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목 저자 출처 학회/발행처
새로운 도시문화 조성을 위한 옥외광고디자인 정책과제: 간판시범거리 조성사업 정책사례를 중심으로 | 2009.06.29
광고매체 | 2009 옥외광고학회 상반기 정기학술대회 (한국옥외광고학회)
국민소득 2만불 시대를 맞이하여 삶의 질과 공간의 품격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지역의 특성과 아름다움이 도시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시대적 과제도 부각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지자체들도 국가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도시미관과 가로경관 등 공간의 질을 높이려는 시도와 노력들이 늘어나고 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역주민 및 시민단체 등과 더불어 아름답고 쾌적하고 특색있는 생활환경 조성을 위하여 ‘아름다운 도시가꾸기’ 사업을 대대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아름답고 특색있는 도시공간을 만드는데 있어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옥외광고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제 광고물은 한 나라의 문화적 수준을 가늠하는 척도임과 동시에 국가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광고물 수준은 불법광고물이 전체 광고물의 51%를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세계적인 수준에 비하면 너무나 낙후되어 있다. 옥외광고를 개선하려는 지방자치단체를 비롯한 국가적 노력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어 보다 효과적인 옥외광고 개선을 위한 근본적인 방안의 마련과 구체적인 실천이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 하겠다. 본 연구는 새로운 도시문화 조성을 위한 옥외광고디자인 정책의 현상과 과제에 관하여 논의하는 것으로 문헌을 통해 도시문화와 옥외광고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옥외광고의 현황과 제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옥외광고디자인 정책사례로 4개도시의 아름다운 간판시범거리 조성사업에 대한 평가와 비교를 통하여 바람직한 옥외광고디자인 정책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게임 내 브랜드 배치에 대한 회상 및 태도연구 | 2009.06.26
광고매체 | 2009 옥외광고학회 상반기 정기학술대회 (한국옥외광고학회)
* 게임과 오락은 정보 검색 다음으로 인터넷 사용의 주목적으로 나타남 * 2007년 국내 온라인 게임 이용자 수는 약 2,000만 명인 것으로 집계됨 -> 전체 인터넷 이용자의 약 60%를 차지함 * PPG(Product Placement in Game)에 대한 관심 및 활용이 높아짐 * PPL과 비교하여 PPG는 반복 측면에서 노출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남 - 게임에 대한 몰입의 정도에 따라 PPG효과가 차이가 있을까? - PPG 배치 유형에 따라 소비자 반응의 차이가 있을까?
이벤트 프로모션에 있어 나레이터 모델의 역할 | 2009.06.18
PR, SP, Event | 2009 옥외광고학회 상반기 정기학술대회 (한국옥외광고학회)
광고효과연구에 비해 BTL프로모션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 '현장성'이라는 이벤트 프로모션 자체의 특성에 기인한 소비자밀착효과 BTL프로모션에 있어 나레이터 모델은 핵심적인 요인 특히, 모터쇼의 경우 나레이터 모델의 역할이 더욱 중요 레이싱 모델의 진입으로 얼굴이 알려진 모델도 상당수 존재 따라서 광고 모델과의 비교를 통한 소비자 평가 요인과 그에 따른 역할 탐구
국립공원 내 주민 상가 옥외광고물 색채 디자인 개발 연구 | 2009.06.16
광고매체 | 2009 옥외광고학회 상반기 정기학술대회 (한국옥외광고학회)
연구범위 1. 국립공원 내 옥외광고물 색채 디자인 개발 - 유형별 옥외광고물 색채 가이드라인 제시 - 유형별 옥외광고물 색채 응용 팔레트 제시
옥외광고 측면에서 승강기광고 접촉형태에 관한 연구 | 2009.06.11
광고매체 | 2009 옥외광고학회 상반기 정기학술대회 (한국옥외광고학회)
2005년 7천 3백억 원의 시장 규모로 전체 광고비의 10.4%를 차지하며, TV, 신문에 이어 인터넷매체와 비슷한 제3의 광고매체로 자리매김하였다.(홍성범,2007) 2006년 말 기금광고물의 시효 만료 여파로 전체적인 옥외광고 시장은 축소하였고, 2007년 옥외광고 시장은 12% 감소하였다.(배성진,2008) 한편, 옥외광고 시장의 전체적인 감소세에도 2004년 7월 서울시 중앙버스전용차로제의 시행과 함께 버스중앙차로승강장의 설치로 인하여 승강장 광고는 성장세를 나타냈다. 2007년 전체 승강장 광고비는 223억으로 전년대비 70%가 성장하였고(2008,제일기획), 버스승강장 광고비 중 중앙차로승강장 광고가 차지하는 광고비는 110억으로 약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8년에는 2007년 대비 10%의 성장을 기록하였다. (아이피데코, 2008) 주 5일 근무를 비롯한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다양한 야외 활동과 더불어 유통과 도심상권의 발달 및 교통수단의 증가 등으로 소비자의 옥외활동이 늘어감에 따라 함게 성장해왔다. 특히 교통광고의 반복 소구의 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최재명, 1999) 이러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버스승강장 광고 시장의 성장세에 따른 구체적인 효과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옥외광고에 대한 역구가 점차 확대되어감에 따라 새로운 영역의 버스승강장 시설물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증가추세에 있는 버스승강장 광고에 대한 소비자들의 이용현황과 인지태도를 알아보고, 이를 더불어 중앙차로승강장 광고에 대한 노출 효과와 함께 소비자의 인지 및 태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