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_24년 6월
- [메조미디어] 2025 디지털 미디어 마일스톤
- [나스미디어] 2024년 11월 Meta 협력광고, 이커머스 시장의 게임 체인저
- [메조미디어]?미디어&마켓 이슈?2025년 1월 호
- 기아차 SOUL의 혁신적인 제품전략 -소비자의 soul을 움직이다-
- 2023년 3월 매체력 평가 리포트
- [플레이디] [손해보험] 시장 변화에 기회 삼아 미래를 준비하는 손해보험사들의 생존 경쟁 시작
- 조선-중앙-동아일보의 유사성과 차별성:1면 구성과 사설의 이념성을 중심으로
-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한영 속담의 의인화 비유법
자료요약
본 논문은 한국어와 영어의 속담에서 사용되는 의인화구문을 문화적 차이와 문법적 차이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영어의 의인화구문은 추상적 개념이나 무생물을 주어로 하는 타동사구문, 친족어, 동식물의 의인화, 직업이나 습관을 지칭하는 어휘를 사용한 의인화, 인간의 신체부위 및 신체 기능을 지칭하는 어휘, 인간에게만 적용될 수 있는 지각(知覺)이나 언어행위를 지칭하는 어휘등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한국어 속담에서는 추상적인 개념이나 무생물이 타동사의 주어로 사용되는 경우가 거의 없었고, 다만 동식물의 의인화를 비롯하여 훨씬 적은 예의 의인화 구문이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문법적 특성뿐만 아니라 두 언어의 배경이 되는 문화의 차이를 반영하고 있다고 하겠다.
목차
1. 서 론
2. 비유의 근원영역과 목표영역
3. 시 각
4. 언어표현에 관한 언어-메타언어
5. 영어속담의 의인화
1) 타동사 구문 무생물주어의 의인화
2) 혈연관계를 통한 의인화
3) 동식물의 의인화
4) 직업이나 습관적 행위지칭 의인화
5) 신체 부위 및 신체활동 지칭 의인화
6) 인지표현 및 언어행위 지칭 의인화
6. 한국어 속담의 의인화
1) 혈연관계 의인화
2) 직업을 지칭하는 의인화
3) 동식물 의인화
4) 신체 부위 및 신체활동 지칭 구문
7. 결 론
참고문헌
2. 비유의 근원영역과 목표영역
3. 시 각
4. 언어표현에 관한 언어-메타언어
5. 영어속담의 의인화
1) 타동사 구문 무생물주어의 의인화
2) 혈연관계를 통한 의인화
3) 동식물의 의인화
4) 직업이나 습관적 행위지칭 의인화
5) 신체 부위 및 신체활동 지칭 의인화
6) 인지표현 및 언어행위 지칭 의인화
6. 한국어 속담의 의인화
1) 혈연관계 의인화
2) 직업을 지칭하는 의인화
3) 동식물 의인화
4) 신체 부위 및 신체활동 지칭 구문
7. 결 론
참고문헌
한영속담
의인화
비유법
문화적 차이
문법적 차이
무생물주어
속담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