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의료원 이용환자의 서비스 가치, 만족도, 브랜드이미지 및 재이용·구전의도의 구조적 관계 | 2006.12.01
- 광고와 마케팅 | (경원대학교)
- 이 연구는 지방의료원을 지역거점 공공병원으로 육성하고자 범정부 차원에서 노력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방의료원 환자의 서비스 가치, 고객만족도, 브랜드이미지 및 재이용?구전의도 요인의 수준을 측정하고, 요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이를 기초로 운영관리의 개선을 위한 전략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요인들의 관계에 대한 문헌과 선행연구의 고찰을 거쳐 측정변수들을 설정하고 구조모형을 설계하였으며, 이들 변수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1점~7점 척도의 15개의 설문문항을 개발하였다. 표본병원으로 전국의 34개 지방의료원 중에서 대표성이 있도록 5개 병원을 선정하고, 이들 병원으로부터 2006년 7월과 8월의 2개월 동안에 조사원 기입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최종적으로 외래환자 387명, 입원환자 358명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의 세부목표에 따라 빈도분석, 교차분석, t-검정 및 분산분석, 상관분석, 요인분석, 공변량구조분석 및 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공변량구조분석 시에는 모형의 적합도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고객만족도 요인을 제외시키고 서비스 가치, 브랜드이미지 및 재이용?구전의도의 세 요인으로 구성되는 수정모형을 설계하여 분석에 적용하였다. 이 연구의 방법 및 분석결과에 대한 고찰과정을 거쳐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 하이브리드 공간 디자인의 시적 의미체계에 관한 해석 연구 | 2007.07.01
- 기타 | (경원대학교)
- 현대는 모든 가치가 상대화되고 다원화됨으로 인하여 어떠한 단일의 가치도 지배적이거나 우월한 것이 되지 못한다. 따라서 모든 가치들이 단편화되어 각 단편들이 동질적 혹은 이질적으로 조합되는 그야말로 하이브리드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더 이상 순수한 창조성이라는 것이 무의미해진 현대사회에서 총체적 재창조가 일어나는 것은 일종의 순환적 과정에 의한 혼돈에서 비롯됨을 파악해야 한다. 이처럼 현대의 급변하고 있는 새로운 인식체계를 반영하여 실내디자인 측면에서는 자유로운 공간 해석의 가능성을 내포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예술작품의 내용과 형식 사이의 모순과 통일, 즉 미적 대상의 구조체계에 대해 심사숙고 해야 한다. 사실 공간의 미적 형식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감성적인 관찰에서 출발해야 하는데 이것은 미가 형식 속에 있다는 견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따라서 미적 대상에 대한 해석적 접근은 인간 간의, 그리고 인간과 사물, 기계, 또한 사유나 정서, 이미지, 그리고 기호와의 소통에 기초를 두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하이브리드 공간 디자인은 다양한 코드(도상·대중적 코드와 건축적 코드)들을 원래의 문맥으로부터 이탈시켜 자유롭게 복제, 변형, 결합시킴으로써 단편화되고 혼성적인 요소로 이루어진 형태구성을 지향하게 된다. 여기서 공간을 구성하는 여러 하위코드들의 결합방식의 내재적 역학관계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만 의미적 해석이 가능하게 된다. 그렇다면 하이브리드 공간의 유형과 결합방식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이런 요소들이 분포할 수 있는 차원을 파악해야 할 것이다.
- 국제관광 서비스시장에서 만족, 신뢰, 몰입의 선행요인이 파트너십에 미치는 영향 : 한·일의 호텔과 여행사를 중심으로 | 2006.12.01
- 광고 및 마케팅조사 | (경원대학교)
- 본 연구는 국제관광 서비스시장에서 호텔-여행사 관계특성이 파트너십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특히, 우리나라 외국인관광객의 50%(KNTO자료)를 접하는 현실에서 일본인의 한국 관광시장 점유율은 점점 하향세를 향하는 바, 그 문제는 홀셀러들의 한국기피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거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으나 그 중에 주된 원인중의 하나가 홀셀러들의 상품기획자들이 한국호텔과의 성숙한 거래관계를 유지하지 못하는 데에 문제가 있으며 호텔 또한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데 그 원인이 있다, 이는 호텔과 여행사의 지속적이며 장기적인 관계 즉, 파트너십을 통하여 상호이익을 추구하는 관계마케팅의 중요성을 상실한 이유이며, 구매자(여행사)가 현재의 판매자(호텔)와 거래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만족과 신뢰, 관계몰입이 이러한 지속적인 파트너십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으로 파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관광 서비스 시장에서 여행사가 호텔과 파트너십 구축에 만족, 신뢰와 관계몰입이 미치는 영향과 신뢰형성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