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_24년 6월
- [메조미디어] 2025 디지털 미디어 마일스톤
- [나스미디어] 2024년 11월 Meta 협력광고, 이커머스 시장의 게임 체인저
- [메조미디어]?미디어&마켓 이슈?2025년 1월 호
- 기아차 SOUL의 혁신적인 제품전략 -소비자의 soul을 움직이다-
- 2023년 3월 매체력 평가 리포트
- [플레이디] [손해보험] 시장 변화에 기회 삼아 미래를 준비하는 손해보험사들의 생존 경쟁 시작
- 조선-중앙-동아일보의 유사성과 차별성:1면 구성과 사설의 이념성을 중심으로
-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한국 출판학 연구경향의 매트릭스 ― 《한국출판학회 30년사》이후의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자료요약
언론학과의 연계학문으로서 인지되고 있는 출판학 연구는 사실상 언론 이전의 시원적 학문으로서의 확고한 정체성을 갖고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출판학 연구 역시 40년이라는 짧지 않은 역사를 누적하면서 나름대로 독자적이면서 학제간 교차 학문으로 성장해왔다. 이 논문은, 30년사를 기록하면서 출판학 연구가 정리된 2000년 이후부터 현재 출판학의 현황과 특징, 문제점을 진단하여 매트릭스화하는 동시에, 이를 토대로 앞으로 이 분야가 학문 분과로서 지향해야 할 정체성과 발전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매트릭스를 통해 현재의 출판학 연구의 좌표를 제공하는 동시에, 문제를 탐구하는 데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쟁점들을 출판학 연구영역, 연구주제의 특징, 다원성, 호환성에 대한 접근방식 등 키워드를 중심으로 문제를 제기하는 방식으로 논의해보았다. 총체적으로 볼 때, 출판학 연구는 2000년대 이후, 그 이전에 비해 양적으로 팽창했으나, 질적인 측면에서 볼 때 출판학이라는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고민이 충분하지 못했으며, 여전히 출판현상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하려는 시도 또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매트릭스를 통해 현재의 출판학 연구의 좌표를 제공하는 동시에, 문제를 탐구하는 데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쟁점들을 출판학 연구영역, 연구주제의 특징, 다원성, 호환성에 대한 접근방식 등 키워드를 중심으로 문제를 제기하는 방식으로 논의해보았다. 총체적으로 볼 때, 출판학 연구는 2000년대 이후, 그 이전에 비해 양적으로 팽창했으나, 질적인 측면에서 볼 때 출판학이라는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고민이 충분하지 못했으며, 여전히 출판현상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하려는 시도 또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Ⅲ. 출판학 연구의 매트릭스 분석
Ⅳ. 출판학 연구경향 분석과 쟁점
Ⅴ. 결론적 논의
Ⅱ.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Ⅲ. 출판학 연구의 매트릭스 분석
Ⅳ. 출판학 연구경향 분석과 쟁점
Ⅴ. 결론적 논의
출판학
매트릭스분석
한국출판학회
언론학
발전방향
학문적 정체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