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요약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고객 요구가 다양해지는 불확실한 경영환경 하에서는 기업이 경쟁력 있는 신상품을 적시에 시장에 출시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한 경쟁요인이 될 수 있다. 지금까지 신상품개발프로세스에서 서로 다른 기능부서들 간의 내부통합이나 다기능팀 구성이 신상품개발 성과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기능부서간 통합과 관련해서 대다수 연구들이 연구개발부서와 마케팅부서 간의 통합만을 고려하거나, 기능부서간 통합과 신상품개발성과 간의 직접적인 인과관계만을 반복적으로 규명하거나, 서로 구별될 수 있는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다기능팀과 기능부서간 통합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못하기도 하였다. 그러다보니 기능부서간 통합이 신상품개발 성과 개선에 도움이 되지 않거나, 다기능팀 구성이 신상품개발 성과를 오히려 저해한다는 예상과 다른 연구결과도 적지 않게 발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상품개발프로세스에서 기능부서간 통합과 다기능팀 구성 그리고 신상품개발프로세스관리 상호간에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그리고 이들이 신상품개발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기능부서간 통합과 다기능팀이 신상품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신상품개발프로세스관리가 어떻게 매개할 수 있는지 새롭게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 소재 자동차.일반기계.조선.통신기기 산업에 속한 제조업체 중에서 R&D 연구소를 보유하고 다기능팀을 일상적으로 구성하여 운영하는 업체들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277개 표본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추정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두 가지 유형의 내부통합, 즉 연구개발부서와 생산부서 간의 통합과 연구개발부서와 마케팅부서 간의 통합 및 다기능팀은 모두 신상품개발프로세스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기능부서간 통합은 모두 다기능팀 구성을 위한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셋째, 연구개발부서와 생산부서 간의 내부통합과 신상품개발프로세스관리는 신상품개발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연구개발부서와 마케팅부서 간의 내부통합과 다기능팀 구성은 신상품개발 성과 개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 새롭게 고려한 신상품개발프로세스관리는 매개변수로서 두 가지 기능부서간 통합뿐만 아니라, 다기능팀이 신상품개발 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모두 매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달리 다기능팀과 기능부서간 통합을 구별하였고, 기능부서간 통합도 연구개발부서와 마케팅부서 간의 통합과 연구개발부서와 생산부서 간의 통합으로 세분화하였다. 또한 매개변수를 고려하지 않았던 선행연구와 달리 신상품개발프로세스관리라는 매개변수를 고려함으로써 기능부서간 통합과 다기능팀이 신상품개발 성과에 미치는 또 다른 경로와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실무적 측면에서 볼 때 본 연구를 통해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신상품개발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기능부서간 통합과 다기능팀 구성 및 신상품개발프로세스관리가 모두 활성화될 필요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목차
Ⅰ. 도입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과 연구가설
Ⅳ. 연구방법
Ⅴ. 분석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과 연구가설
Ⅳ. 연구방법
Ⅴ. 분석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기능부서간 통합#신상품개발프로세스관리#다기능팀#신상품개발 성과#Cross-functional integration#Cross-functional team#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management#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