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결과 지향성이 건강 신념과 코로나19 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부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광고연구 |
한국광고홍보학회 |
39 pages|
2025.03.07|
파일형태 :

자료요약
본 연구는 건강행동을 예측하는 것으로 알려진 성격 요인 중 하나인 미래 결과 지향성과 정부에 대한 신뢰가 코로나19 예방 행동의 일종인 마스크 착용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미래 결과 지향성과 마스크 착용 행동 사이에서 개인의 건강 신념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이러한 관계가 정부에 대한 신뢰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전국 성인남녀 46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미래 결과 지향성이 높은 사람일수록 마스크 착용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코로나19의 지각된 취약성, 심각성, 그리고 마스크 착용의 지각된 이익을 통해 그러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나아가 미래 결과 지향성이 코로나19와 마스크 착용과 관련된 건강신념에 미치는 영향이 정부신뢰에 따라 달라지며 특히, 마스크 착용에 대한 지각된 이익을 통해 마스크 착용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상황에서 미래 결과 지향성이 어떠한 건강신념을 통해 예방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영향에 있어 정부신뢰의 역할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이론적 함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공공 보건 상황에서 보다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실무적 함의를 제공한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2. 이론적 논의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미래 결과 지향성#건강신념모델#정부신뢰#마스크 착용#코로나19#Consideration of future consequences#Health belief model#Trust in government#Mask-wearing#COVID-19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