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리드 공간 디자인의 시적 의미체계에 관한 해석 연구
경원대학교 | 267 pages| 2007.07.01| 파일형태 :
조회 825 다운로드 2
자료요약
현대는 모든 가치가 상대화되고 다원화됨으로 인하여 어떠한 단일의 가치도 지배적이거나 우월한 것이 되지 못한다. 따라서 모든 가치들이 단편화되어 각 단편들이 동질적 혹은 이질적으로 조합되는 그야말로 하이브리드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더 이상 순수한 창조성이라는 것이 무의미해진 현대사회에서 총체적 재창조가 일어나는 것은 일종의 순환적 과정에 의한 혼돈에서 비롯됨을 파악해야 한다. 이처럼 현대의 급변하고 있는 새로운 인식체계를 반영하여 실내디자인 측면에서는 자유로운 공간 해석의 가능성을 내포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예술작품의 내용과 형식 사이의 모순과 통일, 즉 미적 대상의 구조체계에 대해 심사숙고 해야 한다. 사실 공간의 미적 형식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감성적인 관찰에서 출발해야 하는데 이것은 미가 형식 속에 있다는 견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따라서 미적 대상에 대한 해석적 접근은 인간 간의, 그리고 인간과 사물, 기계, 또한 사유나 정서, 이미지, 그리고 기호와의 소통에 기초를 두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하이브리드 공간 디자인은 다양한 코드(도상·대중적 코드와 건축적 코드)들을 원래의 문맥으로부터 이탈시켜 자유롭게 복제, 변형, 결합시킴으로써 단편화되고 혼성적인 요소로 이루어진 형태구성을 지향하게 된다. 여기서 공간을 구성하는 여러 하위코드들의 결합방식의 내재적 역학관계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만 의미적 해석이 가능하게 된다. 그렇다면 하이브리드 공간의 유형과 결합방식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이런 요소들이 분포할 수 있는 차원을 파악해야 할 것이다.
하이브리드 `포스트(Post-)` 이론 테크놀로지의 복합시대 다문화주의의 수용 모호한 경계의 복잡계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경원대학교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