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 2025년 8월 매체력 평가 리포트
- 2025년 2분기 인터넷 노출형광고 결산보고
- 2025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미디어&마켓 리포트_25년 8월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Case Study] Internet_쌤소나이트_하이시에라 런칭 캠페인/일동제약_비오비타 아기모델 선발 캠페인
- [2025년 5월] MEDIA & MARKET ISSUE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디지털 옥외광고(DOOH) 지역별 노출 특성 비교 분석 : 직장가와 대학가, 스키장을 중심으로
자료요약
본 연구는 디지털 옥외광고(DOOH)의 광고 노출 상황이 지역적 특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를 실증적인 자료를 통하여 비교 분석하고 있다. SKT 기지국 및 연동된 디지털 APP 데이터를 기반으로 2021년 1-4월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학가와 직장가로 대표되는 ‘열린 공간’에 설치된 DOOH 광고 노출 가능성은 이동인구의 특성을 반영해 성별, 연령별, 시간대별로 통계적인 차별성을 보이고 있었다. 10대, 20대는 상대적으로 대학가 주변에서, 30대 이상의 연령층은 직장가 주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DOOH 광고 노출 가능성을 볼 수 있었으며, 출퇴근 시간대에 많은 이동량이 있음을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스키장과 같이 오랜 시간 머무를 가능성이 있는 ‘닫힌 공간’에 위치한 옥외광고의 반복 노출 가능성은 매우 높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의 다소 모호했던 옥외 광고 매체 기획 전략 수립과정에 실증적인 자료를 더함으로써 디지털 옥외광고의 매체 기획에 보다 정교한 타깃팅의 가능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향후 광고비 자료 등과 연계하여 기존 타매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광고 노출의 효과 및 효율성 지표와 상대 비교할 수 있는 가능성까지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옥외 광고 매체 기획은 더 이상 미지의 세계가 아닌 구체적인 자료에 의한 과학적인 영역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목차
Ⅰ.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Ⅱ. 이론적 배경 및 문헌 연구
Ⅲ.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s
Ⅱ. 이론적 배경 및 문헌 연구
Ⅲ.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s
OOH광고
디지털 옥외광고 (DOOH)
광고 노출 효과
반복 노출
옥외 광고 매체 기획
OOH advertisement
Digital Outdoor Advertisement (DOOH)
Advertisement exposure effect
Repetitive Exposure
DOOH media plann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