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마켓 리포트_25년 8월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2022 주류 소비 트렌드 리포트
- 2024년 6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인크로스]2025년 1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기아차 SOUL의 혁신적인 제품전략 -소비자의 soul을 움직이다-
-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메조미디어] 2024 업종 분석 리포트 02. 화장품
- [나스미디어] 2024년 11월 Meta 협력광고, 이커머스 시장의 게임 체인저
자료요약
기업들은 판매촉진의 유형 중에서 가격할인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고 이러한 할인효과가 소비자의 구매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가격할인 유형도 단순한 가격할인 행사뿐만 아니라, ``오늘만 특가``, 이번 주까지만 할인`` 등의 시간한정 가격할인과 ``100명 한정 할인``, 30대 한정`` 등의 수량한정 가격할인 행사를 실시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가격할인 제품의 판매에서 위와 같은 희소성 메시지효과를 알아보았다. 우선, 가격할인 행사를 실시할 때 희소성 메시지(시간 한정 및 수량한정)가 제시된 경우와 단순할인의 경우를 비교하였다. 또한 시간한정 할인과 수량 한정 할인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단순가격할인에 비하여 희소성 메시지가 제시된 경우에 구매의도가 더 높았고, 시간 한정 할인보다 수량한정 할인의 경우에 구매의도가 더 높았다. 희소성 메시지가 제시한 가격할인의 경우에 브랜드 파워와 불확실성 회피성향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시간한정 가격할인의 경우에는 브랜드 파워로 인한 조절효과를 알아보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량한정 가격할인의 경우에는 불확실성 회피성향의 조절효과를 알아보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격할인이 종료되고 다시 정상가격으로 판매될 때, 희소성 메시지가 제시되었던 경우가 단순가격할인의 경우보다 가격할인으로 인한 부정적인 효과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Brand Power#Scarcity Message#Uncertainty Avoidance Tendency#가격할인#불확실성 회피성향 Price Discount#브랜드파워#수량인정#시간한정#희소성 메시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