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2023년 6월] 2023 상반기 Media Trend Report
- [플레이디]2024 반려동물 업종 트렌드 리포트
- [메조미디어]?미디어&마켓 이슈?2025년 3월 호
- 현대자동차 “기업PR영상홍보” 외 4개 캠페인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F1스포츠스폰서링과스포츠마케팅
- [나스미디어] 2025년 2월 MEDIA & MARKET ISSUE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MEDIA & MARKET ISSUE
자료요약
본 연구는 국내 광고 산업의 연구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2010년에서 2019년 상반기까지 10년간 〈광고연구〉, 〈광고학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광고PR실학연구〉 등 4개의 학술지에 게재된 191편의 논문을 내용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미디어와 광고주 등의 연구 분야에 관한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시기별로는 전반기(2010∼2014)에 좀 더 높은 빈도를 보였다. 둘째, 연구 방법에서는 서베이, 인터뷰, 실험 연구 등의 실증적 연구가 대다수를 차지했으며, 학술지별로 〈광고학연구〉와 〈광고연구〉에는 서베이와 인터뷰, 실험 연구 등의 연구 방법이 많이 사용된 반면 〈한국광고홍보학보〉와 〈광고PR실학연구〉에는 문헌 연구와 인터뷰 등의 비중이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분석 대상은 광고업계 실무자와 소비자의 비중이 높았으며, 시기나 학술지별로도 같은 양상을 보였다. 넷째, 단독 연구보다 두 명 이상의 공동 연구가 많았으며, 업계와 기관의 참여도 있었다.
This study conducted content analysis of 191 articles published in four advertising journals for ten serial years to figure out research trends of Korean advertising. To begin with, in terms of topic area or subject of research,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as about media or clients(corporation) and more actively conducted in the first five years. Second,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empirical methods(e.g. survey, detailed case discussions, lab experiments, etc.) held the large majority and showed clear distinction by journal. Especially, the ratio of non-empirical methods or qualitative research in ‘Journal of Practical Research in Advertising and PR’ was relatively high. Third, in the subject of analysis, the percentage of staff in advertising industry and consumer was high, which showed the same aspect by time and journal. Lastly, co-authored studies outnumbered single studies. Also, the participation of industry and institutes were considerably active.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미디어와 광고주 등의 연구 분야에 관한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시기별로는 전반기(2010∼2014)에 좀 더 높은 빈도를 보였다. 둘째, 연구 방법에서는 서베이, 인터뷰, 실험 연구 등의 실증적 연구가 대다수를 차지했으며, 학술지별로 〈광고학연구〉와 〈광고연구〉에는 서베이와 인터뷰, 실험 연구 등의 연구 방법이 많이 사용된 반면 〈한국광고홍보학보〉와 〈광고PR실학연구〉에는 문헌 연구와 인터뷰 등의 비중이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분석 대상은 광고업계 실무자와 소비자의 비중이 높았으며, 시기나 학술지별로도 같은 양상을 보였다. 넷째, 단독 연구보다 두 명 이상의 공동 연구가 많았으며, 업계와 기관의 참여도 있었다.
This study conducted content analysis of 191 articles published in four advertising journals for ten serial years to figure out research trends of Korean advertising. To begin with, in terms of topic area or subject of research,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as about media or clients(corporation) and more actively conducted in the first five years. Second,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empirical methods(e.g. survey, detailed case discussions, lab experiments, etc.) held the large majority and showed clear distinction by journal. Especially, the ratio of non-empirical methods or qualitative research in ‘Journal of Practical Research in Advertising and PR’ was relatively high. Third, in the subject of analysis, the percentage of staff in advertising industry and consumer was high, which showed the same aspect by time and journal. Lastly, co-authored studies outnumbered single studies. Also, the participation of industry and institutes were considerably active.
목차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문헌 연구
3. 연구문제
4. 연구 방법
5. 연구 결과
6. 결론 및 논의
2. 문헌 연구
3. 연구문제
4. 연구 방법
5. 연구 결과
6. 결론 및 논의
#광고 산업 #광고 연구 동향 #내용 분석 #advertising industry #trends in advertising research #content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