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 건강기능식품 시장·소비자 리포트
- 312호 [2020년 12월] 2021 전망_DIGITAL MEDIA & MARKETING TREND FORECASTING
- 313호 [2021년 1월] 마케터가 주목해야 할 2021 이슈 캘린더
- 2020 렌터카 시장 리포트
- 296호 [Case Study ] Z세대 공략 광고 성공 사례 - 정관장/GS25
- 2021 마케팅 이슈 캘린더
- [메조미디어]2020 화장품 업종 분석 리포트
- [마켓인사이트] 2021 디지털 마케팅 트렌드
- Target Audience 분석리포트 3049 기혼여성
- 2021 디지털 미디어 마일스톤
자료요약
본 연구는 플랫폼 데이터 생태계에서 플랫폼 데이터 생산구조와 데이터 거래구조를 분석하면서 플랫폼 데이터 집중으로 야기될 격차를 검토하였다. 데이터의 자원화와 플랫폼과 데이터의 압축적 확장으로 플랫폼 데이터 빈자와 부자의 구조적인 불평등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논문은 플랫폼의 데이터 생성에 따른 데이터 접근격차, 데이터 통제격차와 이용자 간의 데이터 표현격차를 제시하였다. 능동적인 이용자의 데이터 표현과 수동적인 데이터 표현이 데이터의 재현으로 인한 편향적 정보생산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플랫폼 데이터 생태계의 네트워크 효과로 인해 데이터 접근과 통제, 표현의 격차는 편익과 위험의 두 상반된 측면에서 성과와 불평등을 야기하기 때문에 데이터 주권 교육의 큰 틀에서 데이터 리터러시 전략을 구상하도록 제안한다.
This study reviewed the divide that would be caused by platform data concentration in the platform data ecosystem, reviewing the analysis of platform data production structure and data transaction structure. With the resourceization of data and the compress or expand the stack of platform and data, the rich and poor of platform data can occur and it causes structural inequality. This paper presented the data access gap, data control gap according to the platform"s data production. It also pointed out the problem of information bias reproduced by the data representation divide between users. It is proposed to devise a data literacy strategy from a large framework of data sovereignty, as the network effect of the platform data ecosystem causes performance and inequality in both aspects of benefits and risks.
This study reviewed the divide that would be caused by platform data concentration in the platform data ecosystem, reviewing the analysis of platform data production structure and data transaction structure. With the resourceization of data and the compress or expand the stack of platform and data, the rich and poor of platform data can occur and it causes structural inequality. This paper presented the data access gap, data control gap according to the platform"s data production. It also pointed out the problem of information bias reproduced by the data representation divide between users. It is proposed to devise a data literacy strategy from a large framework of data sovereignty, as the network effect of the platform data ecosystem causes performance and inequality in both aspects of benefits and risks.
목차
1. 서론
2. 플랫폼 데이터 생태계와 작동의 원리
3. 디지털 불평등을 넘어 데이터 불평등 문제 설정
4. 데이터 격차의 설정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2. 플랫폼 데이터 생태계와 작동의 원리
3. 디지털 불평등을 넘어 데이터 불평등 문제 설정
4. 데이터 격차의 설정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플랫폼 데이터 생태계
#데이터 접근격차
#데이터 통제격차
#데이터 표현격차
#데이터 리터러시
#Platform Data Ecosystem
#Data Access Divide
#Data Control Divide
#Data Representation Divide
#Data Liter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