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2023년 6월] 2023 상반기 Media Trend Report
- [플레이디]2024 반려동물 업종 트렌드 리포트
- [메조미디어]?미디어&마켓 이슈?2025년 3월 호
- 현대자동차 “기업PR영상홍보” 외 4개 캠페인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F1스포츠스폰서링과스포츠마케팅
- [나스미디어] 2025년 2월 MEDIA & MARKET ISSUE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MEDIA & MARKET ISSUE
사회서비스원 정책 보도의 프레임 분석 : 구조적 주제모형(Structural Topic Modeling)과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의 보완적 적용
자료요약
이 연구는 사회서비스원 정책 보도의 프레임 분석을 세 가지 흐름과 방식으로 시도했다. 우선정책 프레임에 대한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연역적 방식으로 ‘경제적 이득/손실’, ‘정책 추진/반대’, ‘갈등/책임’ 프레임을 도출한 후 2010년 9월 1일부터 2019년 12월 10일까지 보도된 사회서비스원 정책 관련 기사 1,354건에 대한 구조적 주제모형 분석 결과에 따른 28개의 토픽을 분류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의미연결망 분석을 수행하여 귀납적 방식으로 ‘정부의 고용확대 정책에 따른 일자리 창출’, ‘대통령 국정 공약 과제’ 등의 프레임 18개를 도출했다.최종적으로 이것을 내용분석의 분석틀로 활용하여 언론사에 따른 프레임 강조 양상을 분석했다. 시기별 프레임 비중과 논조 분석도 추가적으로 수행했다. 우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정책 이슈 관리 측면에서 해석하고 논의했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news frames in the coverage of Social Service Agency policy in three flows and methods. First of all, ‘Economic gain/loss’, ‘Policy promotion/opposition’, and ‘Conflict/responsibility’ frames were deductively drawn from previous studies on the policy frame. Given these frames, structural topic modeling was then used to derive 28 topics from 1,354 news articles reported from September 1, 2010 to December 10, 2019. Second, drawing on the topics,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to inductively derive 18 frames such as ‘job creation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employment expansion policy’ and ‘president’s state-led pledges’. These frames were then used as a manual coding scheme for content analysis. Drawing on this method, we analyze various frame modality in respect of news company’s political orientation, period by regime, and tone of news reporting. We interpreted and discussed the results in terms of policy issue management.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news frames in the coverage of Social Service Agency policy in three flows and methods. First of all, ‘Economic gain/loss’, ‘Policy promotion/opposition’, and ‘Conflict/responsibility’ frames were deductively drawn from previous studies on the policy frame. Given these frames, structural topic modeling was then used to derive 28 topics from 1,354 news articles reported from September 1, 2010 to December 10, 2019. Second, drawing on the topics,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to inductively derive 18 frames such as ‘job creation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employment expansion policy’ and ‘president’s state-led pledges’. These frames were then used as a manual coding scheme for content analysis. Drawing on this method, we analyze various frame modality in respect of news company’s political orientation, period by regime, and tone of news reporting. We interpreted and discussed the results in terms of policy issue management.
목차
1. 문제 제기
2. 문헌 연구
3. 연구문제
4. 연구방법
5. 연구결과
6.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2. 문헌 연구
3. 연구문제
4. 연구방법
5. 연구결과
6.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정책 이슈 관리
#프레임
#구조적 주제모형
#내용분석
#사회서비스원
#Policy issue management
#Frame
#Structural Topic Modeling
#Content analysis
#Social Service Ag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