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수용자의 지각 편향과 뉴스 공정성 평가
한국언론학회 | 한국언론학회 | 54 pages| 2018.09.28| 파일형태 :
조회 958 다운로드 0
자료요약
수용자의 정파성에 기초한 자기범주화의 활성화가 유발하는 지각 편향이 뉴스 공정성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한국사교과서 국정화 논란을 다룬 뉴스기사(찬성/보수 vs. 중립/중도 vs. 반대/진보)를 무선배치 피험자 집단(N = 760)에 제시하고, 수용자의 정치이념성향과 메시지 편향성(기사 논조)이 상호작용하면서 공정성 평가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살폈다. 온라인 실험 결과, 정파 수용자는 뉴스를 내집단 범주화할 때 우호적 매체 지각에 따라 공정성을 높게 평가했으나, 외집단 범주화할 때는 적대적 매체 지각에 따라 공정성을 낮게 평가했다. 자기범주화를 활성화하지 않은 중도 수용자의 경우, 국정화에 대한 중립(중도)과 반대(진보) 기사의 공정성은 높게 평가했지만, 찬성(보수) 기사의 공정성은 낮게 평가했다. 하지만 수용자의 정치이념성향에 관계없이 공정성 평가는 중립 기사에서 가장 높았다. 기사 논조 대신 피험자가 메시지에 대해 지각하는 주관적 편향성을 투입한 분석에서도 비슷한 패턴이 관찰됐다. 이런 결과는 공정성 평가에 미치는 언론 신뢰도의 정적영향과 제3자 지각의 부적 영향을 통제한 상황에서도 유의미했다. 결론적으로, 수용자의 지각 편향을 경유하는 인지 경로에선 뉴스 공정성 평가가 왜곡되고 불안정했지만, 지각 편향을 거치지 않는 경로에선 인지 정교화가 높을 때 뉴스 공정성 평가가 객관적이고 합리적이었다. 분석결과가 뉴스 수용자의 지각 편향과 뉴스 공정성 평가의 관계에 시사하는 함의를 논의했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impact of perceptual biases caused by the activation of self-categorization based on audiences’ partisanship on news fairness. We randomly assigned participants (N = 760) into three groups and suggested news articles about the state approved Korean history textbook issue (agree/conservative vs. neutral vs. disagree/liberal). Then we examined the change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between political ideology and message biases (news tone). The results of online experiment showed that audiences evaluated high level of fairness on the news via favorable media perception when they judged it as in-group, whereas, they evaluated low level of fairness on the news via hostile media perception when they judged it as out-group. In the case of neutral audiences who did not activate self-categorization, they evaluated the fairness of two articles which is neutral and which disagree with the issue on high, but they evaluated the fairness of article which agree with the issue on low. Regardless of the political ideology of the audiences, however, they judged that neutral article had the highest fairness. Similar patterns were observed when we input subjective biases on the news articles rather than objective biases. These were significant in the circumstances where both the positive impact of media system credibility and the negative effect of the third-person perception were controlled. In conclusion, audiences’ assessment of news fairness was not only distorted but also unstable, when they exploited the cognitive path which activated perceptual biases, whereas the news fairness assessment was objective and rational when their cognitive elaboration was high and they did not pass through self-categorization. Lastly, we discussed some implication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ual biases and news fairness assessment.
목차
1. 문제제기
2. 이론적 논의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논의
지각 편향(오지각) 공정성 평가 언론 신뢰도 메시지 편향성 적대적 매체 지각 제3자 지각 perceptual biases (misperception) news fairness assessment trust for media system message biases hostile media perception third-person perception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언론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