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양식론의 인식론적 토대와 그 논리적 일관성에 관한 물음
자료요약
20세기 후반에 비판사회이론가인 마크 포스터(Mark Poster)가 제기한 정보양식 (mode of information)은 이제 우리의 일상에서 더 이상 낯선 개념이 아니다. 그는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비판이론가들(Critical Theorists)이, 마르크스가 사적 유물론 (historical materialism)을 통해 주장한 생산양식이라는 근본적인 전제에 집착하기 때문에 새로운 시대의 사회관계를 보지 못한다고 지적한다(Poster, 1984: 46; Poster, 1989: 124). 그런 까닭에 전자적으로 매개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기술이 바꾸어 놓은 사회·문화적 풍경의 함의에 관심을 두는(포스터, 1999: 46) 포스터는 “전자적인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의해 매개된 사회관계(Poster, 1989: 126)”를 정보양식이라고 개념화한다. 여기서 언급하는 사회관계란 인터넷과 같이 전자적으로 연결된 사이버 공간에서 나타나는 유동적인 사회관계를 뜻하는데, 이것은 산업사회에서 경험한 고정된 사회관계와 다르다.
목차
1. 정보양식론 비판의 세 가지 지점
2. 비판이론가들의 기술 패러다임에 관한 물음: 그들은 기술 결정론자들인가?
3. 비판이론가들에 대한 비판자로서 포스터의 인식론적 입장과 정보양식을 설명하는 논리적 일관성에 관한 물음
4. 정리
참고문헌
2. 비판이론가들의 기술 패러다임에 관한 물음: 그들은 기술 결정론자들인가?
3. 비판이론가들에 대한 비판자로서 포스터의 인식론적 입장과 정보양식을 설명하는 논리적 일관성에 관한 물음
4. 정리
참고문헌
정보양식론
인식론
논리적일관성
마크포스터
인터넷
사이버공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