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iness Education Trends in Korean Universities in the Big Blur Era: The Introduction and Expansion of the Major Autonomy Selection System (‘Undeclared Major’ System)
한국경영학회 융합학술대회 | 한국경영학회 | 9 pages| 2025.11.11| 파일형태 :
조회 0 다운로드 0
자료요약
최근 학령인구의 감소, 산업 구조의 전환, AI 기반의 디지털 혁신 등으로 경영환경은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산업 현장은 대학의 경영학 교육에 대해서도 근본적인 혁신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다양한 시도와 노력에도 불구하고, 경영학 교육은 여전히 이론 중심, 교수자 주도형 방식에 머물러 있으며, 산업체가 요구하는 실무 역량과 융합적 사고력 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경영학 교육에서 나타난 주요 변화의 흐름을 살펴보고, 최근 대학교육 전반에 확산되고 있는 전공자율선택제 도입이 경영학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전공자율선택제의 도입 배경과 확산 양상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학의 대응과 교육제도 차원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를 경영학 교육의 흐름과 연결시켜, 현행 경영학 교육의 구조적 한계를 도출하고, 향후 개선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전공자율선택제라는 교육제도의 도입이 학생 중심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을 촉진하는 한편, 경영학 교육의 내용과 방식 전반에 재구성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특히 향후에도 경영학이 융합과 실용을 기반으로 경쟁력 있는 전공으로 자리잡기 위해 요구되는 교육 전략과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경영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