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 2025년 8월 매체력 평가 리포트
- 2025년 2분기 인터넷 노출형광고 결산보고
- 2025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미디어&마켓 리포트_25년 8월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Case Study] Internet_쌤소나이트_하이시에라 런칭 캠페인/일동제약_비오비타 아기모델 선발 캠페인
- [2025년 5월] MEDIA & MARKET ISSUE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자료요약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광고를 활용한 진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고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을 접하기 전후에 미래 지향적 목표, 자아 이해, 직업의식, 진로 탐색 및 준비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규명했다. 연구 결과, 광고를 활용한 진로 교육 프로그램은 미래 지향적 목표, 직업의식, 진로 탐색 및 준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자아 이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진로 탐색 및 준비, 직업의식, 미래 지향적 목표 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의의는 광고 활용 교육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했다는 데에 있다.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IE (Advertising In Education) in career education program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Attitudes toward future-oriented goals, self understanding, occupational consciousness, and career exploration and preparation were examined before and after the exposure of AI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AIE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future-oriented goals, occupational consciousness, and career exploration and preparation. It did not affect self understanding. Positive impacts were examined highest in career exploration and preparation, followed by occupational consciousness, and future-oriented goals. The valu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proven the effectiveness of advertising in education empirically.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IE (Advertising In Education) in career education program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Attitudes toward future-oriented goals, self understanding, occupational consciousness, and career exploration and preparation were examined before and after the exposure of AI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AIE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future-oriented goals, occupational consciousness, and career exploration and preparation. It did not affect self understanding. Positive impacts were examined highest in career exploration and preparation, followed by occupational consciousness, and future-oriented goals. The valu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proven the effectiveness of advertising in education empirically.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광고 활용 교육(AIE)
진로 교육 프로그램
미래 지향적 목표
자아 이해
직업의식
진로 탐색 및 준비
AIE (Advertising In Education)
Career education program
Future-oriented goals
Self understanding
Occupational consciousness
Career exploration and prepa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