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요약
통합적 마케팅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행하는 데에 있어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접점들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어떤 접점이 인지적, 감정적 또는 행동적 차원에서 더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검증은 IMC 전략의 수립 및 집행에 있어서 꼭 필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모두 15개의 주요 접점에 대한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차원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그러한 효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소비자의 특성들 중 사전지식과 관여도의 역할을 검증하였다. 두 개의 제품군-패션의류와 스킨케어 화장품-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에서 5가지의 주요 접점군의 차이는 대체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성적 의사결정이 주로 이루어지는 제품군에서는 매스미디어보 다는 인다이렉트, 원투원, 온라인 등 맞춤화될 수 있고 풍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접점들의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감성적 의사결정이 주로 이루어지는 제품군의 경우에는 비교적 매스미디어의 효과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효과의 차이는 관여도 및 사전지식의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도 검증되었다. 보다 다양한 소비자 관련 변인과 제품군들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에의 제언을 포함하였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정보 탐색 행동과 커뮤니케이션 효과
3. 커뮤니케이션 접점
4. 연구 방법
1) 조사 대상 및 제품군의 선정과 절차
2) 변인의 측정
5. 연구 결과
1) 접점의 유형에 따른 효과 인식
2) 관여도와 사전지식에 따른 효과의 차이
6.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1. 서론
2. 정보 탐색 행동과 커뮤니케이션 효과
3. 커뮤니케이션 접점
4. 연구 방법
1) 조사 대상 및 제품군의 선정과 절차
2) 변인의 측정
5. 연구 결과
1) 접점의 유형에 따른 효과 인식
2) 관여도와 사전지식에 따른 효과의 차이
6.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IMC
커뮤니케이션 접점
커뮤니케이션 효과
사전지식
관여도
IMC
Communication Contact Point
Communication Effects
Prior Knowledge
Invol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