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 2025년 8월 매체력 평가 리포트
- 2025년 2분기 인터넷 노출형광고 결산보고
- 2025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미디어&마켓 리포트_25년 8월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Case Study] Internet_쌤소나이트_하이시에라 런칭 캠페인/일동제약_비오비타 아기모델 선발 캠페인
- [2025년 5월] MEDIA & MARKET ISSUE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자료요약
가결산공시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시장메커니즘에 의해 가결산이익의 과대공시가 제재를 받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가결산공시 및 정정이 보고이익의 질에 대한 투자자 신뢰에 영향을 미쳐 이익과 주가간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가결산공시 및 정정기업 경영자의 재량적 선택행위를 투자자들이 부정적으로 평가하는지 여부를 재량적 발생액과 주가수익률의 상관관계를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량적 발생액과 주가수익률의 상관관계는 가결산공시기업이 가결산미공시기업에 비해 보다 낮았다. 둘째, 재량적 발생액과 주가수익률간 상관관계는 가결산정정기업(또는 큰 폭의 가결산정정기업)이 미정정기업(또는 작은 폭의 가결산정정기업)에 비해 보다 낮았다. 셋째, 가결산정정에 대한 투자자반응의 방향성은 분명하지 않으나 가결산정정의 크기가 클 경우, 투자자들은 이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주가에 반영하였다. 마지막으로 가결산정정기업의 재량적 발생액과 주가수익률간 상관관계는 높은 감사품질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가결산 이익의 과대공시에 대한 규제당국의 명시적인 제재장치가 없는 현 상황에서, 시장메커니즘에 의해 가결산과대공시에 대해 불이익이 주어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가결산 과대공시가 정정되어도 투자자들은 가결산정정기업의 보고이익에 대해 여전히 낮은 신뢰성을 부여하고 있음은 경영자에게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다. 궁극적으로 가결산 공시가 보다 유용한 정보가 되기 위해서는 가결산 과대 공시에 대한 감독당국의 제도적 장치의 보완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목차
#Discretionary accruals#Modification of preliminary earnings#Preliminary earnings announcement#가결산공시#가결산정정#재량적 발생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