로젝트 계획 및 관리, 추가개발)이 ERP 시스템의 조직 내 확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모형의 종속변수인 확산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수직적 및 수평적 확산 개념이 사용되었다. `수직적` 확산은 조직의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ERP 시스템이 제공하는 기능 범위를 나타내며, `수평적` 확산은 ERP 시스템이 조직 내에서 사용되는 정도를 나타낸다. 조사대상 128개 기업 중에서 44개 기업이 설문에 응답해 주었으며, 실증연구 결과에 대한 분석을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혁신선도자의 지원과 프로젝트 계획 및 관리는 수직적, 수평적 확산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초 도입 후 경과시간은 수직적 확산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반면에 ERP 확산에 대한 혁신요인과 정보시스템 관련요인이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다고 할 수 없었는데, 이러한 분석결과는 ERP 시스템이 다른 정보기술/정보시스템 혁신들과는 달리 정보기술 자체보다는 오히려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를 더욱 강조하는 특성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현재 국내기업의 전반적인 ERP확산정도는 낮은 수준으로 파악되었으며, 이는 아직도 국내의 ERP상황이 도입수준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상황적인 제약으로 인해 적은 수의 표본을 통한 연구를 수행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는 본 연구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