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마켓 리포트_25년 8월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2022 주류 소비 트렌드 리포트
 - 2024년 6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인크로스]2025년 1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기아차 SOUL의 혁신적인 제품전략 -소비자의 soul을 움직이다-
 -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메조미디어] 2024 업종 분석 리포트 02. 화장품
 - [나스미디어] 2024년 11월 Meta 협력광고, 이커머스 시장의 게임 체인저
 
자료요약
                    
                    
                    본 연구는 기업 위기 책임성을 인식하는 데 있어 공중의 개인적 귀인 특성, 특히 귀인복잡성과 사후확신편향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귀인복잡성이 위기에 대한 실제적, 도의적 책임성 인식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사후확신편향을 매개로 한 간접적 영향을 검증해보았다. 20-69세 성인남녀 44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으며,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귀인복잡성은 실제적 책임성 인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도의적 책임성 인식에 유의미한 직접적 영향을 끼쳤다. 둘째, 사후확신편향은 실제적 책임성 인식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도의적 책임성 인식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셋째, 실제적 책임성 인식은 도의적 책임성 인식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넷째, 귀인복잡성은 사후확신편향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위기 커뮤니케이션에서의 귀인복잡성과 사후확신편향의 영향력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논의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personal attributes of the public, expecially the individual’s attributional complexity and hindsight bias, in perceiving corporate crisis responsibility. To do this,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447 ad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ttributional complexity did not affect actual responsibility perception, but it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moral responsibility percep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attributional complexity, the higher the perceived moral accountability of the company in a crisis situation. Second, hindsight bias affected actual responsibility perception, but it did not affect moral responsibility percep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hindsight bias, the higher the perceived actual responsibility of the company in a crisis situation. Third, the actual responsibility percep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oral responsibility perception. Fourth, attributional complexity did not affect hindsight bia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influence of attributional complexity and hindsight bias on perceived crisis responsibility and the subsequent crisis commun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personal attributes of the public, expecially the individual’s attributional complexity and hindsight bias, in perceiving corporate crisis responsibility. To do this,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447 ad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ttributional complexity did not affect actual responsibility perception, but it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moral responsibility percep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attributional complexity, the higher the perceived moral accountability of the company in a crisis situation. Second, hindsight bias affected actual responsibility perception, but it did not affect moral responsibility percep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hindsight bias, the higher the perceived actual responsibility of the company in a crisis situation. Third, the actual responsibility percep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oral responsibility perception. Fourth, attributional complexity did not affect hindsight bia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influence of attributional complexity and hindsight bias on perceived crisis responsibility and the subsequent crisis communica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가설 및 연구문제
4. 연구방법
5. 연구결과
6. 결론 및 논의
                2. 이론적 배경
3. 연구가설 및 연구문제
4. 연구방법
5. 연구결과
6. 결론 및 논의
                    
                    
                        
                        #귀인복잡성 #사후확신편향 #실제적 책임성 인식 #도의적 책임성 인식 #Attributional complexity #Hindsight bias #Actual responsibility perception #Moral responsibility percep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